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Africa ODA Projects on Agricultural Outputs: Application of KOPIA Practices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KOPIA 사례를 중심으로

  • 조동인 (뮤레파코리아 미래전략부) ;
  • 박종훈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정보전공) ;
  • 박지영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21.12.09
  • Accepted : 2021.12.2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investment effects for Practical Field Studies conducted by the KOPIA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centers, which are part of the ODA project oper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proje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sent to each KOPIA center associated with each project.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production and profitability of farms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farm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ject. Also, in the satisfaction results of taste, nutrition, and freshness, the participating firms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m when being compared to those of non-participating farms. It is highly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Practical Field Projects conducted in Africa based on the results of each project's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This study also can lead to a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ODA projects by raising people's awareness of ODA projec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의 성과분석을 위해 아프리카 3개 지역을 대상으로 개별 추진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각 사업이 가지는 생산성 및 효과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국가별 현황에 따라 사업 참여 농가와 미 참여 농가 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범사업 참여 농가의 생산 및 수익성이 미참여 농가에 대비하여 크게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ODA 사업 참여 만족도 조사에서도 미참여 농가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된 실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사업의 성과분석에 주목하는 까닭에, 사업별 성과 및 경제성 분석 결과를 통해 사업운영 효과성 제고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ODA에 대한 성과적 측면에서 국민적 인식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PJ015046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곽성일.전혜린.김민희, 2012, ODA 사업의 비용편익분석, 「ODA 정책연구 1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윤두.채수호.전지혜.전중환.김상열.강신구.문두경.김천환, 2018, 한-중남미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에 따른 수원국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0(2), pp.94-101. https://doi.org/10.12719/KSIA.2018.30.2.94
  3. 서울행정학회, 2018, 「KOPIA 사업 10년 성과분석을 통한 KOPIA 브랜드 가치 평가」, 농촌진흥청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11-1390000-004474-01.
  4. 정인수.최대용. 2015, 「우리나라 ODA사업의 국내 파급효과 평가연구」, 국무조정실.
  5. 정지원.성한경.유애라.김제국, 2018, 「ODA 경제적 효과 측정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한국행정연구원, 2019, 「2019년 ODA 국민인식조사」.
  7. Bruckner, M., 2013, On the Simultaneity problem in the Aid and growth debate,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28(1), pp.126-150. https://doi.org/10.1002/jae.1259
  8. Dang, Van Dan & Binh, Vu., 2019, 「Evaluating the Impac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n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10.1007/978-3-030-04200-4_66.
  9. Joseph, Veledinah M., 2013, Impac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Economic Growth in Kenya, 「Master program dissertation」.
  10. KOICA, 2017, 「KOICA 무상원조의 국내 수출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널 중력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협력단.
  11. KDI, 2013, 「2013년도 공기업.준정부기관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연구보고서」.
  12. Mckee, R. J., and J. L. Bells, 2013, The Effectiveness of Aid transfers in Sub-Saharan Af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4(1), pp.1-27.
  13. Momita, Yasuaki, Matsumoto, Tomoya, Otsuka, Keijiro., 2019, Has ODA contributed to growth?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Japanese ODA, 「Japan and the World Economy」, 49, pp.161-175. https://doi.org/10.1016/j.japwor.2018.11.002
  14. OECD, 1991, 「Principles for Evaluation of Development Assistance」, DAC.
  15. OECD, 2019, 「Better Criteria for Better Evaluation」, D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