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anatory Correction Notes for Lowell's Chosön Photographs in the Boston Museum of Fine Art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재 로웰의 조선 사진 설명문의 오류와 정정 방안

  • 정영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 Received : 2019.12.30
  • Accepted : 2020.05.1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Percival Lowell took photographs of 80s during his stay in Korea in the winter of 1883 and 1884. The photographs are the first in the history of Korea and contain various and precious information about Korea of the day. As such, they could be used for purposes of studying late 19th century Chosōn society. The 61 photographs that are archived in Boston Museum of Fine Art were catalogu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have been posted online with incorrect explanations by Boston Museum of Fine Art. The explanations have been composed and revised at least four times on the basis of Lowell's writings and archivists' understandings of Korea. However these explanations contain many errors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photographs, yet have been cited by researchers and books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 I examined the explanations, analyzed Lowell's writings and diplomatic documents, and confirmed the locations where the photographs were taken. Accordingly, I suggest improved explanations of the photographs to prevent misuse of the Boston Museum of Fine Art's online archive. Lowell's photographs of Chosōn have very high historical value and could be used in various cultural fields because of their various contents and high definition. However, they belong to America and are not cared for sufficiently. Therefore, I suggest that high definition digital scans and prints of the photographs be generated for the sake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collection.

퍼시발 로웰이 1883년-1884년에 조선에서 촬영한 사진들은 최초의 고종의 사진을 비롯하여 모두가 서울에서 촬영된 최초이자 유일한 사진들이기 때문에 19세기 말의 조선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로웰의 사진 자료들 중 인화된 사진 61장은 미국의 보스턴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그 간단한 목록은 한국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서 정리된 바도 있다. 이 사진들은 보스턴미술관의 웹페이지를 통해서 게시되고 있는데 사진 설명문들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이 사진 설명문들은 로웰의 사진 설명과 로웰의 저서의 내용 그리고 아키비스트들의 한국 관련 지식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오·탈자와 함께 사진의 내용과 상응하지 않는 설명도 포함하고 있는 등 문제가 적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로웰의 사진 설명문에 근거했을 사진 설명문은 4번 이상 개정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의 사진 설명문은 로웰의 설명문과 아키비스트의 설명문이 구별되지 않는 방식으로 게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로웰의 사진들은 지난 130여 년 동안 조선의 옛 모습에 대한 여러 연구와 책자에서 잘못된 설명과 함께 인용·수록되어왔다. 공공기관의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는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료로 이용되는 해외 문화재의 오·인용을 방지하고자 필자는 로웰의 저서와 문서 및 외교 사료 등을 분석하여 로웰의 사진이 품고 있는 내용과 사진의 촬영지 및 촬영 대상을 비정하여 보스턴미술관이 게시하고 있는 사진 설명문의 정정 및 추가 설명을 제시했다. 로웰이 조선에서 촬영한 80여장의 사진 자료들은 해상도가 높고 풍부한 내용을 품고 있기 때문에 사료로서의 가치와 활용성이 매우 높은 것들이지만 모두가 미국에 소장되어 있고 관리 또한 매우 부실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인화된 사진과 유리건판을 고해상도 디지털 스캔 및 대형 사진 인화 작업 등을 수행하여 그 결과물들을 국내에 소장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행가, 2005, 고종의 초상,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 김원모, 1997, 유미 조선보빙사 수원 최경석.오예당.로우엘 연구, 동양학, Vol.27, pp.193-225.
  3. 정영진, 2019a, 최초의 고종 어사진에 대한 고찰, 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 Vol. 22-1. 현대사진영상학회, pp.45-60.
  4. 정영진, 2019b, 퍼트남자료관에 소장된 로웰의 조선관련 사진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60호, 한국기록학회, pp.239-281. https://doi.org/10.20923/kjas.2019.60.239
  5. 정영진, 2019c, 퍼시발 로웰의 서울 사진에 대한 고찰, 서울과 역사, 제102호, 서울역사편찬원, pp.7-56. https://doi.org/10.22827/SEOUL.2019..102.001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pp 360-369.
  7. 김원모.정성길, 1997, 사진으로 본 백년전의 한국:근대 한국(1871-1910), 가톨릭출판사.
  8. 박도, 2012, 개화기와 대한제국, 눈빛, p.132.
  9. 서울역사박물관, 2004, 도성대지도, 서울역사박물관. pp.124-125.
  1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2, 경성부사 1, 서울특별시, pp.422-423.
  11. 서울특별시사편잔위원회, 1998, 서울의 고개, 서울특별시, pp.66-67.
  12. 송병기, 2001, 국역 윤치호 일기 1, 연세대학교출판부.
  13. 신복룡.김운경, 1999, 묄렌도르프 자전(외), p.75, 집문당. 서울.
  14. 이상배 등, 2012, 서울의 누정.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15. 조경철, 1986, 고요한 아침의 나라, 대광문화사.
  16. 조경철, 2001,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 사람들, 예담.
  17. 최인진, 2010, 고종 어사진을 통해 세계를 꿈꾸다, 문현.
  18. 한성순보, 1884년, 31호 p.5
  19. Hyung Il Pai, 2016, 'Visualizing Seoul's Landscapes: Percival Lowell and the Cultural Biography of Ethnographic Images',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21, N. 2,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pp 369-371.
  20. Percival Lowell(1885), 'THE HONG SAL MUN, OR THE RED ARROW GATE', SCIENCE , Vol. V. No. 12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438-440. https://doi.org/10.1126/science.ns-5.121.438
  21. Hamilton, Angus., 1904a, KOREA, William Heinemann, London.
  22. Hamilton, Angus., 1904b, KOREA, das Land des Morgenrots , p.84, 131, 137, 146, 205, Verlag von Otto Spamer, Leipzig
  23. Lawrence, Mary V. Tingley., 1918, A DIPLOMAT'S HELPMATE , p.37, H. S. Crocker Company, San Francisco.
  24. Lowell, Percival., 1886, CHOSON, THE LAND OF MORNING CALM , A SKETCH OF KOREA, Ticknor and Company.
  25. Strauss, David., 2001, Percival Lowell-The Culture and Science of a Boston Brahmin, Harvard University Press, p 82.
  26. Lowell, Percival., 1884a, Letter to Elizabeth Lowell Putnam, Apr, 25,1884, HOLLIS Number 007962405, bMS Am2078, Negative Microfilm in Houghton Library, Harvard University.
  27. Lowell, Percival., 1884b, Letter to Amy Lowell, Tokio, Apr. 4. 1884, bMs Lowell19(761), The Houghton Library, Harvard University.
  28. 중인들의 청계천,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cheonggye/intro/life4.jsp
  29. https://collections.mfa.org/advancedsearch/Objects/peopleSearch%3APercival%20Lowell/images?page=1
  30. Photographs of Lowell in Putunam Collection Center, http://www2.lowell.edu/Research/library/pub/main.php?selection=historic_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