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소영.이재림. (2019).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4), 1-25.
-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https://doi.org/10.7466/JKHMA.2016.34.3.65
- 김수정.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 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 41(2), 147-174.
- 김유선(2017). 노동시간 실태와 단축 방안. KLSI Issue Paper, (2).
- 김영미(2014). 복지국가 제도와 남녀의 무급노동 시간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21(1), 143-177.
- 김외숙.이기영(2010). 가족자원관리학. 서울 : 방송대출판부.
- 김종훈(2018). 인구정책 및 저출산.고령화 대책 전망. 보건복지포럼, 2018(1), 61-74.
-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29.
-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 송다영.백경흔(2020). 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36(1), 175-209.
- 안미영(2016).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경제와 사회, 112, 13-40.
- 우해봉(2020). 인구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0(1), 23-36.
-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 은기수(2015).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 이윤경(2017).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대응 방향 모색: 일본 사례의 시사점 검토. 보건복지포럼, 254, 9-17.
- 이지혜(2019).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 함의. 보건복지포럼, 2019(2), 59-72.
- 장인수(2020). 한국의 성별 가사노동시간 배분 양상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2007, 2016년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446-476.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446
- 장인수.우해봉(2017).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 노동시간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여성연구, 95(4), 41-72.
- 조미라(2018). 한국 기혼부부의 가구노동시간 유형화 연구: 남녀의 시간일지를 결합한 배열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사회복지학, 70(1), 7-32.
- 주익현(2015).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6(2), 49-68.
- 주익현(2018).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아내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가 동시간대에 가사활동을 하는 시간의 비율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8년 후기 한국인구학회 자료집.
- 주익현.최성수(2019). 남자가 여자를 '도와 줄'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 화의 중요성. 한국사회학, 53(2), 213-251.
- 지민웅.조민수(2014).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 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성경제연구, 11(1), 1-31.
- 통계청(2018).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 대전: 통계청
- 한준(2012). 근로시간의 유연화 경향과 시사점. 임금연구(여름호), 18-28.
- 한준(2017). 한국사회와 저출산의 덫.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2.
- 허수연(2008).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 Alvarez, B., & Miles-Touya, D.(2019). Gender imbalance in housework allocation: a question of time?.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7(4), 1257-1287. https://doi.org/10.1007/s11150-019-09467-w
- Cho, S.(2016). 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Journal of Labour Economics, 39(1), 57-79.
- Connelly, R., & Kimmel, J.(2009). Spousal influences on parents' non-market time choice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7(4), 361. https://doi.org/10.1007/s11150-009-9060-y
- Ferrant, G., Pesando, L. M., & Nowacka, K.(2014). Unpaid Care Work: The missing link in the analysis of gender gaps in labour outcomes. Boulogne Billancourt: OECD Development Center.
- Foster, G., & Kalenkoski, C. M.(2013). Tobit or OLS? An empirical evaluation under different diary window lengths. Applied Economics, 45(20), 2994-3010. https://doi.org/10.1080/00036846.2012.690852
- Hochschild, A. & Machung, A.(1989). The second shift: Working parents and the revolution at home.
- Kan, M. Y., Sullivan, O., & Gershuny, J. (2011). Gender convergence in domestic work: Discerning the effects of interactional and institutional barriers from large-scale data. Sociology, 45(2), 234-251. https://doi.org/10.1177/0038038510394014
- Leeds, M. A., & Allmen, P. V.(2004). Spousal complementarity in home production.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63(4), 795-811. https://doi.org/10.1111/j.1536-7150.2004.00317.x
- Lesnard, L.(2008). Off-scheduling within dual-earner couples: An unequal and negative externality for family tim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4(2), 447-490. https://doi.org/10.1086/590648
- Moen, P., & Yu, Y.(2000). Effective work/life strategies: Working couples, work conditions, gender, and life quality. Social problems, 47(3), 291-326. https://doi.org/10.1525/sp.2000.47.3.03x0294h
- Stewart, J. (2013). Tobit or not Tobit?. Journal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38(3), 263-290. https://doi.org/10.3233/JEM-130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