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조 외, 2018,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I, 국토연구원.
- 강원도, 2017, 강원비전 2040.
- 관계부처 합동, 2020, 한국판 뉴딜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 (2020. 7. 14).
- 김갑삼.최민섭, 2019, "통일대비 남북 접경지역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7(1), pp.285-304.
- 김갑식, 2012,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현대북한연구 15(1), pp.124-156.
- 김정완.박영민.정재운, 2018, "접경지역 남북 교류거점의 입지와 개발방향," 평화학연구 19(4), pp.99-120.
- 김지나, 2018, "사회생태적 회복탄력성의 관점을 통해 본 DMZ 접경지역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 국토연구, pp.113-133, 국토연구원. https://doi.org/10.15793/KSPR.2007.52..007
- 김택희.박용식.최충익, 2019, "통일경제특구 지정을 통한 강원 접경지역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2019.10), pp.572-594.
- 류주한, 2020, "리쇼어링은 탈출구가 아닌 '재편모델' 유연하게 '넥스트 쇼어링'을 준비하자," 동아비즈니스리뷰 303호 (2020년 8월 Issue 2).
- 박민철, 2017, "분단체제의 공간성: DMZ와 접경지역의 로컬리티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28(3), pp.123-160.
- 박배균.백일순, 2019, "한반도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지정-지경학," 대한지리학회지 54(2), pp.199-228.
- 박삼옥.이원호.이현주.김상빈.정은진, 2005, 사회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 소외성과 낙후성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박삼옥.이현주.구양미, 2004, "접경지역 기업의 연계 및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227-244.
- 박은주, 2018, "한반도 신경제구상 및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동북아논총 23(4), pp.49-64.
- 박정수,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서비스 모델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산업경제이슈 제83호.
- 서울연구원,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전략, 포스트코로나 대응 서울연구원 정책제안 토론회 (2020. 5. 12).
- 신동호, 2017,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70-83.
- 이병민, 2013, "소셜 네트워크 리소스(Social Network Resource)의 적용과 활용 - 공간적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50-70.
- 이상준, 2020, 뉴노멀과 남북접경지역의 과제, 제5회 접경 지역포럼 발표 자료(2020. 8. 8).
- 이영민.이종희 역, 2013, 문화.장소.흔적, 한울아카데미. (= Anderson, J., 2017, Understanding Cultural Geography: Places and Traces, 1st edition, Routledge).
- 이원호.박삼옥, 2004,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이해-소외성의 형성과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 171-201.
- 이정철, 2013, DMZ 담론(2013): 개념사와 새 패러다임의 모색,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 이정훈 외, 2019,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경기북구 접경지역 발전 전략, 경기연구원.
- 이현주.이승헌, 2004, "경기도 접경지역의 경제구조변화와 기업의 입지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203-225.
-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9, 일자리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2019.11.19).
- 임을출, 2018.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DMZ.접경지역 평화 벨트 조성 방안," 접경지역통일연구 2(2), pp.9-31.
- 임을출, 2020, 북한의 2020 정면돌파전략과 접경지역에서의 남북협력 전망, 제3회 접경지역포럼 발표 자료 (2020. 2. 15).
- 임현.한종민.정민진, 2009, 미래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분석 및 시스템 구축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슈페이퍼 2009-09.
- 중소기업연구소, 2020. 6.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중소기업의 리쇼어링 활성화 방안 연구.
- 중소기업중앙회, 2020. 6, 중소기업 '리쇼어링' 관련 의견 조사 결과보고서.
- 지상현.이승욱.박배균, 2019, "한반도 경제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공간과 사회 29(1), pp.206-234.
- 최영석 역, 2019, 모빌리티 정의, 앨피 모빌리티 인문학 총서9,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Sheller, M., 2018, Mobility Justice The Politics of Movement in an Age of Extremes, Verso).
- 최인수.전대욱, 2020, "코로나 19 위기극복과 사회경제적 회복력(Resilience)의 측면에서 본 신뢰문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1-15.
- 하수정.남기찬.민성희.전성제.박종순, 20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연구, 국토연구원.
- 하홍규 역, 2019, 모바일 장의 발자취: 모빌리티 연구 10년, 앨피 모빌리티 인문학 총서 6,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Faulconbridge, J. and Hui, A., 2017, Traces of a Mobile Field: Ten Years of Mobilities Research, 1st Edition, Routledge).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0,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미래전망 및 유망기술,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2020-01).
- 해외문화홍보원, 2020, 해외언론이 본 한국 코로나19 방역 100일 (2020. 4. 30).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 수립 및 사업 추진 (2019. 2.8).
- 행정안전부, 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한반도 중심의 생태평화벨트 육성 (2011.7.27.).
- 허동숙.이병민, 2019, "산업과 문화의 협력: 스마트 전문화를 통한 지역 혁신성장 전략 모색," 국토지리학회지 53(1), pp.101-117.
-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0, 2030 카이스트 미래경고, 김영사.
- Martin, R., Sunley, P., Gardiner, B. and Tyler, P., 2016, "How regions react to recessions: resilience and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Regional Studies 50(4), pp.561-585. https://doi.org/10.1080/00343404.2015.1136410
- Park, S. O., 2015,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Theory and East Asian Cases, London: Routledge.
- "코로나 이후 한국은 '첨단제품 세계공장'이 된다" (중앙일보, 2020. 4. 20). https://news.joins.com/article/23758189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
-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19가지 '뉴 트렌드'... (문화일보, 2020. 5.4).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50401031442000001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
- Korea urged to promote manufacturing reshoring, (Korea Times, 2020. 5. 7). https://www.koreatimes.co.kr/www/biz/2020/05/488_289105.html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