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재산 분야별 필요 역량 분석

A Study on Required Competency for Each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투고 : 2020.05.15
  • 심사 : 2020.06.24
  • 발행 : 2020.06.30

초록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른 급속한 과학 기술의 변화, 다양한 사회와 복잡한 경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교육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에 지식재산 분야와 분야별 필요 역량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전문가 대상으로 2회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식재산 분야는 문헌고찰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IP-R&D 컨설팅, IP 정보조사분석, IP 권리화, IP 전략 기획, IP 거래, IP 금융, IP 가치 평가, IP 관리, 글로벌 IP 관리, IP 사업화, IP 분쟁 11개로 분류하였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지식재산 분야별로 도출된 필요 역량은 타당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식재산 분야에 따른 분야별 인력 양성은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대체로 적절하다. 또한 기업 등 산업체와 공공기관 등의 상시 직무교육은 분야와 구분 없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various societies and complex economie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s essential above all. In this study, therefore,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required competences were derived and verified for each field. As for the research method, Delphi technique was used twice for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and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class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technique, in eleven sections such as IP-R & D consulting, IP information search analysis, IP entitlement, IP strategic planning, IP transaction, IP finance, IP value evaluation, IP management, global IP management, IP commercialization, and IP disputes, of which validity was verifi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idity of required competencies derived from each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was reliable. Third, it is generally appropriate to nurture manpower in each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regular job training of industries such as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is necessary regardless of the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7.11).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 시범 운영 기본계획(안). 교육부.
  2. 국가지식재산위원회(2007). 제 1차 국가지식재산 인력양성 종합계획(2008-2012).
  3. 국가지식재산위원회(2012). 제 2차 국가지식재산 인력양성 종합계획(2013-2017).
  4. 국가지식재산위원회(2018). 혁신성장 및 일자리 창출 촉진을 위한 제 3차 국가지식재산 인력 양성 종합계획(안)(2018-2022).
  5. 김세직(2016). 한국경제: 성장 위기와 구조 개혁.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6. 노화준(2006). 정책분석론(제3판). 서울:박영사.
  7. 류태호(2017).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교사, 학부모, 학생을 위한 미래 교육 길잡이. 경희대학교출판부
  8. 박도순(2001). 교육연구방법론(개정판). 서울: 문음사.
  9. 박동열 외(2010).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직업교육연구, 29(4), 349-385.
  10. 신지연 외(2012). IP 전문인력의 효율적 양성방안 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1. 오세훈 외(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지식재산 인력의 중장기 수요 및 대응 방안. (사)한국특허학회, 특허청.
  12. 유한구 외(2017). 미래인재 개발과 교육혁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이경호(2019).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 분석을 통한 교육과제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5(2), 143-166.
  14. 이규녀 외(2013).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 개발 로드맵 수립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5. 이규녀(2010).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규녀, 박기문(2013). 지식재산 전문인력의 인식에 기반한 지식재산 이러닝 발전방안. 지식재산연구, 8(2), 91-120.
  17. 이병욱 외(2008). 지식재산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8. 이병욱, 이규녀, 홍주환(2008). 지식재산전문가 직무분석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9. 이병욱 외(2017). 지식재산능력시험(IPAT) 국가공인화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20. 이병욱 외(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식재산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방안. 특허청, 충남대학교.
  21. 이상돈 외(2013).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연구(I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이상돈, 손수정, 김기흥(2014). 지식재산 전문인력의 이해와 수요전망. 생산성논집, 28(3), 265-286. https://doi.org/10.15843/KPAPR.28.3.201409.265
  23. 이수진(2013). 대학 지식재산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한 인력양성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이윤조(2009).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5. 이종승(2011).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경기: 교육과학사.
  26. 이주호(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55(1), 89-102.
  27. 최유현 외(2009). 지식재산전문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연구. 직업교육연구, 28(1), 63-90.
  28. 특허청(2007). 지식재산 전문 인재상 연구 및 수요조사. 특허청.
  29. 한국교육개발원(2006). 특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한국교육개발원.
  30.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발명진흥회(2016).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활용패키지 소분류: 지식재산관리. 고용노동부.
  31.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2012). 지식재산서비스산업의 국내외 현황 및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특허청.
  32. 현대경제연구원(2016). 2016년 다보스 포럼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4차 산업 혁명', 글로벌 성장 원동력으로. 현안과 과제 16-2호 2016.01.19.
  33. 국가공인 지식재산능력시험(IPAT) 홈페이지. https://www.ipat.or.kr/.
  3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홈페이지. https://www.ncs.go.kr/.
  35.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2016).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