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정효(2008).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상동행동 관련 중재 연구 동향: 최근 10년간(1997-2006)의 국외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7(1): 195-213.
- 김지영(201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 메타분석: 단일 대상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3): 47-67.
- 박혜진, 신현기(2010).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일반 학생의 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21(1): 1-19.
- 이화영, 이소현(2004).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3(1): 239-259.
- Courtemanche, A., Schroeder, S.R., & Sheldon, J.B.(2011). Desings and analysis of psychotropic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problem behavior among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116(4): 315-328. https://doi.org/10.1352/1944-7558-116.4.315
- 박상희, 김은화(2012). 지적장애학생의 정서, 행동문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3): 157-177.
- 손성민, 전병진(2017).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가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21(4): 195-208. https://doi.org/10.16884/JRR.2017.21.4.195
- 양영희, 김지훈, 이진성(2013).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의 수면문제. 수면정신생리, 20(2): 53-58. https://doi.org/10.14401/KASMED.2013.20.2.53
- Schreck, KA. & Mulick, J.A.(2000). Parental report of sleep problems in shildren with autism. Jounral of Autism Developmental Disorders, 30:127-135. https://doi.org/10.1023/A:1005407622050
- Cappuccio, F.P., Cooper, D., D'Elia, L., Strazzulio, P., Miller, M.A.(2011). Sleep duration predicts cardiovascula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European Heart Journal, 32: 1484-1492. https://doi.org/10.1093/eurheartj/ehr007
- 임준태, 오미경, 김하경, 이지호, 이범순, 박순엽(2015). 수면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제5기(2012)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가정의학, 5(3): 283-290.
- Badia, M., Orgaz, M., Verdugo, MA., Ullan, A., & Martinez, M.(2013).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6: 533-545. https://doi.org/10.1111/jar.12052
- 김진미, 김경미(2007).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 수용성 감각 활동에 대한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5(1): 51-63.
- Kranowitz, C.(2003). The out-of-sync child has fun: Activities for kids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tion. New York: Penguin Putnam.
- Ayres, A.J.(2006).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Seoul: Koonja Publication.
- Roley, S.S., Blanche, E.I., Schaaf, R.C.(2001).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Austin: Pro-ed.
- Rzepecka, H., McKenzie, K., McClure, I., & Murphy, S.(2011). Sleep, anxiety and challenging behaviour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or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6): 2758-2766. https://doi.org/10.1016/j.ridd.2011.05.034
- Didden, R., Korzilius, H.P.L.M., Aperlo, B.V., Overloop, C.V., & Vries, M.D.(2002). Sleep problems and daytime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6(7): 537-547. https://doi.org/10.1046/j.1365-2788.2002.00404.x
- Richdale, A., Francis, A., Gavidia-Payne, S., & Cotton, S.(2000). Stress, behaviour, and sleep problems in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25(2): 147-161. https://doi.org/10.1080/13269780050033562
- 장은영(2018). 주관적 기억장애와 경도인지장애의 수면 및 심리행동증상 특성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손성민, 강진호, 박아름(2020).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5): 217-227.
- 김승국(1990). 적응행동검사. 중앙적성출판사.
- 최진영(2002). 체육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및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숙민(2012). 경도지적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주제제시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적응행동과 개인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유진(2008). 귀마개와 수면안대의 적용이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3): 563-572. https://doi.org/10.4040/jkan.1998.28.3.563
- 손연정(2000). 소음과 수면양상에 관한 연구: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현주, 이현지(2017).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복지, 21(1): 121-140. https://doi.org/10.16884/JRR.2017.21.1.121
- Diener, E., Emmons, R.A., Larsen, R.L., & Griffin, S.(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 백은희, 박계신, 이선희(2019).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및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5(3): 21-33.
- 김창호, 최미점(2018).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5(2): 21-43.
- 이남식, 박화문(2007). 전정-고유수용성감각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0(1), 89-114.
- 김수현, 손성민(2020).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3): 393-402.
- Gomez, S., Patel, M., Berg, S., Magnusson, M., Johansson, R., & Fransson, P.A.(2008). Effects of proprioceptive vibratory stimulation on body movement at 24 and 36h of sleep deprivation. Clinical neurophysiology, 119(3): 617-625. https://doi.org/10.1016/j.clinph.2007.10.058
- Lopez, M., & Swinth, Y.(2008). A group proprioceptive program's effect on physical aggression in childre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1(2): 147-166. https://doi.org/10.1080/19411240802313044
- Myllymaki, T., Rusko, H., Syvaoja, H., Juuti, T., Kinnunen, M.L., & Kyrolainen, H.(2012).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 on nocturnal heart rate variability and sleep qualit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2(3): 801-809. https://doi.org/10.1007/s00421-011-2034-9
- 정혜정(2015).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와 수면습관과의 관계. 동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Foreman, M.D. & Wykle, M.(1995). Nursing standard-o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 in elderly patiencts. Geriatirc Nursing, 16: 238-243.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173-9
- Sadeh, A., Gruber, R., & Raviv, A.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73(2): 405-417.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4
- 양영희, 김지훈, 이진성(2013). 자폐스펙트럼 장애에서의 수면문제. 수면, 정신생리, 20(2): 53-58.
- 박근필, 이영철(2018). 학급 및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 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2): 195-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