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System Evaluations the Location Suitability for Urban Mini-Industrial Complex: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미니 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9.23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Recently, the demand for corporate location in the city is increasing. Due to the difficulty of finding a large site in the city, the small-scale 'mini-industrial complex' would be appropriate as a future industrial complex type. In response to this, site suitability indicators was prepared and applied to the metropolitan area as a pilot. To this end, the under-utilized site were assumed as potential candidates for development. After analyzing the importance among indicators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experts and companies, this was applied as a weight. As a result, candidate sites ranging from Grade 1 to Grade 4 were derived. The indicator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ocation identified as a Grade 1 were transport accessibility and urban service conditions when the company weight was applied, whereas advanced knowledge industry and university/research center when applying expert weight. The Seoul-south axis and southwest axis of Gyonggi-Do were identified as the most excellent mini-industrial complex locations amo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It means that the already formed knowledge industry clusters will be recognized as competitive future industrial locations.

최근 도시내 기업입지수요가 증가하나 도시에서 넓은 부지확보는 어려우므로 소규모 '미니산업단지' 형태가 미래형 산단 유형으로 적절할 것이다.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저활용되는 부지를 잠재적 개발후보지로 가정하고 입지적합성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시범 평가해 보았다. 전문가와 기업체설문을 통해 지표간 중요도를 분석한 후 이를 가중치로 하여 1~4등급 후보지를 구분하였다. 1등급 후보지에 영향을 미친 지표로는 기업체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 교통접근성과 도시서비스 여건인 반면 전문가 가중치 적용경우 첨단·지식산업 및 대학·연구소로 나타났다. GIS 분석 결과 서울-경기남부축과 서울-경기남서부축이 가장 우수한 미니산단 입지지역으로 도출되어 기형성된 지식산업집적지가 향후에도 경쟁력있는 산업지역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조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훈, 2017, "4차 산업혁명 - 주요 개념과 사례 -," KIET 산업경제 2017.5월호, pp.67-80.
  2. 김종중.김갑성, 2009, "도시첨단산업클러스터 입지요인 분석 -서울디지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4(7), pp.85-96.
  3.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 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4.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5. 박종화, 2003, "지식기반산업의 입지," 한국행정논문집 15(3), pp.709-723.
  6. 사호석, 2020, "신산업의 공간분포패턴과 집적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2), pp.125-146. https://doi.org/10.23841/egsk.2020.23.2.125
  7. 양원탁.이희연, 2016. "수도권 비도시지역으로의 개별입지 제조업체 유입 실태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2), pp.209-224.
  8. 이금숙.박소현, 2019, "업종별 창업 및 폐업의 지리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78-19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2.178
  9. 이명식, 2017, "4차 산업혁명시대, 건축의 대응," 건축 61(5), pp.4-5.
  10. 이한재, 2017, "4차 산업혁명과 정책,"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초록집, 2017. 5, pp.1-18.
  11. 이현주.김태균.최대식.이은엽.송영일, 2017,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업단지 유형 개발 연구: 네트워크형 산업단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4), pp.522-535.
  12. 이현주.김태균.최대식.이은엽.송영일.곽병조, 2017, 미래형 신산업단지 입지모델 및 공간조성 기법개발(3차년).
  13. 이현주.김태균.최대식.이은엽.송영일.곽병조, 2018, 미래형 신산업단지 입지모델 및 공간조성 기법개발(4차년).
  14. 이현주.윤정란.장혜선, 2012, 장기 임대산업용지를 활용한 아파트형 공장 공급방안 연구, LH 연구원, pp.71-120.
  15. 장석영.박용치, 2010, "서울지역 산업클러스터 형성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26(1), pp.241-268.
  16. 장석인,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구조 변화 방향과 정책과제," 국토 424, pp.22-30.
  17. 장철순, 2013, "산업입지 공급을 통한 창조산업 활성화 방안," 국토 380, pp.22-28.
  18. 장철순,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입지 공급방안," 국토 424, pp.31-35.
  19. 정분도.홍미선, 2018, "4차 산업혁명의 주요국 현황비교에 따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19(3), pp.117-131.
  20. 최대식.송영일.김태균.이은엽.이현주, 2019, "미래형 신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지표제계 개발 연구," 국토계획 54(7), pp.5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