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n the Rol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elonging to Dementia Relief Center for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 중요도 조사

  • Ju, Eun-Sol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a University of Health) ;
  • Bang, Yo-So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University) ;
  • Hwang, Min-Ji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gju University)
  • 주은솔 (동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 방요순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황민지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09.22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for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role establishment by checking occupational therapists' tasks according to the prio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ccupational therapists in dementia care centers in the Honam area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were surveyed via mail and e-mail. The survey had a total of 54 items cov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erapists and current state of the centers (n=8),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reas and task content of the centers (n=45), and task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one short-answer question).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were mainly carrying out the "Dementia Prevention Management Projects", which provided the programs for the patients, and they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lthough the 'MMSE-DS' is occupational therapists' own area with hig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t was not assigned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ndicating that the role was insufficient. The tasks related "administrative works and strengthening community capacities" showed low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ut they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and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so the plans to increas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ance should be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project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onsider important were also consistent with those they had to perform. It means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recognized their unique roles. In this context, to establish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operating guidelines based on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riorities of the projects, and to develop the curriculums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tasks with insufficient performance and low satisfaction.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중요도 순위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업무를 확인하여 역할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광주광역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메일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및 치매안심센터 현황(8문항),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 및 업무 내용(45문항)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주관식 1문항), 총 5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은 대상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예방 관리사업'을 주로 수행하고 있었고, 만족도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선별검사'는 수행도, 만족도가 높고 고유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로는 배정되지 않아 역할의 미흡함을 나타내었다. '행정업무 및 지역사회 역량강화'는 수행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치매안심센터의 운영과 대상자 관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업무이기에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업범주 또한 작업치료사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와 일치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이 고유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립을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수행도, 만족도, 중요도를 기반으로 한 운영지침의 개정이 필요하며, 수행도 및 만족도가 미흡한 업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황민지, 방요순(2019). 선택형 인지자극프로그램 훈련이 경도치매노인의 인지,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7): 521-529.
  2. 김예원(2019). 전국의 치매안심센터 무용프로그램 현황: 주요 8개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윤정, 김정자, 오명화(2020).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차이.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209-219.
  4. 이재현, 방요순, 주은솔(2020). 이중과제를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1): 109-125.
  5.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1876&page=1/2017.09.18.
  6. 이희우(2020). 치매안심센터 이용 노인 대상 음악치료 실태 및 음악치료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조미림(2020).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 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2): 205-212.
  8. 보건복지부(2020). 치매정책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
  9. 중앙치매센터(2018). 치매안심센터 운영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를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10. 김은나, 유태규(2019).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치매안심센터의 효율성 평가-서울시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6(20): 203-229.
  11. 김우경, 김형빈(2018).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제공기관의 역할 제고 방안: 치매안심센터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 247-269.
  12. 김우람, 박주영, 윤예지(2018).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3): 287-295.
  13. 양영애(2016). 지역사회작업치료학. 에듀팩토리.
  14. 박주원, 김준아, 윤도현(2019).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에 대한 문헌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7(2): 25-36.
  15. 송민선, 김수근, 김남초(2011). 농촌 여성노인들의 우울과 건강체력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기초간호학회, 13(1): 37-43.
  16. 치매오늘은. https://www.nid.or.kr/info/today_list.aspx/2020.05.07.
  17. 장현정(2019). 치매안심센터 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은주(2013). 서울시 치매지원센터 종사자의 업무중요도와 업무수행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민예, 차유진(2009). 국내 작업치료 인력 현황 및 수급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4): 113-127.
  20. 정원미, 박총순, 황윤정(2013). 지역사회 치매 작업치료사의 직무역량을 위한 연구: 치매지원센터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3): 15-29.
  21. 차유진, 전병진(2012).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3): 41-53.
  22. 강혜숙, 이윤경, 채인숙(2016). 제주지역 요양(병)원 영양사의 직무중요도, 직무수행도 및 직무만족도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49(3): 189-200.
  23. 권정아, 노재훈, 장세진(2007). 작업치료사의 직무 만족도 관련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1): 117-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