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공공기관 및 문화예술 분야 성과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 Baik, Young-Ki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KyungHee University) ;
  • Yoon, Mi-Ra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KyungHee University)
  • Received : 2020.11.18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After operatively defining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terms of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the necessity of analyzing the prior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was raised in accordance with this. The results of priority analysis based on the AHP axiom are as follows. The prioritie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were in the order of artistry, expertise, marketing, publicity, organizational management, exchange and cooperation, management efficiency, operating system, and convenie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first pay attention to the items of artistry that appear as the highest priority and seek strateg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ut a variety of experts in the original plan so that the audience and the public can have a high interest in this. However, in order not to exceed the 10 items recommended by the AHP axiom, we had to intentionally limit the evaluation i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iorities by deriving various evaluation items in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공공 기관적인 성격과 문화예술적인 성격의 결합 차원에서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이에 부합하는 차원에서 성과 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HP 공리에 의한 우선순위 분석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우선순위는 예술성, 전문성, 마케팅, 조직관리, 경영효율성, 교류협력, 운영체계, 공공성, 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나타난 예술성의 항목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객과 대중이 이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애초의 기획에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AHP공리에서 권장하는 10항목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평가항목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흥태(2018).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을 통한 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2018.
  3. 김지현(2009).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법적 주체에 따른 운영형태 분석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유진룡(1993). 예술경제란 무엇인가?. 경기: 신구미디어.
  5. 최보연, 김세훈(2015). BSC 성과관리 시스템의 문화예술분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3: 89-129.
  6. 김미리(2014).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주동(2018).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혜숙(2014).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운영역량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11): 23-32.
  9. 허은영(2010). 문화시설 운영 효율성 지표개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
  10. 금성희(2012). 공공문화시설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 '문화의전당'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행정학사전, 2009.
  12. 안혁근, 윤두섭(2004). 책임운영기관 평가방법의 개선방안. 사회과학연구. 1. 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5-213.
  13. 김영대(2011). 국립공연예술기관 단체의 민영화에 따른 공공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미리, 김영태(2016).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회계연구, 21(1): 195-219.
  15. 이혜숙(2015). 공공문화예술기관 운영 성과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은미, 정영기(2012). 공연장 예술경영 전문인력의 역량체계에 관한 연구: 공공공연장 운영 전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02): 31-60.
  17. 최선미, 성시경(2015). 지역문화예술기관의 조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4): 203-226.
  18. 이창민(2015). 문화예술기관 운영주체, 지배구조, 관리체계상의특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7(3), 817-851.
  19. 이정희(2018).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극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성영(2019).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운영 성과 향상을 위한 평가요소들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AHP 및 FGI 방법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신표, 조현주(2016).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운영효과 분석. 산업융합연구, 14(2): 39-46.
  22. Satty, T.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cGraw-Hill
  23. Saaty, T.L.(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