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Support Centers' Measurement Indices of the Performance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기준 개발

  • Received : 2020.05.12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es for measuring the results of the work and performa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support centers. For the study, First,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agement system across the 228 centers, examine the staff's perceptions of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of each center, and analyze the needs of measuring indices of each center for its performance evaluation, a cross-sectional survey method was employed. Second,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Next, measurement indices were developed employing the Delphi method with a panel of 15 experts in developing instruments of accomplishment. Based up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measurement indices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e measurement indices. These indices include a checkbox of necessary and unnecessary in each item so that each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or each center can select indicating items (indices) according to its own needs.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indices consists of four domains to assess: (1) Institutional competencies-goals, budget, system, and resources, (2) Practitional competences-qualities of programs, administration of experiential career program providers, promotion of centers and programs,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such as instructors or guides,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center cooperative networking system, (3) Accomplishments-finding new experiential career program providers, the number of participants such as schools and students, reciprocal system, and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center and programs, and (4) specialized indicators-extra scores for center-based specialized programs.

본 연구는 전국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성과평가 운영방안을 제시하여 진로체험의 질 제고 및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성과 향상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진로체험지원센터 현황 조사 및 담당자 설문조사, 국내외 성과평가 사례를 수집한 문헌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FGI,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특성을 고려한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영역은 크게 기관역량, 운영과정, 운영 성과 및 특성화 지표로 구성하였다. 총 54개의 상세한 평가 기준과 평가지를 개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센터 운영 성과 제고를 위한 성과평가 운영방안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8a). 2019년('18년 실적) 시.도교육청 평가 편람.
  2. 교육부(2018b). 2018년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평가 계획. 내부자료.
  3. 교육부(2019a). 제2차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사업 공고. 교육부 공고 제2019-160호.
  4. 교육부(2019b).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지원사업 현황 보고자료. 내부자료.
  5.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8). 2018 Wee 센터 평가 안내.
  6. 김승보 외(2018). 2018년 진로체험지원센터 길라잡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영식 외(2017).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 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정희 외(2017). 영.미.일 대학 갭이어 사례 및 시사점 분석. 비교교육연구, 27(4), 155-186. https://doi.org/10.20306/kces.2017.27.4.155
  9. 나동만 외(2018). 2018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지원센터: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성과평가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보건복지부(2013). 2013년도 청소년자활지원프로그램 성과평가 추진 계획(안).
  11.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9). 2019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편람.
  12. 이은경, 손재환 (2016). 2017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평가 지표 개발. 여성가족부.
  13. 서울시교육청(2018). 2018년 서울교육인증제 시행 계획 안내.
  14. 서울시 성북구(2019). 성북구 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 자체 성과평가 지표. 내부자료.
  15. 전인식(2015). 학교상담지원센터(Wee센터) 운영 내실화를 위한 직무기준 및 평가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6. 정은진(2018).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 지원 1. 진로교육 현황조사 -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정지은 외(2019). 학교 진로체험 질 제고를 위한 내실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9). 2019년 지역아동센터 평가 설명회 자료집.
  19. 직업능력심사평가원 훈련기관인증평가센터(2019). 2019년도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인증평가 집체훈련기관 설명회 자료집.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9). 17개 시.도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현황 조사. 내부자료.
  21. Gap Year Association. (2018). Gap year association-standards of accreditation. Retrieved from https://www.gapyearassociation.org/assets/2018_GYA_Standards.pdf (검색일: 2019.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