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Absorbed Dose During the Breast Cancer Brachytherapy in Canine Phantom

반려견 팬텀에서 유방암 근접방사선치료 시 흡수선량 평가

  • Kim, Jung-Hoo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
  • Lee, Deuk-He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교수) ;
  • 이득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사)
  • Received : 2020.06.11
  • Accepted : 2020.10.31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e application of breast cancer, which has the highest incidence in females among cancer that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for dogs, was to be evaluated the absorbed dose during brachytherapy using simulation. MCNPX program was used for simulation, and a small size canine phantom was produced to measure absorbed dose. The results of the absorbed dose was the highest at 192Ir to 1.02E-12 Gy/# for tumors, and the same tendency was shown for internal and external absorbed dose. Therefor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ources for dog breast cancer should be considered in brachytherapy, taking into account dog breeds and exposures.

반려견의 사망원인 1위인 암 중 암컷에게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유방암을 대상으로 근접방사선치료 수행 시 모의모사를 이용한 흡수선량 측정을 바탕으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의모사를 위해 MCNPX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흡수선량 측정을 위해 소형견 크기의 수학적 팬텀을 제작 하였다. 흡수선량 측정결과 종양의 경우 192Ir에서 1.02E-12 Gy/#으로 흡수선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외부 흡수선량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려견 유방암의 근접방사선치료 시 견종과 피폭을 고려한 적절한 선원의 선택이 고려되어야 될 것이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우리나라 1인 가구 증가와 핵가족의 증가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수요는 2010년 15.6%에서 2025년 31.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관 사업은 2012년에 9천억 원으로 추정되며 2020년 5조 8,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1] 이러한 경향성은 동물병원에서도 나타나며, 2014년 3,449개소에서 2018년 4,005개소로 증가하였다.[2] 동물병원을 방문하는 반려동물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 반려동물 사망률 1위인 암으로 인하여 방문하는 수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반려동물 중 반려견에서 주로 발생하는 3대 암종은 피부암, 연부조직 육종, 유방암이 있으며, 그 중 유방암의 경우 암컷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종이다.[4,5] 유방암의 경우 치료하는 방법은 사람과 동일하게 수술적 요법, 항암요법, 방사선치료가 있다.[6] 그 중 방사선치료는 크게 외부방사선치료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와 근접방사선치료(Brachytherapy)로 나눌 수 있다. 외부방사선치료의 경우 사람에게 사용하는 고가의 선형가 속기(Linear accelerator, LINAC)를 반려동물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고가의 치료비는 반려동물의 주인에게는 부담으로 다가가게 된다. 또한 외부방사선치료의 경우 수회에서 수십 회로 분할하여 치료를 수행하게 된다.[7] 이 때 치료의 재현성을 위해 마취를 동반하게 되며, 최근 개발되고 있는 소동물 방사선 치료기의 경우도 마취 시스템을 동반하고 있다.[8] 치료 시 마다 마취를 지속하게 될 경우 반려동물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수 있다.[9]

근접방사선치료의 경우 선형가속기에 비해 에너지가 낮고 가격이 낮아, 치료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직 내 치료의 경우 부분마취로도 시술이 가능하여 외부방사선치료에 비해 마취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의모사를 통해 반려동물의 팬텀을 구성하고, 유방암에 대한 근접방사선치료 수행 시 선량평가를 통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Ⅱ. MATERIAL AND METHODS

1. Canine phantom

반려견의 크기는 무게에 따라 크게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6.9 kg의 소형견을 제작하였다. 팬텀의 구성은 크게 머리, 목, 몸통, 다리, 입으로 구성하였다. 몸통의 크기는 반려견 흉추 13개, 요추 7개, 미추 3개를 기준으로 하여 비례하게 몸통길이를 정하였다. [10] 몸통의 두께는 심장의 크기가 4.5 ~ 5.5개의 흉추의 길이와 비례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산정하였다. [11] 세부적인 부분은 골격 구조로 경추, 흉추, 요추, 미추, 갈비뼈, 다리뼈로 하였다. 내부 장기는 폐와 심장, 유방 외에는 연부조직으로 구성하였으며, 밀도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Table 1과 같이 구성하였다. [12]

Table 1. Each organ volumes and masses within the phantom

BSSHB5_2020_v14n5_523_t0001.png 이미지

유방의 경우 좌측 5개, 우측 5개 총 10개로 구성하였으며, 유선의 배치에 따라 꼬리 쪽 두개, 머리쪽 3개로 하여 총 4개의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2. Monte carlo simulation

모의모사를 위한 프로그램은 MCNPX(Monte Carlo N-Particle Extended, Ver. 2.5.0, USA)를 이용하였다.

근접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선원은 103Pd(Palladium), 125I(Iodine), 169Yb(Ytterbium), 192Ir(Iridium)을 사용하였으며, 제원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Characteristic of radioisotopes which used in brachytherapy .

BSSHB5_2020_v14n5_523_t0002.png 이미지

유방암은 반려견의 꼬리 측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좌측 꼬리 측 그룹을 종양으로 가정하였다. [13]

3.흡수선량 측정

근접방사선치료의 조직내치료(Interstitial therapy) 방식으로 하였으며, 선원의 위치는 두 가지로 하여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텀의 머리 쪽에서 4번째 유방에만 선원을 위치시킨 경우와 4번째 5번째 두 군대 모두 선원을 위치시킨 경우로 하였다. 흡수선량 측정은 F6 tally를 이용하여 MeV/g으로 측정하여 Eq. (1)을 이용하여 Gy로 환산하였다.

\(D=\frac{d E}{d m} \frac{M e V}{g} \times 1.602 \times 10^{-13} \frac{J}{M e V} \times 10^{3} \frac{g}{k g}\)          (1)

D=Absorbeddose

dE =Aberage energy

dm =Unitofmass

팬텀의 내부장기 외에도 조직내치료의 경우 외부피폭으로 인한 시술자 및 외부인의 피폭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팬텀으로 부터 10 cm, 30 cm, 50 cm, 100 cm, 200 cm 거리에서의 흡수선량도 같이 측정하였다.

Ⅲ. RESULT

1. 종양의 흡수선량 결과

선원을 4번째 유방 한 곳에만 삽입한 경우 103Pd, 125I, 169Yb, 192Ir에서 각각 1.02E-12 Gy/#, 3.77E-13 Gy/#, 6.83E-13 Gy/#, 4.43E-13 Gy/#으로 나타났다. 4번째, 5번째 두 군대 같이 위치시킨 경우 한 곳에만 삽입한 경우의 두 배의 흡수선량을 보이며, 192Ir이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

2. 내부흡수선량 결과

선원을 4번째 유방 한 곳에 위치한 경우의 결과는 Fig. 1-(a)에 나타내었다. 종양과 인접한 오른쪽 꼬리쪽 유방 그룹에서 가장 높은 흡수선량을 나타냈으며, 선원으로부터 먼 장기일수록 낮은 흡수선량을 보였다.

BSSHB5_2020_v14n5_523_f0001.png 이미지

Fig. 1. Absorbed dose of normal organ during breast cancer brachytherapy.

선원을 4번째, 5번째 유방 두 곳에 위치한 결과는 Fig. 1-(b)에 나타내었다. 선원을 한 군대만 삽입한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두 결과 모두 192Ir에서 가장 높은 흡수선량을 보였다.

3. 외부흡수선량 결과

선원을 4번째 유방 한 곳에 위치한 경우의 외부 흡수선량의 결과는 내부흡수선량과 동일하게 192Ir 에서 가장 높은 선량을 보였으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선원에서도 같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Fig. 2-(a)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4번째 유방과 5번째 유방 두 곳에 선원을 위치한 결과는 Fig. 2-(b)에 나타내었으며, 선원을 한 곳에만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경향성을 보였다.

BSSHB5_2020_v14n5_523_f0002.png 이미지

Fig. 2. Absorbed dose according to the distance during breast cancer brachytherapy.

Ⅳ.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 유방암의 근전방사선치료 적용 시 선원의 종류에 따른 흡수선량 측정을 통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종양에 선량을 전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원에 따른 결과는 192Ir이 가장 높은 흡수선량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반려견 유방암의 근접방사선치료 시 192Ir 선원을 이용할 경우 동일 선량을 조사하는데 치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내부 및 외부의 선량 또한 높게 나타나 피폭을 고려한 적절한 선원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T. J. Kinsella등의 선행연구에서는 사람과 반려견의 견딤선량(Tolerance dose)이 같다고 보고하였다.[14] 이를 토대로 반려견에게 방사선치료 시 사람과 동일한 처방선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S. Nag 등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근접방사선치료 시 고선량율(High Dose Rate, HDR)의 선원과 저선량율(Low Dose Rate, LDR)의 선원에 따라 처방선량이 다른 것으로 보고 하였다. [15] 따라서 추후 선원 별 처방선량에 따른 내부 및 외부 흡수 선량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려견의 경우 호흡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장기의 경우 방사선치료의 적용이 힘들다.[6] 하지만 근접 방사선치료의 경우 선원을 여러 형태로 종양에 삽입하여 국부적으로 조사하며, 호흡의 영향을 적게 받고 수행이 가능하다.[16]  따라서 복부와 가슴에 위치한 반려견의 유방에 근접방사선치료가 외부방사선치료 보다 좀 더 용이하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근접방사선치료 중 조직내치료의 경우 외부방사선치료와 달리 시술자 등의 외부 피폭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를 토대로 차폐체에 관한 연구가 고려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의 근접방사선치료 적용시 흡수선량 측정을 통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접방사선치료로 충분한 선량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그 중 192Ir에서 가장 높은 흡수선량을 보였다. 따라서 적절한 내부 및 외부피폭을 고려한 적절한 선원의 선택 시 충분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부산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I. B. Ji, H. J. Kim, W. T. Kim, K. C. Seo,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Companion Animal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dustry, Naju, 2017.
  2. Animal Disease Control Department, Management status of radiation generating devices in animal hospitals and annual reports of personal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2019.
  3. J. M. Fleming, K. E. Creevy, D. E. Promislow, "Mortality in north american dogs from 1984 to 2004: an investigation into age-, size-, and breedrelated causes of death",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Vol. 25, No. 2, pp. 187-198, 2011. http://dx.doi.org/10.1111/j.1939-1676.2011.0695.x
  4. N. Pastor, N. C. Caballe, M. Santella, L. J. Ezquerra, R. Tarazona, E. Duran, "Epidomiological study of canine mammary tumors: age, breed, size and malignancy", Austral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 50, pp. 143-147, 2018. http://dx.doi.org/10.4067/S0719-81322018000300143
  5. E. Baioni, E. Scanziani, M. C. Vincenti, M. Leschiera, E. Bozzetta, M. Pezzolato, R. Desiato, S. Bertolini, C. Maurella, G. Ru, "Estimating canine cancer incidence: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tumour registry in northwestern Italy", BMC Veterinary Research, Vol. 13 No. 1, pp. 1-9, 2017. http://dx.doi.org/10.1186/s12917-017-1126-0
  6. S. North, J. Dobson, "Small Animal Oncology", Blackwell Science Ltd, Oxford, 2001.
  7. S. S. Kang, I. H. Go, G. J. Kim, S. H. Kim, Y. S. Kim, Y. J. Kim, Radiation Therapeutics, third edition, Chung-ku munhwasa, Korea, 2014.
  8. F. Verhaegen, P. Granton, E. Tryggestad, "Small animal radiotherapy research platform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6, No. 12, pp. R55-83, 2011. http://dx.doi.org/10.1088/0031-9155/56/12/R01
  9. W. Muir, P. Lerche, A. Wiese, L. Nelson, K. Pasloske, T. Whittem, "Cardiorespiratory and anesthetic effects of clinical and supraclinical doses of alfaxalone in dogs", Veterinary Anesthesia and Analgesia, Vol. 35, No. 6, pp. 451-462, 2008 https://doi.org/10.1111/j.1467-2995.2008.00406.x
  10. S. H. Kim, Dog anatomy, third edition, JungMunKag, Seoul, 2001.
  11. A. G. Neagu, N. Tudor, C. Vlagioiu, "Measuring the Heart Size of Dogs with VHS Method", Scientific Works. C Series. Veterinary Medicine, Vol. LXI, No. 1, pp. 92-94, 2015.
  12. W. Bolch, L. Padilla, C. Lee, R. Milner, A. Shahlaee, "An image-based skeletal canine model for pre-clinical evaluations of osteosarcoma molecular radiotherapy", Computaional Medical Physics Woking Group Workshop II, 2007.
  13. K. U. Sorenmo, Canine Mammary Tumors: Clinical Features, Diagnostics and Staging, World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World Congress Proceedings, Jeju, 2011.
  14. T. J. Kinsella, A. M. Deluca, M. Barnes, W. Anderson, R. Terrill, W. F. Sindelar, "Threshold Dose for Peripheral Neuropathy Following Intraoperative Radioterapy(IORT) in a Large Animal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Vol. 20, No. 4, pp. 697-701, 1991. http://dx.doi.org/10.1016/0360-3016(91)90011-R
  15. S. Nag, R. R. Kuske, F. A. Vicini, D. W. Arthur, R. D. Zwicker, "Brachytherapy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Cancer Network, Vol. 15, No. 2, pp. 195-202, 2001.
  16. D. H. Lee, J. H. Nam, J. H. Kim, "Evaluation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Nanoparticle Density During the Breast Cancer Brachytherap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2, No. 2, pp. 131-135, 2019. http://dx.doi.org/10.17946/JRST.2019.42.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