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석 (2009).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강민석.임걸 (2013).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1014-102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14
- 김미량.김진숙 (2007).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44-58. https://doi.org/10.5392/JKCA.2007.7.10.044
- 김은주 (2004).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사전성취도와 의사소통 성향의 개인차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2(3), 123-151.
- 곽신정 (2016). 사이버대학의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태도, 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권호천 (2009). 사회과학을 위한 회귀분석. 서울: 법문사.
- 유지은 (2020). 비대면 수업 운영사례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2020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 이상균(1999). 학교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석재.장유경.이헌남.박광염(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P 2003-15-3. 한국교육개발원.
- 이쌍철.김정아 (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2), 115-138.
- 이영.박인우 (2012).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8(1). 137-168.
- 이종연.김주리(2013). 대학 모바일러닝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간의 구조적계 분석. 한국교육, 40(1), 49-79.
- 이정미.이길재 (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3), 133-153.
- 이종연.이은진 (2010).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 41(3), 119-14.
- 서정희.구양미 (2010). 사이버가정학습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 37(4), 207-238.
- 송준미 (2012).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 장몽요.김영 (2019).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44(4), 251-286. https://doi.org/10.32780/ktidoi.2019.44.2.103
- 전규태 (2009).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술실대학교.
- 정연희 (2000).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과 만족도의 차이.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정재삼.임규연 (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요인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16(2), 107-135.
- 조아라.노석준 (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9(4), 849-879.
- 채유정.이성혜.박성희 (2016).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영재교육연구, 26(4). 611-633. https://doi.org/10.9722/JGTE.2016.26.4.611
- Beaudoin, M. (2001). Learning or lurking?: Tracking the 'invisible' online student.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 147-155. https://doi.org/10.1016/S1096-7516(02)00086-6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erge, Z. (1997).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ing in post-secondary, formal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37(3), 35-47.
-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Gilbert, L., & Moore, D. R. (1998). Building interactivity into web courses: Tools for social and instructional interaction. Educational Technology, 38(3), 29-35.
- Jiang, M. & Ting, E. (1999). A Study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in a web-based online environment. Proceedings of WebNet World Conference on the WWW and Internet 1999, 575-580.
- Hong, S., Malik, M. I., & Long,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386-43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Knowles, M. (1975). Self-direction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4.
- Merriam, S. B. (2001). Andragogy and self directed learning: pillars of adult learning theory.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89) 3-14. https://doi.org/10.1002/ace.3
- Moore, M. G.(1993).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 K. Harry, M. John & D. Keegan(eds.). Distance education: New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 Moore, M. G., & Kearsley, G.(1996). Distance education-A systems view. Bost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Morris, L. V., Wu, S., & Finnegan, C. (2005). Predicting retention in onlin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1), 23-36.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901_3
- Nota, L. Soresi, S. & Zimmerman, B. J.(2004).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resilie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3), 198-215. https://doi.org/10.1016/j.ijer.2005.07.001
-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 Palmer, S. R., & Holt, D. M. (2009).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wholly onlin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5, 101-113.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8.00294.x
- Spreng, R. A., & Mackoy, R. D. (1996).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2(2), 201-214. https://doi.org/10.1016/S0022-4359(96)90014-7
- Wang, Y. S. (2003).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41, 75-8 https://doi.org/10.1016/S0378-7206(03)00028-4
-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Cited by
-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형태와 콘텐츠가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대학생의 관점에서- vol.22, pp.3, 2021, https://doi.org/10.5762/kais.2021.22.3.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