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review for the study of medicinal vocabulary contained in the literature on the names of objects - focusing on Jaemulbo

물명류 문헌에 수록된 의약 어휘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재물보를 중심으로

  • Park, Hun-Pyeong (Dept. of Medical Classics &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 Shin University)
  •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0.11.02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Various materials related the names of objects were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dicine-related vocabulary contained in these data is important data for examining the practice of medicine at the time. Jaemulbo (Genealogy of talent and things) is a document on the names of things written by Lee Man-young in 1798. Through this study, the medical vocabulary in Jaemulbo was broadly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following claims are made: 1. Jaemulbo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on the medical terminology used in the 19th century. 2. The selection of medical vocabulary included was ma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ools such as cultured books and dictionaries. 3. Jaemulbo is an example of using Jingyuequanshu (Whole book of Jingyue) before 1790. 4. Jaemulbo reflects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pharmacology after Donguibogam.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편. 조선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 파주:경인문화사. 2019:6-20.
  2. 김성수. 18세기 후반 의학계의 변화상 -흠영으로 본 조선후기 의학. 한국문화. 2014;65:99-134.
  3. 김일권. 전통시대 생물분류체계와 관련 문헌 자료 고찰. 한국학. 2015;38(1):118-159.
  4. 남종진 역. 이만영 저. 국역 재물보 1, 2.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9.
  5. 박훈평. 조본 황제내경소문 판본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75-83. https://doi.org/10.15521/JKMH.2014.27.2.075
  6. 박훈평 역주. 내의원 편. 역주 내의원식례 서울:퍼플. 2015.
  7. 박훈평. 17-18세기 조선 간행 동의보감 목판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5;28(1):25-37. https://doi.org/10.15521/JKMH.2015.28.1.025
  8. 방학수. 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9. 신중진. 사전학적 관점에서 본 물명고와 재물보의 영향관계. 진단학보. 2014;120:105-127.
  10. 신희범. 재물보와 광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심경호. 한국 유서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 2007;47:85-136.
  12.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동방학지. 2009;146:1-88.
  13. 양영준, 안상우. 조선의서 증보만병회춘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6;19(2):119-143.
  14. 오재근.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의사학. 2012;21(2):193-226.
  15. 유준상. 의문보감을 통해 살펴본 주명신의 의학사상고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유희 저. 김형태 역. 국역 물명고 상하 서울:소명출판. 2019.
  17. 李凡. 論朝鮮時代 才物譜 的名物學價值. 한자연구. 2018;20:117-137.
  18. 장유승.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와 분류체계. 한국고전연구. 2014;30:171-206.
  19. 전종욱, 조창록. 임원경제지 인제지의 편집 체재와 조선후기 의학 지식의 수용 양상. 의사학. 2012;21(3):403-448.
  20. 정승혜. 물명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 국어사연구. 2014;18:79-116.
  21. 肖瀟. 才物譜研究—以詞彙與文字爲中心.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한국한의학연구원. 내 손안에 동의보감 원문강독편. 광주:수퍼노바. 2017.
  23. 한동수. 조선시대 유서 재물보에 수록된 궁실 부분 어휘에 대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5:138-141.
  24. 홍석주 저, 리상용 역주. 역주 홍씨독서록. 서울:아세아문화사. 2006:229-230.
  25.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DB. (2020.10.22)
  26.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DB (2020.10.22.)
  27. 실록청(1413-1935).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 (2020.10.23.)
  28.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 2020.10.23.)
  29.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2020.10.23.)
  3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자료종합안내서비스 인문관계정보 만가보 가계도 (2020.10.22.)
  31. 百度百科 (2020.10.23.)
  32. 維基文庫(2020).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