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 (2018).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의 2 관련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2018. 12.)
- 교육부 (2020a). 온라인 개학 이후 원격수업의 현장 안착 대책. 교육부 보도자료(2020. 3.31.)
- 교육부 (2020b). 2020학년도 2학기 학사운영 관련 등교 원격수업 기준 등 학교밀집도 시행 방안. 교육부 보도자료(2020. 7.31.)
- 김동률 (2018).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립 PBL 효과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209-215. https://doi.org/10.15207/JKCS.2018.9.6.209
- 김미량 (2000).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교육공학연구, 16(1), 48-58.
- 김미영.안광식.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한국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19.
- 김미용.배영권 (2012).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 김성옥 (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0(1), 47-65.
- 김예진, 조지연, 이봉규 (2015). 스마트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성공전략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6(6) 123-131.
- 문혜성.박경모 (2013).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요구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1(5), 175-190.
- 민숙 (2019). 대학 미적분학 플립드 수업에서 팀프로젝트 탐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3(2), 47-66.
- 박경은.이상구 (2016). '선형대수학'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강의 모델 설계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0(1), 1-22.
- 박동철 (2015).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관한 연구 -몰입(Flow)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5), 127-148.
- 이상기, 권민화 (2014). 스마트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2), 258-294.
-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 이헌수 (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 임걸.이동엽 (2012).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0(9), 47-57. https://doi.org/10.14400/JDPM.2012.10.9.047
-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 임진형.고선영 (2015).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232-5239.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232
- 정순모.박혜연.김응환 (2015).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23-148
- 최병수.유상미 (2013). 컴퓨터교과교육: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49-60. https://doi.org/10.32431/KACE.2013.16.3.006
- 최영림 (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https://doi.org/10.5850/jksct.2020.44.2.369
- 허난 (2015).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에 대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4), 449-470.
- 홍예윤.임연욱 (2018). 고등 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환경 및 학습자 역량의 확장.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7), 213-222.
- 홍효정 (2017).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6), 3-11.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3
-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 Thomas A. Peters (1998). Culture of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2), 188-190. https://doi.org/10.1002/(SICI)1097-4571(199802)49:2<188::AID-ASI13>3.0.CO;2-X
- Yvette E. Gelogo & Hyejin Kim (2015). LotG: "A Design of Adaptive u-learning Syste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3), 239-249.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6.30
Cited by
- COVID-19로 인한 전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vol.11, pp.7, 2021,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7.118
- 대학생의 원격강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9, pp.8,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1.19.8.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