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Making of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in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 Received : 2020.03.26
  • Accepted : 2020.05.01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Six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excavated from stone chamber No.1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kam-ri, Naju. The ornamental quiver fittings are metal, but the body of the quiver was made of organic material, so that it corroded and disappeared in the burial environment.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made in pairs, and decorated one quiver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y were found in and their forms.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 band style ornament (帶輪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arrow pouch, and a board style ornament (板狀金具) which decorates the board connecting the waist belt. Two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2 of stone chamber No.1, were made in the band style, while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from southeast of stone chamber No.1 were identified as two boardstyle ornaments and two band-style ornaments for what was presumed to be belt loops. Material analysis of th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shows that they are made of a gilt bronze plate attached to an iron plate, and the surface is marked with a speck of chisel to make lines and patterns.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XRF) established that 24~40wt% Au and 50~93wt% Cu were detected on the gold surface, and it was confirmed that bronze corrosion had taken place on the gilt surface. SEM-EDS analysis of the gold plating layer identified a working line for glossing, and 7~9wt% Hg and an amalgam of gilt layers was detected, confirming the amalgam gilding. CT and FT-IR analysis established that the band style was double-layered with silk fabric under the iron plate, and there was also a lacquer piece underneath. The band-style ornaments have two layers of silk under the iron plate, along with lacquer pieces. Adding the fabric to the arrow pouch increases adhesion and decorative value. It is assumed that the lacquer pieces indicate that the surface of the lacquered arrow pouch had fallen together with the ornaments. On the other hand, the board-style ornaments have a thick layer of organic matter under the iron plate, but this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appears to be a remnant of the quiver boar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were similar in Baekje, Silla, and Gaya cultures from the late 4th to the late 5th centuries, and enable us to identify the art of ancient gold craftwork at that time.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1호 석실에서 화살통 장식 6점이 출토되었다. 유기물로 만들어진 화살통은 매장 상태에서 부식되어 없어지고 금속으로 만들어진 화살통 장식물만 남게 된다. 정촌 고분 화살통 장식은 형태적으로 2점씩 쌍을 이루며, 출토 위치에 따라 화살통 2점을 장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살통 장식은 화살의 방입부(方立部)를 꾸며주는 대륜상금구와 방입부와 허리띠를 연결하는 배판(背板)을 장식하는 판상금구로 나누어진다. 1호 석실 목관2에서 출토된 화살통 장식은 대륜상금구만 확인되었으며 1호 석실 동남쪽에서 확인된 화살통 장식은 허리띠에 사용된 추정 대구, 판상금구, 대륜상금구가 확인되었다. 화살통 장식의 분석 결과, 철제 판에 금동 판을 접합한 철지금동장식제(鐵地金銅裝飾製)이며 표면을 정(釘)으로 점을 찍어 선과 문양을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성분 분석 결과(XRF), 금동 표면은 24~40wt% Au, 50~93wt% Cu가 검출되어 금도금 표면에 청동 부식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도금 층의 SEM-EDS 분석 결과 광택을 내기 위한 작업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7~9wt% Hg가 검출되고 도금 층에 아말감 덩어리가 확인되어 아말감 도금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T와 FT-IR 분석 결과 대륜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견직물이 2중으로 겹쳐 있으며 그 아래 옻칠편도 붙어 있었다. 이는 대륜상금구를 방입부에 부착할 때 직물을 덧대어 밀착력과 장식성을 높였으며, 옻칠 된 방입부 표면이 함께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판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유기물이 두껍게 붙어 있다. 재질을 확정하기 어려우나 배판의 잔재로 보인다. 이러한 나주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특징은 4세기 후반~5세기 후반의 백제, 신라, 가야 문화권과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며 당시 수준 높은 고대 금속 공예 제작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慶尙大學校博物館, 1990, 陜川 玉田 古墳群 II M3號墳, p.85
  2. 公州大學校博物館, 2000, 龍院里 古墳群, pp.59-60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4, 한국 목기자료집 III 무기.의례구.기타, p.56
  4. 國立光州博物館, 1988, 羅州潘南古墳群 綜合調査報告書, p.139
  5.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羅州 伏岩里 丁村古墳 발굴조사보고서, pp.505-509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옻과 교의 접착 특성 연구, p.31
  7. 金昌鎬, 1997, 東萊福泉洞 22號 盛矢具의 임시 복원안 古文化 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189-201
  8. 金昌鎬, 2000, 東萊福泉洞 22號 盛矢具 復元案 補遺 - 天安 龍院里 9號 石槨墓의 盛矢具 出土 狀態 解釋과 함께 慶北史學 23, 慶北史學會, pp.527-539
  9. 釜山大學校博物館, 1990, 東來福泉洞古墳群II, pp.50-53
  10. 馬韓.百濟文化硏究所, 2016, 高敞 鳳德里 1號墳 종합보고서, p.74-85
  11. 이현숙, 1999, 百濟 盛矢具에 대한 檢討 - 天安 龍院里 遺蹟 出土品을 중심으로 百濟文化 28호, pp.85-103
  12. 이현상,이혜연,오동선,강민정, 2018,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기술과 복원 文化財 51, 국립문화재연구소, p.97
  13. 임지영, 오카다 후미오, 2018, 김해 대성동 88호분 출토 칠도막 분석 보존과학회지 34(1), p.53
  14. 전용일, 2006, 금속공예 기법, 미술문화, pp.119-120
  15. 조남철, 김수철, 김우현, 신연식, 2010,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보존과학회지 26(4), pp.373-374
  16. 崔種圭, 1986, 盛矢具考 釜山直轄市立博物館 年報 第9輯, pp.41-60
  17. 韓國考古環境硏究所, 2015, 燕岐 羅城里遺蹟, p.457
  18. Rong Lu and Tetsuo Miyakoshi, 2015, LACQUER CHEMISTRY AND APPLICATIONS, pp.2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