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e U.S.A.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big business system emerged surpassing the British Empire economy. Such growth resulted from the realization of the "American-productive mode' being derived from the continuous immigrants inflow, renovativ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ational markets formation and R&D of the science·technology. During 10 years after 1895, American economy was prevalent with the combination trends by the vertical or horizontal integration and these both mixed systems. As such big business was recognized, the American domestic citizens expressed the strong doubt to the revolutionary change and its public benefits and inaugurated the anti-big business campaign with deep concern that the American traditional symbol 'land of the wealth and opportunity' would be threatened. Although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controlling big business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rol laws were enforced, the American society accepted the new economic order. This situation resulted from the American economic prosperity, material affluence and managerialism of the big business.
미국은 19세기말~20세기초기간에 영국경제를 추월하면서 대기업체제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성장은 양질 이민의 지속적 유입과 교통수송기관의 혁신적 발전과 전국적 시장형성 및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과학기술의 R&D가 이룩한 '미국식 생산양식'현출에 있었다. 1895년이후 10년동안 미국경제는 수직·수평적 통합의 거대합병현상이 일어 300여개 이상의 기업들이 합병에 참여했다. 대기업의 출현이 인식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미국내의 시민들은 '부와 기회의 땅' 미국의 전통적 상징이 위협받을 것이라는 우려에서 반(反)대기업운동을 전개하였다. 대기업의 행위를 규제할 정부기구가 설치되고 규제법안이 실행되었으나, 종국적으로는 새로운 경제질서를 수용하고 받아들였다. 이는 대기업 등장이후 초래된 미국의 경제적 번영과 물질적 풍요 및 대기업운영이 이룬 경영관리체제의 효과에 연유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