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gliness in the

영화 <이레이저 헤드>에 나타난 '추(醜)'에 관하여

  • Received : 2019.12.18
  • Accepted : 2020.01.02
  • Published : 2020.01.25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David Lynch's first film . First, as a background study, it examines the history of ugliness in the history of beauty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ugliness in an aesthetic sense. Furthermore, i will look at the aesthetic theory of Rosenkrantz's Aesthetic Theory, which has developed in-depth discussions about ugliness, and discusses similar or other aspects of opinion. Finally, to demonstrate the aesthetics of the application of ugliness in modern cinema, the specific sound of David Lynch's film is analyzed in detail and its relationship with images.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larify the aesthetic meaning of ugliness as an aesthetic category in the field of film.

본 논문은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첫 작품 <이레이저 헤드>에 나타난 추(醜)의 미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배경 연구로, 미의 역사에서 '추'가 등장한 역사를 고찰하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추'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논의한다. 이어서 '추'에 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한 미학자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 이론을 살펴보고, 이와 유사하거나 다른 측면의 의견들에 대해서도 짚어볼 것이다. 끝으로 현대 영화에서 추의 미가 적용되는 미적 양상을 논증하기 위해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 '이레이저 헤드'의 특정 사운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미지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영화라는 분야에서 미적 범주로서 '추'가 지니는 미학적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빗 린치, 데이빗 린치의 빨간방, 곽한주(역), 그책, 2008.
  2. 로젠크란츠, 추의 미학, 조경식(역), 나남, 2008.
  3. 미셀시옹, 오디오 비전, 윤경진(역), 한나래, 2004.
  4. 미셀시옹, 영화와 소리, 지명혁(역), 민음사, 2000.
  5. 움베르토에코, 추의역사, 오숙은(역), 열린책들, 2008.
  6.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 미학강의; 보다 듣다 읽다, 고봉만(역), 이매진, 2008.
  7. Rosenkranz, Karl, Asthetik des Hasslichen, Konigsberg, 1853.
  8. Rosenkranz, K., Assthetik des Hasslichen, Leipzig: Reclam Verlag, 2007.
  9. 김경화, 노이즈 듣기: 20세기의 청각 문화 안에서 소음의 소리 정체성, 음악이론연구 제 27집, pp.140- 163.
  10. 김민수, 아도르노의 미학에서 추의 변증법: 미학 이론의 한 해석, 미학예술학연구, 제 35호, 2012, pp.237-262.
  11. 김은정, 추에 대한 철학적 불신- 헤겔과 로젠크란츠 미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 23집, 2004, pp. 336-355.
  12. 김은정, 추의미적 현대성에 대한 철학적 담론-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 독일문학, 제 88집, 2003, pp. 219-239.
  13. 김산춘, 로젠크란츠의 추(醜)의 미학, 미학예술학연구, 제27집, 2008, pp.40-62.
  14. 김시무, 데이비드 린치 감독 연구 : 로스트하이웨이와 멀홀랜드 드라이브를 중심으로, 아시아 영화연구, Vol.7, 2015, pp.59-106.
  15. 김형래, 영화의 스펙터클과 추의 미학, 인문과학연구 22, 2009, pp. 265-288.
  16. 권정임, 헤겔의 '예술미' 개념에 기초한 근대 부조화적 미의 성립에 관하여, 미학예술학연구, 제27집, 2008, pp.5-38.
  17. 권정임, 헤겔의 음악규정과 그 현대적 의미, 미학예술학연구, 제 29집, 2009, pp.27-62.
  18. 노영덕, 추와 표현주의 미학, 기초조형학연구, Vol.16, 2015, pp.155-167.
  19. 라영균, 미적 범주로서의 추, 세계문학비교연구, 제 29집, 2009, pp. 305-326.
  20. 박성희, 카프카적 변신, 데이비드 린치, 영상예술연구 Vol.2, 2002, pp.368-382.
  21. 윤신향, 현대 음악의 미학적 과제: 현대음악과 영상의 문제, 미학예술학연구, 제 29집, 2009, pp.119-146.
  22. 이경분, 미학적, 사회학적 연구; 아도르노, 아이슬러 그리고 영화를 위한 작곡, 서양음악학, 제 7집, 2004, pp.27-48.
  23. 임호일, 추의 미학의 관점에서 본 뷔히너의 리얼리즘, 독일문학, 제 67집, 1998, pp.104-132.
  24. 정순영,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세계 - 분열된 자아, 무의식적 꿈의 발현, 공연과리뷰 57, 2007, pp.191- 198.
  25. 정현경, 미와 추의 변증법, 헤세연구, 제 23집, 2010, pp.89-110.
  26. 조선령, 심포지엄:추의 미학, 예술학적 의의; 라깡 이론에서 숭고와 추: 세미나7의 해석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제 27집, 2008, pp.9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