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bility and Damage Evaluation of the Buddha Triad and 16 Rock-Carved Arhat Statues at Seongbulsa Temple in Cheonan, Korea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과 16나한상의 손상도 및 안정성 평가

  • Yang, Hyeri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o, Young Hoon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양혜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0.08.20
  • Accepted : 2020.11.03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e Buddha triad and 16 Arhat statues carved on the rock surface at Seongbulsa temple is the only domestic remaining example of all 16 Arhats, so its academic value is very high. However, it is severely damaged and so required a stability evaluation through study of digital documentation and precise diagnosis for the purpose of comprehensive conservation. This process established that the Buddha statues were of similar scale, while the Arhats showed a wide variety of sizes, and the two kith and kin in the volume were larger than the Arhats. It was estimated that the statues of food for Buddha are similar to the Arhat statues, and most of the statues are well-formed. The rock used to carve the Buddha statues is banded gneiss with distinct foliation, alternating between white bands of quartz and feldspar and black bands composed of biotite. The Buddha statues have been damaged by physical weathering, discoloration, and biological contamination. In damage evaluations, joint (3.6 crack index), peeling (5.2%), exfoliation (1.7%), and falling off (0.1%) were observed on the rock surface of the Buddha statues. In particular, due to severe biological weathering, stage 9 and 10 biological coverage of the rock surface accounted for 57.5% of the total area, and stages 5 to 8 also accounted for a high share at 22.3%. The discoloration factors were shown to be dark brown and white with Fe, Ca, and S, and a large amount of C detected in the blackened contaminants, and the damage weight high in all areas. Discontinui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ere identified in the rock surface. Analysis of potential rock failure types indica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plane and toppling failure, but wedge failure is unlikely to occur. The mean ultrasonic velocity of the main rock surface was 2,463m/sec, the lower part of the left side with a large number of joints was relatively low, and the highly weathered (HW) type to the completely weathered (CW) type concentrated distribution, showing weak properties. For the Buddha statues, conservation treatment is required for about 14.9% of micro cracks and 58.9% of exfoliation cracks.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of the Buddha statues, maintenance of drainage and ground preparations for the rock surface gradient and plants are necessary, and protection facilities should be reviewed for long-ter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urposes.

천안 성불사 마애불은 16나한이 모두 남아있는 국내의 유일한 예로 학술적 가치가 아주 높으나 심하게 손상되어 있어, 보존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디지털 기록화와 정밀 진단을 바탕으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 삼존불은 비슷한 규모이나 나한상은 매우 다양한 크기를 보였으며, 권속 2구는 나한상에 비해 크다. 추정공양상은 나한상과 유사하며, 대부분의 존상은 형상과 제작기법이 잘 드러난다. 마애불이 새겨진 암반은 편리 구조가 뚜렷한 호상편마암으로,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진 우백대와 흑운모로 구성된 우흑대가 교호하며 미량의 백운모를 포함한다. 이 마애불에는 물리적 풍화와 변색 및 생물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암면에는 미세 균열 1,131cm, 박리상 균열 1,061cm, 구조상 균열 1,456cm, 절리 1,277cm로 나타났다. 손상도 평가 결과, 절리 3.6(균열지수), 박리 5.2%, 박락 1.7%, 탈락 0.1%로 산출되었다. 특히 생물학적 풍화가 심하여 주암면의 생물피도는 9단계와 10단계가 전체 면적의 57.5%를 차지하였고, 5~8단계도 22.3%로 아주 높았다. 표면 변색 요인은 Fe과 Ca 및 S로 암갈색과 백색으로 나타나고 흑화 오염물에서는 다량의 C가 검출되며, 모든 영역에서 손상 가중치가 매우 높다. 마애불 암반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불연속면이 확인되었다. 암반의 파괴유형 분석 결과, 평면 파괴와 전도 파괴의 가능성이 있으며 쐐기 파괴는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주암면의 초음파 속도는 평균 2,463m/s이며, 절리대가 많은 좌측면 하부가 상대적으로 낮아 상당히 풍화된 단계(HW)와 완전히 풍화된 단계(CW)가 집중 분포하는 취약한 물성을 보였다. 이 마애불에서는 미세 균열의 14.9%와 박리상 균열의 58.9% 정도에서 보존처리가 요구된다. 또한 마애불의 보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수목 정비와 암반의 구배를 고려한 배수 시설 및 지반 정비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보존 관리를 위해 보호 시설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병우, 남기상, 이종덕, 1979, 한국지질도 천안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pp.1-17
  2. 이찬희, 이명성, 2005, 우리나라 석조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방안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9, pp.13-21
  3.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2005,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p.401-413
  4. 이찬희, 전유근, 조영훈, 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화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 pp.153-164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53
  5. 이찬희, 조영훈, 김선덕, 2012, 함안군 대치리 공룡발자국 화석의 3차원 영상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과학적 보존처리 지질학회지 48, pp.179-191
  6. 이찬희, 조영훈, 전유근, 2009,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보존과학회지 25, pp.233-244
  7. 조영훈, 이찬희, 2009,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마곡사오층석탑 보존과학회지 25, pp.115-130
  8. 조영훈, 이찬희, 2011,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보존과학회지 27, pp.251-260
  9. 조영훈, 이찬희, 2012, 석조문화유산의 형상분석을 위한 3차원 디지털복원과 표면심도모델링: 해운대 석각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28, pp.87-94 https://doi.org/10.12654/JCS.2012.28.1.087
  10. 조영훈, 이찬희, 2015, 석조문화유산의 표면 요철도에 적합한 초음파 탐촉자 및 접촉매질 선정 연구 보존과학회지 31, pp.267-278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7
  11. 조영훈, 이찬희, 유지현, 2013, 석조문화유산의 박리검출을 위한 수동적 적외선 열화상분석의 적용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29, pp.55-67 https://doi.org/10.12654/JCS.2013.29.1.06
  12. 최성은, 2000, 천안 성불사 고려시대 마애십육나한상 문화재 33, pp.162-181 https://doi.org/10.22755/kjchs.2000.33.162
  13. Barton, N., 1973, Review of a new shear strength criterion for rock joints Engineering Geology 7, pp.287-332 https://doi.org/10.1016/0013-7952(73)90013-6
  14. Barton, N., 1976, The shear strength of rock and rock j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 & Geomechanics Abstract 13(9), pp.255-279 https://doi.org/10.1016/0148-9062(76)90003-6
  15. Iliev, I.G., 1966, An attempt to estimate the degree of weathering of intrusive rocks from their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Rock Mechanics 1, pp.109-114
  16. Jo, Y.H., Lee, C.H., 2014, Quantitative modeling of blistering zones by active thermography for deterioration evaluation of stone monument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5, pp.621-627 https://doi.org/10.1016/j.culher.2013.12.002
  17. Lee, C.H., Jo, Y.H., 2017, Correlation and correction factor between direct and indirect methods for the ultrasonic measurement of stone sampl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 76, pp.477-489 https://doi.org/10.1007/s12665-017-6810-7
  18. Odonne, F., Lezin, C., Massonnat, G., Escadeillas, G.,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aperture, spacing distribution, vertical dimension and carbonate stratification: An example from the Kimmeridgian limestones of Pointe-du-Chay (France)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9, pp.746-758 https://doi.org/10.1016/j.jsg.2006.1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