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ultural Legislation of Historic Proper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hosun Treasure Historic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Decree (1933) -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 Kim, Jongsoo (Dept. of Education Pla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stitute of Traditionale)
  • 김종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기획과)
  • Received : 2020.03.04
  • Accepted : 2020.05.02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reservation Decree (1933) is the basic law relevant to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of colonial Chosun, and invoked clauses from the Old History Preservation Act (1897), the Historic Scenic Sites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Act (1919), and the National Treasure Preservation Act (1929), which were all forms of Japanese Modern Cultural Heritage Law, and actually used the corresponding legal text of those laws. Thus,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Decree transplanted or imitated the Japanese Modern Cultural Heritage Law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stitution can be proved to some extent. The mai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ation Decree are summarized below. First, in terms of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the Preservation Decree strengthened and expanded preservation beyond the existing conservation rules. In the conservation rules, the categorie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limited to historic sites and relics, while the Preservation Decree classifies cultural properties into four categories: treasures, historic sites, scen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Decree is considered to have advanced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law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for conserving cultural property, expanding the scope of cultural property, introducing explicit provisions on the restriction of ownership and the design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and defining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natural treasury. Second, the Preservation Decree admittedly had limitations as a colonial cultural property law. Article 1 of the Preservation Decree sets the standard of "Historic Enhancement or Example of Art" as a criteria for designating treasures. With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acted as a criterion for catering to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governor's assimilation policy, revealing its limitations as a standard for preserving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Japanese imperialists asserted that the cultural property law served to reduce cultural property robbery, but the robbery and exporting of cultural assets by such means as grave robbery, trafficking, and exportation to Japan did not cease even after the Preservation Decree came into effect. This is because governors and officials who had to obey and protect the law become parties to looting and extraction of property, or the plunder and release of cultural property by the Japanese continued with their acknowledgement,. This indicates that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at that time did not function properly, as the governor allowed or condoned such exporting and plundering. In this way, the cultural property law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stituted discriminative colonial legislation which was selected and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the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and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of Japan focused on the use of cultural assets as a means of realizing their assimilation policy.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he cultural property legisl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sed as a mechanism to solidify the cultural colonial rules of Chosun and to realize the assimilat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보존령(1933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기본 법령으로서 앞서 시행된 일본의 근대 문화재 법제인 「고사사보존법(1897년)」,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1919년)」, 「국보보존법(1929년)」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제 그들 법령의 해당 법조문을 원용하였다. 이로써 「보존령」이 조문 구성에 있어서 일본 근대 문화재 법제를 이식 또는 모방하였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입증된다고 할 수 있다. 「보존령」의 주요 특징과 성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보존 측면에서 볼 때, 「보존령」은 기존 「보존규칙」보다 보존을 강화하고 확대하였다. 「보존규칙」에서는 문화재 범주를 고적과 유물로 한정했으나 「보존령」에서는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등 4가지로 문화재를 분류하였다. 또한 「보존령」은 문화재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 문화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소유권 제한에 대한 명시적 규정과 문화재 지정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고 보조 지원 근거를 규정함으로써 문화재 보존 법제로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그러나 「보존령」은 식민지 문화재 법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보존령」 제1조에서 보물의 지정 기준으로 "역사의 증징(證徵) 또는 미술의 모범"이란 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이 기준은 일제의 관점에서 총독부의 동화정책에 입각하여 문화재를 취사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문화재 보존 기준으로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일제는 「보존령」의 시행으로 문화재 법제가 완비되어 문화재 도굴이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보존령」 시행 이후에도 도굴과 밀매매 그리고 일본으로의 반출 등 문화재 약탈과 반출은 끊이지 않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굴과 밀매 외에도 법령을 준수하고 수호해야 할 총독과 총독부 관료들이 약탈과 반출의 당사자가 되거나 그들의 묵인하에 일본인들에 의한 문화재 약탈과 반출이 지속적으로 자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문화재 법제가 총독부가 허용한 또는 묵인한 반출과 약탈에는 법적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법령은 문화재 지정과 보존에 있어서 총독부의 시각에서 선택되고 적용된 식민지의 차별적 법제였으며, 일제의 문화재 정책 또한 그들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이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문화적 식민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총독부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총독부, 1923, 朝鮮總督府施政年譜 (대정12년)
  2. 조선총독부, 1924, 古蹟及遺物登錄臺帳抄錄附參考書類
  3. 조선총독부, 1935, 施政25年史(소화10년 10월 1일), p.227
  4.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http://www.museum.go.kr/modern-history/main.do)
  5. 문화재청, 2010, 국외문화재 출처 기록조사 및 DB 구축, pp.78-95
  6. 문화재관리국, 1992, 조선총독부및문교부발행문화재관계자료집, pp.9-10
  7. 국외소재문화재재단 편, 2014, 오구라컬렉션-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 pp.80-81
  8. 부산근대역사관 편, 2007, 근대, 관광을 시작하다
  9.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史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法規(1934년)(http://teikokugikai-i.ndl.go.jp/)
  10. 김병문, 2010, 일제침략기 지방행정구역 변천과정, <<사회과학연구>> 제26집 제1호,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358
  11. 김신재, 2016,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지배정책과 동화정책, <<동국사학>> 제60권, 동국역사문화연구소, p.207
  12. 김종수, 2016, 일제강점기 부여고적의 재해석과 고적관광의 성격, <<문화재>> 제49권 제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91
  13. 김종수, 2019, 한국 문화재 제도 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4. 서효원, 2018,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수리공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p.127
  15. 오세탁, 1982, 문화재보호법 연구 : 문화재향유권의 법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pp.62-63
  16. 이기성, 2009,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회와 고적급유물보존규칙 -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의 제도적 방식(1), <<영남고고학>> 제51호, 영남고고학회
  17. 이기성, 2010,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제도에 관한 검토,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18. 이순자, 2009,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사업 연구, 경인문화사, p.235
  19. 이홍직, 1950, 國寶古蹟攷, <<신천지>>제5권 6호, 서울신문사, pp.122-123
  20. 藤田亮策, 1963, 朝鮮古蹟調査, <<朝鮮學論考>>, 藤田先生記念事業會, p.69
  21. <<조선총독부관보>>제1528호(소화7년, 1932년 2월 13일)
  22. <<동아일보>>(1937년 6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