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aid Work Time Desynchronization on Dual-Earner Couples' Division of Household Labor

유급노동 시간대 비동기화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업에 미치는 효과

  • 주익현 (SSK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연구센터)
  • Received : 2020.06.01
  • Accepted : 2020.08.05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id work time desynchronization affected housework time desynchronization. Time slot data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data from 2014 was analyzed. This study included 1,475 married couples aged 20 to 59. They were dual-earner couples, heterosexual couples, and both partners worked during the day, either durong the week or on the weeke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following four groups: weekday-husband, weekday-wife, and weekend-husband, weekend-wif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s the desynchronization of paid work increased, the desynchronization of time spent on housework in the weekday-husband and weekend-husband groups also increased. Second, the amount of leisure time did not affect the desynchronization of time spent on housework. Lastly, the amount of time that one person spent on housework increased the housework time desynchronization level. In addition, if the family had children who attended primary, middle, or high school-mothers in the weekday-wife group completed more housework.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id work time desynchronization might be a way to decrease the amount of time that dual-earner wives' spent housework.

Keywords

References

  1. 권소영.이재림. (2019).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4), 1-25.
  2.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https://doi.org/10.7466/JKHMA.2016.34.3.65
  3. 김수정.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 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 41(2), 147-174.
  4. 김유선(2017). 노동시간 실태와 단축 방안. KLSI Issue Paper, (2).
  5. 김영미(2014). 복지국가 제도와 남녀의 무급노동 시간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21(1), 143-177.
  6. 김외숙.이기영(2010). 가족자원관리학. 서울 : 방송대출판부.
  7. 김종훈(2018). 인구정책 및 저출산.고령화 대책 전망. 보건복지포럼, 2018(1), 61-74.
  8.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9.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29.
  10.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11. 송다영.백경흔(2020). 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36(1), 175-209.
  12. 안미영(2016).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경제와 사회, 112, 13-40.
  13. 우해봉(2020). 인구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0(1), 23-36.
  14.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15. 은기수(2015).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16. 이윤경(2017).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대응 방향 모색: 일본 사례의 시사점 검토. 보건복지포럼, 254, 9-17.
  17. 이지혜(2019).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 함의. 보건복지포럼, 2019(2), 59-72.
  18. 장인수(2020). 한국의 성별 가사노동시간 배분 양상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2007, 2016년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446-476.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446
  19. 장인수.우해봉(2017).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 노동시간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여성연구, 95(4), 41-72.
  20. 조미라(2018). 한국 기혼부부의 가구노동시간 유형화 연구: 남녀의 시간일지를 결합한 배열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사회복지학, 70(1), 7-32.
  21. 주익현(2015).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6(2), 49-68.
  22. 주익현(2018).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아내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가 동시간대에 가사활동을 하는 시간의 비율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8년 후기 한국인구학회 자료집.
  23. 주익현.최성수(2019). 남자가 여자를 '도와 줄'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 화의 중요성. 한국사회학, 53(2), 213-251.
  24. 지민웅.조민수(2014).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 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성경제연구, 11(1), 1-31.
  25. 통계청(2018).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 대전: 통계청
  26. 한준(2012). 근로시간의 유연화 경향과 시사점. 임금연구(여름호), 18-28.
  27. 한준(2017). 한국사회와 저출산의 덫.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2.
  28. 허수연(2008).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29.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30. Alvarez, B., & Miles-Touya, D.(2019). Gender imbalance in housework allocation: a question of time?.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7(4), 1257-1287. https://doi.org/10.1007/s11150-019-09467-w
  31. Cho, S.(2016). 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Journal of Labour Economics, 39(1), 57-79.
  32. Connelly, R., & Kimmel, J.(2009). Spousal influences on parents' non-market time choice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7(4), 361. https://doi.org/10.1007/s11150-009-9060-y
  33. Ferrant, G., Pesando, L. M., & Nowacka, K.(2014). Unpaid Care Work: The missing link in the analysis of gender gaps in labour outcomes. Boulogne Billancourt: OECD Development Center.
  34. Foster, G., & Kalenkoski, C. M.(2013). Tobit or OLS? An empirical evaluation under different diary window lengths. Applied Economics, 45(20), 2994-3010. https://doi.org/10.1080/00036846.2012.690852
  35. Hochschild, A. & Machung, A.(1989). The second shift: Working parents and the revolution at home.
  36. Kan, M. Y., Sullivan, O., & Gershuny, J. (2011). Gender convergence in domestic work: Discerning the effects of interactional and institutional barriers from large-scale data. Sociology, 45(2), 234-251. https://doi.org/10.1177/0038038510394014
  37. Leeds, M. A., & Allmen, P. V.(2004). Spousal complementarity in home production.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63(4), 795-811. https://doi.org/10.1111/j.1536-7150.2004.00317.x
  38. Lesnard, L.(2008). Off-scheduling within dual-earner couples: An unequal and negative externality for family tim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4(2), 447-490. https://doi.org/10.1086/590648
  39. Moen, P., & Yu, Y.(2000). Effective work/life strategies: Working couples, work conditions, gender, and life quality. Social problems, 47(3), 291-326. https://doi.org/10.1525/sp.2000.47.3.03x0294h
  40. Stewart, J. (2013). Tobit or not Tobit?. Journal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38(3), 263-290. https://doi.org/10.3233/JEM-130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