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with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growth backgrounds, values, and lifestyl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KOWEPS). The research data is from the KOWEPS 1st year(2006) to 14th year(2019), out of 27,301 people, who conducted life satisfaction from the latest 12th to 14th year, and the responses were properly answered data from 3 years of 2,492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the more the life satisfaction slowly increases at a slower rate as time passes. In addition,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and rate of change,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s the living satisfaction increased in both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but in the case of Generation X, the higher living satisfaction, the lower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for 3 years by .327, in the case of Generation Y,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Finally, in the model of this study, a partial mediation of health condition was established betwee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endency. Living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with a health condition as a parameter.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적 배경, 성장배경, 가치관, 라이프 스타일 등이 서로 다른 X세대와 Y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 년도(2006년)부터 14차 년도(2019년) 까지 이루어진 27,301명 중에서 삶의 만족도를 실시한 최근 12차 년도부터 14차 년도까지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진 2,492명의 3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X세대와 Y세대 모두 삶의 만족도가 높은 세대일수록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느린 속도로 삶의 만족도가 천천히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X세대와 Y세대 모두 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값은 높게 나타났으나, X세대의 경우 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3년 동안 삶의 만족도 변화율은 .327이 낮아지고, Y세대의 경우에는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은 생활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경향성 사이에서 건강 상태의 부분 매개가 성립하여 생활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건강 상태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