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llenging and Responding to Christian Education for Women from the Period of Port-Opening to the National Movement of 1919: 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t Christian Curriculum

개항기부터 1919년 민족운동시기까지의 여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도전과 응전: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 관점에서의 해석과 재구성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09.2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dis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male-centered social structure is being requested, but the Korean church still call on women and understand women's roles by limiting them based on traditional 'normal family ideology' and matherhood discourse. However, considering women's various aspects of life, life cycle, and individuality, confining women to existing biological maternal discourse is not suitable to help women grow as subjective leaders and contribute to society. The Korean church needs to find a new curriculum that encourages women to form subjective beliefs. In the life of Christian women of the period of port-opening, we can examine the process of the Korean Christian wome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of the challenges of Protestant theology, which included stereotypes,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matherhood discourse. Korean Christian women shared the oppressive experiences of traditional patriarchy after passing silent and receptive perceptions, forming a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injustice and seeking liberation. And it was able to act as a subject of faith by forming a procedural and constructive awareness within a sympathetic and relational community. The Korean church should reconstruct the Christian women's curriculum by reflecting on the curriculum that women formed themselves over 100 years ago.

기존 사회 패러다임인 가부장제의 남성중심적인 사회 구조의 해체와 재구성이 요청되고 있으나 한국 교회는 여전히 전통적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모성 담론에 의거하여 여성을 호명하고, 여성의 역할을 이에 국한시켜 이해하려는 종교적 해석과 문화적 관습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여성의 다양한 삶의 양태와 생애사적 주기, 그리고 개별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생물학적 모성 담론으로 여성을 국한시키는 것은 여성이 주체적인 리더로서 성장하여 사회와 인류공동체에 기여하도록 돕기에 적합하지 않은 일이다. 한국 교회는 여성의 주체적 신앙 형성을 격려하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개항기 기독교 여성들의 삶에서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별 분업, 모성담론을 담고 있는 당시 개신교 신학의 도전에 대해 한국 기독교 여성들이 주체성을 확립해나가는 응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침묵과 수용적 인식을 지나 전통 가부장제의 억압적 경험을 나누면서 이의 부당함을 느끼고 해발을 찾아가는 주관적인 인식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공감적이고 관계적 공동체 안에서 절차적이고 구성적인 인식을 형성하여 신앙의 주체자로 행위할 수 있었다. 한국교회는 100여년 전 선배 여성들이 스스로 형성했던 교육 과정을 성찰하면서 기독교 여성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89881)

References

  1. 강병주 (1922). 종교와 어머니. 대설교전집 1920-1925.
  2. 강선미 (2005). 한국의 근대 초기 페미니즘 연구. 서울: 푸른 사상.
  3. 강호숙 (2013). 개혁교회 내 성차별적 설교에 대한 여성신학적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2, 301-326.
  4. 권혁위 (2020). 성경에서 말하는 행복한 부부관계. 서울: 지식과 감정.
  5. 기독교여성평화연구원 (1992). 여성이 바라는 설교: 새로운 교회, 새로운 설교. 서울: 평화사.
  6. 대한크리스도인회보 (1892).
  7. 문화일보 (2003). 2003년 11월 22일. 11월 26일 기사.
  8. 박노권 (2012). 여성의 목사안수 논쟁에 대한 소고. 신학과 현장. 22.
  9. 백낙준 (1995). 한국개신교사. 서울: 연대 출판부.
  10. 백소영 (2009). 엄마되기: 아아프거나 미치거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1. 백은미 (2014). 여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 백은미 (2017). 기독교 교육과정에 내재한 여성혐오 분석과 대안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51.
  13. 손승희 외 9인 (2001). 성과 여성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4. 유길준 (1895). 서유견문.
  15. 윤소정 (2013). 오늘날 한국교회 여성목사 안수와 교회 현장에서의 문제들. 기독교사상. 651. 175-193.
  16. 이경아 (2009). 모성에 대한 여성주의 재사유. 한국여성철학. 11. 173-197. https://doi.org/10.17316/KFP.11..200906.173
  17. 이덕주 (1990). 한국교회 처음여성들. 서울: 기독교문사.
  18. 이덕주, 송인규 (2013). 한국교회와 여성. 서울: 한국교회탐구센터.
  19. 이숙진 (2006). 한국기독교와 여성 정체성. 서울: 한들출판사.
  20. 이우정 (1985). 한국기독교여성 백년의 발자취. 서울: 민음사, 1985.
  21. 이윤희 (1991). 한국민족주의와 여성운동. 서울: 신서원.
  22. 이찬갑 (1936). 부녀는 교회 안에서 잠잠하라. 성서조선.
  23. 이효재 (1983). 교회여성 활동의 개관과 평가. 예수, 여성, 민중. 서울: 이우정 선생 회갑 기념논문집 출판위원회.
  24. 임희숙 (2017). 교회와 섹슈얼리티. 서울: 동연.
  25. 전삼덕 (1927). 내 생활의 약력. 승리의 생활. 서울: 조선예수교서회.
  26. 정재걸, 이혜영 (1994).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1)- 개화기의 학교교육.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7. 정재영 (2018). 성 평등에 대한 개신교인의 인식. 페미니즘 시대의 그리스도인. 서울: IVP.
  28. 정충량 (1968). 이화 80년사. 서울: 이대출판부.
  29. 조윤희 (1994). 한국교회의 여성안수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여성신학. 19. 36-52.
  30. 조형 외 5인 (2007). 여성주의 시티즌의 모색.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1. 최유리 (2017. 3. 25) "이것이 '교회내 여성혐오' 아무말 대잔치다", 뉴스앤조이.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09845에서 인출.
  3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화학당". 2018. 5. 14.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618에서 인출
  33.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18 한국교회 인권교육 실태조사 보고서". 2018. 11. 21. http://www.kncc.or.kr/newsView/knc201811210002에서 인출
  34. 한국기독교백주년기념사업협의회 여성분과위원회 편 (1985). 여성, 깰지어다 일어날지어다 노래할지어다: 한국기독교 여성 100년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35. 한국여성신학회 (2016). 위험사회와 여성신학. 서울: 동연.
  36. 한국여성신학회 (2018). 혐오와 여성신학. 서울: 동연.
  37. 황실메리활터쓰 (1916). 부인친목회. 신학월보.
  38. 홍병선 (1916). 주일학교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 신학세계.
  39. Belenky, M. et al. (1986). Women's ways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New York: Basic Books.
  40. Dallet, C, C. (1979). 한국천주교회사 상. 안응렬.최석우 역. 서울: 분도출판사. (원저 1874 출판)
  41. Gale, J. S. (1999). 전환기의 조선, 신복룡 역. 서울: 집문당. (원저 1909 출판)
  42. Harris, M. (1988). Women and teaching: themes for a spirituality of teaching. NJ: Paulist Books.
  43. Helly, D. O. & Riverby, S, M. (1993). Gender domain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44. Russel, L, M. (2003). 여성신학사전. 황애경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1996 출판)
  45. Underwood & L, H. (1910). The problem concerning New Belivers. KM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