참고문헌
- 고민수 (201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혁운 (2011).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115-134.
- 김경철, 김은혜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doi:10.18023/kjece.2019.39.2.006
-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doi:10.15703/kjc.12.5.201110.1473
- 김숙자, 이경혜 (2015).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영유아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435-463.
- 김은정, 유영의, 박은혜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409-432.
- 김정숙 (2018).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역량 척도 개발.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미 (2020).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영규, 최류미, 김대현 (2014). 초등교사 수업의 획일화 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열린교육연구, 22(4), 279-299.
-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 박은혜 (2002).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 박은혜, 박세령 (201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의 과정과 의미. 교과교육학연구, 18(1), 1-26. doi:10.24231/rici.2014.18.1.1
- 박지영 (2017).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와 유아의 환경태도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태윤, 성정희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통영RCE).
- 배진오, 이연승 (2014).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33-354.
- 백승관 (2003). 교사의 발달과정에 관한 탐색모형. 교육행정학 연구, 21(1), 29-50.
- 백은주, 정미라, 허미화, 지옥정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교사의 물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91-221.
- 서윤희, 지옥정, 강지애, 정애경, 조부경 (2014).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4(5), 249-273. doi:10.18023/kjece.2014.34.5.012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개황.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2012). 2012 중등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역량 강화 직무연수 자료집.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 유선영 (2014). 수업사례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순이 (2003).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연옥, 최윤지 (2021).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환경교육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인문사회21, 12(1), 2909-2924. doi:10.22143/HSS21.12.1.206
-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 (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319-341.
- 이기용 (2015).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와 평화, 9(2), 82-111. doi:10.22446/mnpisk.2015.9.2.004
- 이상원, 최지연, 이태석, 황동국, 유동현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 컨설팅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285-309.
- 이송이, 손원경 (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 이연호 (2021). 지속가능발전관점에 기초한 유아의 동식물 돌봄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인선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현옥, 최상순, 김정주 (2005).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6(2), 117-194.
- 이효빈, 권연희, 안정은 (2020).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105-126. doi:10.14698/jkcce.2020.16.05.105
- 임효진 (2015).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고찰과 이를 통한 ESD 발전 방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현수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행.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효정, 고은경 (2020).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의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의 우선순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1-17. doi:10.14698/jkcce.2020.16.03.001
- 정기섭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로프교육연구, 2(1), 65-96.
- 조부경, 서현정 (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3(3), 407-418. doi:10.35873/ajmahs.2018.8.3.038
- 지옥정 (2014). 환경기념일로 풀어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서울: 창지사.
- 최하림 (2018).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rmstrong, C. M. (2011).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otential use of time-honored pedagogical practice from the progressive era of education. Journal of Sustainability Education, 2(2), 1-25.
- de Haan, G. (2010). The development of ESD-related competencies in supportive institutional framework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56(1), 315-328. https://doi.org/10.1007/s11159-010-9157-9
- Fadeeva, Z., & Galkute L. (201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bologna process.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6(1), 91-100. https://doi.org/10.1177/097340821100600115
- Jackson, M. G. (2011). The real challenge of ESD.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5(1), 27-37. doi:10.1177/097340821000500108
-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Vol. 5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Kruskal, J. B., & Wish, M.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Beverly Hills, CA: Sage.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10.1037/h0034092
- Mochizuki, Y., & Fadeeva, Z. (2010). Compet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Significance and challenges for ESD.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1(4), 391-403. doi:10.1108/14676371011077603
- Novak, J. D., Bob Gowin, D., &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doi:10.1002/sce.3730670511
-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
- UNECE (2008). Discussion paper on competence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 sector. Geneva, Swiss: UNECE.
-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 UNESCO (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Paris, France: UNESCO.
- UNESCO (2012). Shaping the education of tomorrow: 2012 Full-length report on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aris, France: UNESCO.
- Wals, A. E. J. (2010). Mirroring, gestaltswitching and transformative social learning: Stepping stones for developing sustainability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1(4), 380-390. doi:10.1108/14676371011077595
- WCED (1994). Our Common Future, 우리공동의 미래(조형준, 홍성태 옮김). 서울: 새물결(원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