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ique and Type of Line Expression in Goryeo Dynasty Metal Craft Engraving

고려시대 금속공예 선각(線刻)기법의 기술과 유형

  • Kim, Serin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Ewha Womans University)
  •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0.03.31
  • Accepted : 2020.08.12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engraved line expression in metal crafts is a detailed technique of carving or decorating metal surfaces. This technique engraves a line using a tool on the surface of a metal craft. This technique was used extensively in articles made of various metal mater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range of patterns that could be expressed and the width of users was wide. In this paper, based on relics and literature, the concept of line representation of this engraving technique used in the metal craft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perceptions and terms of the Goryeo Dynas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users engaged in this craft and the specific patterns and patterns of decor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se means, it was possible to confirm various aspects of a technique that was thought previously to involve just simple expression of lines using tools. In addition, through the literature, Geumseokmun Gate, and relics currently being transmitt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tilization patterns of techniques used in various types of objects. Various uses have led to the combination with other metal craft technique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and while utiliz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s, this maximized the molding of various patterns. In the meantime, it is true that the intaglio technique in metal craft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the decoration techniques of other metal crafts, such as inlay, embossing, and openwork techniques in which decorative effects are maximized du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technique was used so widely in relics. However, the universality of the technique is premised on its wide use across all eras. As such, it was used in metal craft relics that reflect the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various cultural aspects that are currently passed down. On the one hand, technology has been passed down as a form of intangible heritage that embodies a longstanding craft culture which continues to the present in the fields of sculptur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such, the universality of Seongak contains many cultural meanings. In addition, the uniqueness of the technique is distinct, and it is deeply related to Goryeo, who was in charge of the use of technology and craftsmanship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etal craft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handed down. I think research on future techniques should be continued in depth.

선각기법(線刻技法)은 기물 표면에 문양이나 글자 등을 기면보다 낮게 파 새기는 금속공예의 시문기법이다. 선사시 대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이 기법은 금속공예의 시문 기법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또 기법의 특성에 기인해 가장 보편적인 기법으로 광범위하게 쓰였다. 단독 또는 입사(入絲)와 같은 다른 기법의 시문 공정에 선행 기법으로 사용되거나, 타출(打出)이나 어자문(魚子紋) 등 타 기법과 병용되었다. 이처럼 선각은 금속공예품의 제작 및 시문 기법 전반에 걸쳐 유기성을 갖고 전개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주제인 고려시대 금속공예에서의 선각기법은 통일신라시대까지 구축되어 계승된 기술의 전통을 기반으로 사용되었다. 또 당시 금속기의 유행 경향과 사용풍조, 중국과의 외교관계에 따른 인적, 물적 유입과 기술 교류 등 사회상과 결합되어 이전보다 다채롭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고려시대 선각기법의 기술과 시문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선각의 범주와 세부 기법을 고찰하고, 고려시대 이전까지의 흐름을 짚었다. 그리고 유물과 문헌을 바탕으로 고려 당대의 용어를 분석해 당시 기법에 대한 인식을 고찰해보았다. 또, 선각의 세부 기법과 시문 과정을 토대로 기법의 시문 기술을 살펴본 후 현전하는 유물의 재질을 물성과 강도를 기준으로 분류해 기법의 활용 유형을 분석했다. 특히 고려시대는 전쟁이나 사회 내 유행 등 시대상에 기인해 성행한 금속 재료의 사용 비중과 양상에 차이가 분명하기에 재질로 유형을 나누어 유물에서의 기법 양상을 분석했다. 그동안 선각기법은 유물에서 너무나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법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장식 효과가 극대화된 입사나 타출, 투조 등 여타 금속공예의 시문 기법에 비해 조망 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기법이 지닌 보편성은 전 시대에 걸친 넓은 사용을 전제로 한다. 실제 선각은 우리나라와 여러 문화권의 현전하는 금속 유물에서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반영해 나타난다. 한편으로는 오랜 기간 당대의 공예 문화를 구현한 무형의 유산인 기술로 이어져 조각장과 선각 장식을 사용하는 무형문화재 여러 분야에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선각기법이 지닌 보편성이 시사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
  2. 唐六典
  3. 東國李相國集
  4. 東國李相國集後集
  5. 牧隱集
  6. 三國史記
  7. 宣和奉使高麗圖經
  8. 新增東國輿地勝覽
  9. 宋史
  10. 경기문화재연구원, 양주시, 경기도, 2016, 회암사V
  11. 경기문화재연구원, 양주시, 경기도, 2017, 회암사VI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조각장(중요무형문화재 35호), 피아, p.21
  13. 김세린, 2019, 조선시대 금속공예 入絲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4-96
  14. 김세린, 2019, 고려시대 입사공예품의 장인과 기술, 한국중세고고학 5, 한국중세고고학회, pp.55-59
  15. 김세린, 2013, 고려시대 금제와 공장제를 통해 본 금속상감기법의 양상, 미술사논단 36, 한국미술연구소, pp.167-200
  16. 김은애,2007, 고려시대 타출 공예 연구, 미술사학연구 253, 한국미술사학회,pp.31-72
  17. 김은애, 2003, 고려시대 타출공예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서성호, 1997, 고려 전기 手工業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8-19
  19. 신숙, 2007, 고려와 중국의 금속공예 교류관계, 신안선 속의 금속공예, 문화재청, 국립해양유물전시관, pp.232-245
  20. 안귀숙, 2010, 고려 금속공예에 보이는 요문화의 영향, 이화사학연구 40,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p.120
  21. 안귀숙, 2004,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대중 교섭, 고려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pp.153-192
  22. 우주옥, 2009, 고려시대 선각불상경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난영, 2012,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 출판부, pp.50-51
  24. 임지윤, 2011, 고려시대 어자문 금속공예품 연구, 미술사학연구 271.272, 한국미술사학회,pp.5-44
  25. 임지윤, 2007, 고려시대 어자문공예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장남원, 2014,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기명류 연구, 역사와 담론 70, 호서사학회, p.191
  27. 최응천, 2018,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p.148
  28. 최응천, 2004,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장인, 미술사학연구 241, 한국미술사학회. p.173
  29. 최응천, 2004, 고려후기 전환기의 미술특집: 고려후기의 금속공예, 강좌미술사 2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p.125-155
  30.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 www.iha.go.kr/service/index.nihc
  31.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32. 리움 홈페이지 www.leeum.org
  33. 이뮤지엄 홈페이지 www.e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