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의 변화

Changes of Problem Behavior,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eavy Work Activities

  • 손성민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Son, Sung-M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age)
  • 투고 : 2020.09.17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적장애인 10명이며, 대상자들에게 힘든 일 활동을 12주간 적용하였다.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라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문제행동은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도구를 활용하였고, 수면의 질은 수면의 질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삶의 질은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라 대상자들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고,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힘든 일 활동의 적용은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에게 힘든 일 활동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problem behavior,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heavy work activities. This study subjects were 10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this activities for 12 wee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heavy work activities, Korean-Adaptive Behavior Scale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problem behavior, sleep quality assessment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leep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quality of life. As the results, the decrease of problem behavior,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showed. Heavy work activities should be act to decrease the problem behavior, improve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udy subjects. Thus, heavy work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apply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효(2008).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상동행동 관련 중재 연구 동향: 최근 10년간(1997-2006)의 국외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7(1): 195-213.
  2. 김지영(201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 메타분석: 단일 대상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3): 47-67.
  3. 박혜진, 신현기(2010).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일반 학생의 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1(1): 1-19.
  4. 이화영, 이소현(2004).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3(1): 239-259.
  5. Courtemanche, A., Schroeder, S.R., & Sheldon, J.B.(2011). Desings and analysis of psychotropic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problem behavior among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116(4): 315-328. https://doi.org/10.1352/1944-7558-116.4.315
  6. 박상희, 김은화(2012). 지적장애학생의 정서, 행동문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3): 157-177.
  7. 손성민, 전병진(2017).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가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21(4): 195-208. https://doi.org/10.16884/JRR.2017.21.4.195
  8. 양영희, 김지훈, 이진성(2013).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의 수면문제. 수면정신생리, 20(2): 53-58. https://doi.org/10.14401/KASMED.2013.20.2.53
  9. Schreck, KA. & Mulick, J.A.(2000). Parental report of sleep problems in shildren with autism. Jounral of Autism Developmental Disorders, 30:127-135. https://doi.org/10.1023/A:1005407622050
  10. Cappuccio, F.P., Cooper, D., D'Elia, L., Strazzulio, P., Miller, M.A.(2011). Sleep duration predicts cardiovascula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European Heart Journal, 32: 1484-1492. https://doi.org/10.1093/eurheartj/ehr007
  11. 임준태, 오미경, 김하경, 이지호, 이범순, 박순엽(2015). 수면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제5기(2012)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가정의학, 5(3): 283-290.
  12. Badia, M., Orgaz, M., Verdugo, MA., Ullan, A., & Martinez, M.(2013).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6: 533-545. https://doi.org/10.1111/jar.12052
  13. 김진미, 김경미(2007).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 수용성 감각 활동에 대한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5(1): 51-63.
  14. Kranowitz, C.(2003). The out-of-sync child has fun: Activities for kids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tion. New York: Penguin Putnam.
  15. Ayres, A.J.(2006).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Seoul: Koonja Publication.
  16. Roley, S.S., Blanche, E.I., Schaaf, R.C.(2001).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Austin: Pro-ed.
  17. Rzepecka, H., McKenzie, K., McClure, I., & Murphy, S.(2011). Sleep, anxiety and challenging behaviour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or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6): 2758-2766. https://doi.org/10.1016/j.ridd.2011.05.034
  18. Didden, R., Korzilius, H.P.L.M., Aperlo, B.V., Overloop, C.V., & Vries, M.D.(2002). Sleep problems and daytime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6(7): 537-547. https://doi.org/10.1046/j.1365-2788.2002.00404.x
  19. Richdale, A., Francis, A., Gavidia-Payne, S., & Cotton, S.(2000). Stress, behaviour, and sleep problems in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25(2): 147-161. https://doi.org/10.1080/13269780050033562
  20. 장은영(2018). 주관적 기억장애와 경도인지장애의 수면 및 심리행동증상 특성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성민, 강진호, 박아름(2020).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5): 217-227.
  22. 김승국(1990). 적응행동검사. 중앙적성출판사.
  23. 최진영(2002). 체육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및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숙민(2012). 경도지적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주제제시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적응행동과 개인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유진(2008).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3): 563-572. https://doi.org/10.4040/jkan.1998.28.3.563
  27. 손연정(2000). 소음과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남현주, 이현지(2017).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복지, 21(1): 121-140. https://doi.org/10.16884/JRR.2017.21.1.121
  29. Diener, E., Emmons, R.A., Larsen, R.L., & Griffin, S.(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30. 백은희, 박계신, 이선희(2019).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및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5(3): 21-33.
  31. 김창호, 최미점(2018).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5(2): 21-43.
  32. 이남식, 박화문(2007). 전정-고유수용성감각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0(1), 89-114.
  33. 김수현, 손성민(2020).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3): 393-402.
  34. Gomez, S., Patel, M., Berg, S., Magnusson, M., Johansson, R., & Fransson, P.A.(2008). Effects of proprioceptive vibratory stimulation on body movement at 24 and 36h of sleep deprivation. Clinical neurophysiology, 119(3): 617-625. https://doi.org/10.1016/j.clinph.2007.10.058
  35. Lopez, M., & Swinth, Y.(2008). A group proprioceptive program's effect on physical aggression in childre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1(2): 147-166. https://doi.org/10.1080/19411240802313044
  36. Myllymaki, T., Rusko, H., Syvaoja, H., Juuti, T., Kinnunen, M.L., & Kyrolainen, H.(2012).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 on nocturnal heart rate variability and sleep qualit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2(3): 801-809. https://doi.org/10.1007/s00421-011-2034-9
  37. 정혜정(2015).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와 수면습관과의 관계. 동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Foreman, M.D. & Wykle, M.(1995). Nursing standard-o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 in elderly patiencts. Geriatirc Nursing, 16: 238-243.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173-9
  39. Sadeh, A., Gruber, R., & Raviv, A.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73(2): 405-417.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4
  40. 양영희, 김지훈, 이진성(2013). 자폐스펙트럼 장애에서의 수면문제. 수면, 정신생리, 20(2): 53-58.
  41. 박근필, 이영철(2018). 학급 및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 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2): 195-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