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배경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Rock-cut Sculpture of Two Buddhas Seated Side-by-Side in Wonpung-ri, Goesan

  • 투고 : 2020.06.30
  • 심사 : 2020.08.10
  • 발행 : 2020.09.30

초록

괴산 원풍리 마애불병좌상은 보물 제97호로 지정되어 있는 초대형 마애불이다. 이불병좌상은 발해에서 동경용원부를 중심으로 성행하였던 불상이나 신라나 고려에서는 조성 사례가 매우 희박하다. 본문에서는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시기를 10세기 후반기인 광종 집권기로 파악할 수 있었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이 소백산맥을 넘는 주요 교통로 입구에 조성된 이유는 진천과 청주 세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진천과 청주는 광종에 앞서 재위하였던 고려 2대, 3대 왕인 혜종과 정종의 처가 세력들의 세거지였다. 이들은 광종이 가장 경계했던 호족들이었다. 마애이불병 좌상의 제작에는 중앙 정부의 후원 하에 충주와 문경 지역 장인들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문경 지역 장인들의 경우 발해 유민들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제작에 발해 유민들이 참여하였을 가능성은 마애불이 발해에서 유행하였던 이불병좌상인 점, 협시보살 보관의 특징이 발해적 요소가 확인되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연사 비로자나불좌상 광배 후면의 불패형 불탑이 발해적 요소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고려시대 발해 왕실 후예로 추정되는 대씨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개 태씨로 기록되어 있으며 태씨들의 집단 거주지가 문경이라는 점을 통해 발해 유민들이 고려초 문경에 정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은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도 북부와 충청도 중부 지역을 왕래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고려 왕실의 권위를 보여주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그 권위는 한 때 광종에 대항하여 권력 투쟁을 벌였던 진천과 청주의 호족 세력들을 직접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거대한 이불병좌상을 주요 교통로에 조성한 이유는 후삼국 시기 이후 고려에 내투한 수만의 발해 사람들이 광종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또한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은 10세기 후반 경 광종대의 시대적 상황과 조각사의 흐름이 잘 반영되어 있는 의미 있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The rock-cut relief of two Buddhas seated side-by-side in Wonpungri is a large Buddha sculpture in relief on the side of a cliff in Wonpung-ri, Goesan. This Buddha sculpture is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utra of the Lotus. <法華經> Two seated Buddhas statues were prevalent in the Balhae Kingdom, but this was not popular in Silla and Goryeo. In the main text, the time that the two seated Buddhas in Wonpung-ri was created is identified as being during the 10th century. King Gwangjong created a Buddha statue for political purposes. The relief of two seated Buddha image carved on a cliff is located on an important traffic route over the Sobaek Mountain Range. After King Gwangjong took the throne, he paid close attention to the reigning powers of Jincheon and Cheongju because the people of Jincheon and Cheongju were engaged in a power struggle against Gwangjong. The huge relief of two seated Buddhas statue shows the authority of King Gwangjong. In particular, the people of Jincheon and Cheongju had to see this Buddha statue when crossing the Sobaek Mountain Range. The image contained in the relief of the two seated Buddhas features many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 style of the Balhae Kingdom. After the fall of Balhae, many of the Balhae people settled in Mungyeong. Balhae people from Mungyeong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relief of the two seated Buddhas. Through the relief of the two seated Buddhas, King Gwangjong wanted to show the people of Jincheon and Cheongju that the Balhae people were supporting him. The relief of two seated Buddhas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King Gwangjong era in the late 10th century and the style of sculp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 박물관, 2002, 奉業寺, pp.447-449
  2. 엄기표, 2003,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p.63.
  3.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9, 안성 망이산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pp.246-251
  4.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4, 평택 서부 관방산성 시.발굴조사 보고서, p.359
  5.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2007, 朝陽北塔考古發掘與維修工程報告, 文物出版社, p.92
  6. 中央文化財硏究院, 2008, 安城 長陵里 골프장 豫定敷地內 安城 長陵里寺址, pp.76-78
  7. 류영철, 2004, 高麗의 後三國 統一過程 硏究, 景仁文化社, pp.154-155
  8. 송기호, 2011, 발해 사회문화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222
  9. 오호석 외, 2019, 中國遶塔, 학연문화사, p.100
  10. 이숙희, 2009,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불교조각 연구, 학연문화사, p.132
  11. 이효형, 2007, 발해 유민사 연구, 혜안, p.250
  12. 정성권, 2015,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학연문화사, pp.242-263
  13. 최성은 외, 2016, 발해의 불교유물과 유적, 학연문화사, pp.103-135.
  14. 淸州大學校 博物館, 1994, 槐山郡 文化遺蹟, pp.28-29
  15. 후지와라 타카토, 2020, 거란 불교사 연구, 씨아이알, p.251
  16. 강희정, 2003, 발해 후기의 불교조각과 신앙, 東岳美術史學 4, p.35
  17. 김혜완, 2008,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한국고대사연구 49, 2008, pp.257-292
  18. 박광연, 2010, 통일신라의 법화신앙과 불교문화, 한국사연구, 150, p.109.
  19. 박홍갑, 2007, 발해 유민 大氏의 한반도 정착 과정 -형순현과 영순태씨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16, p.135
  20. 李仁在, 2008, 충주 정토사 玄暉와 영월 흥녕사 折中, 韓國古代史硏究, 49, p.294-318
  21. 林碩奎, 1995, 渤海 半拉城 出土 二佛並坐像의 硏究, 佛敎美術硏究, 2, pp.89-121
  22. 林碩奎, 1999, 東京大 博物館 所藏 渤海 佛象, 高句麗硏究, 6, pp.371-398
  23. 정성권, 2008, '中原彌勒里寺址' 조성시기 고찰, 東岳美術史學, 9, pp.162-166
  24. 정성권, 2013,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 한국사학보, 51, pp.167-193
  25. 정성권, 2013, 高麗 光宗을 보는 또 다른 시각-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韓國人物史硏究, 19, pp.245-249
  26. 정성권, 2017,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의 등장과 전개, 東岳美術史學, 22, pp.91-125
  27. 정요근, 2010,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 22, p.36
  28. 정요근, 2020, 고려시대 문경지역의 주요 교통로와 교통시설, 고려시대의 문경, 문경시, pp.280-290
  29. 周炅美, 2009, 遼代 八大靈塔 圖像의 硏究, 중앙아시아연구, 14, pp.166-167
  30. 최성은, 1999, 발해(698-926 )의 보살상 양식에 대한 고찰, 강좌미술사, 14, pp.45-68
  31. 최성은, 2010, 中原지역 고려초기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강좌미술사, 34, pp.70-73
  32. 최성은, 2010, 발해 상경성의 불상-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동북아역사논총, 27, p.38
  33. 崔壹聖, 1999, 歷史的으로 본 鳥嶺路와 忠州, 史學硏究, 58.59, p.496
  34. 한정훈, 2007, 고려시대 13조창과 주변 교통로 연구, 한국중세사연구, 23, pp.155-158
  35. 허인욱, 2019, 고려시대 '발해 유민'과 '발해계(渤海系)' 고려인' 연구, p.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