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the ULSAN MAEGUCHIGI

울산매구치기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고찰

  • 최흥기 (울산남구문화원 향토사연구소) ;
  • 이정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
  • Received : 2020.01.10
  • Accepted : 2020.02.13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In the past, each villages of ULSAN had their own SUNGHWANGDANGs. Village folks held an annual ritual for a ghost called GOLMAEGI. That ritual, which was a form of festival supervised by the village community, was the opening of seasonal customs. People called the ritual JISINBOPKI. It was a type of NONGAK in which musicals and dramatic factors made a harmony. Usually its lyrics were called 'SUNGJUPURI'or 'JISINBOPKI' song. At that moment, villagers, thumping on the ground with their feet, danced 'DUTBEKI' to awake the sleeping ghost SUNGJUJISIN. After this ritual, the music band started to visit people's house after house around the town playing PUNGMUL NOLI which consisted of SOGO NORUM, JAPSACK NORUM. The whole proceeding of these performances did not have a definite name. Villagers prayed to SUNGJUJISIN for the prevention of bad luck in their home. This study have arranged the type of MAEGUCHIGI, which is a kind of wishing NONGAK, on the basis of two preceding primary documents. And the other is about JISINBOPKI of ULSAN district that was shown in ULSAN YUSA written by a local historian, KIM SUKBO, of ULSAN. The process of arrangement is as follows. At first, considering the implication of this NONGAK, the definite title of it was designated as ULSAN MAEGUCHIGI. And then, it was given its genre and type within NONGAK.

예로부터 울산은 마을마다 성황당이 있었고, 주민은 주로 골매기를 모시기 위해 매년 제의를 하였다. 그 제의는 세시풍속으로 마을공동체에서 주관한 축제이었다. 이 행사의 경비는 주로 마을 풍물패의 걸립에 의해 충당되었는데, 그 형식은 가무악이 어우러진 것으로, 흔히 경상도 지역에서 서민들에 의해 범칭으로 '성주풀이', 또는 '지신밟기'라 하였다. 그들의 연행 놀이는 땅을 쾅쾅 밟는 덧배기 춤과 풍물놀이인 소고놀음, 잡색놀음 등이 어우러졌다. 이 연구는 울산 지역 상원(上元)행사에서 연행되었던 지신밟기로, 울산문화원(현 울산남구문화원)소속인 울산향토사학자 김석보의 『울산유사』에 기록된 1차 문헌자료를 통하여 그 성격과 구조를 정리한 것이다. 연구진행은 울산지역의 지신밟기에 관하여 명칭과 성격을 정의하고, 그에 대한 구성인 치배의 편성과 연행 형태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성과는 급격하게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여 원천적 무형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울산의 현실에서 마을풍속문화인 지신밟기를 실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