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기 훈련을 위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도입 및 적용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merican Acting Method for Acting Training

  • 조성희 (청주대학교 영화언론콘텐츠학과)
  • Cho, Sung-Hee (Department of Film Press Contents, Cheongju University)
  • 투고 : 2020.09.22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직 배우들에게 설문을 통해 이들의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대한 이해와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연기 이론 중 특별히 효과적이거나 비효율적인 연기 훈련 방법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우들에게 사전설문을 통해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대표적인 이론 4가지를 가지고 간단한 연기 훈련을 수행한 후 이것이 연기에 도움이 되었는지, 어떠한 방법이 도움이 되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 대상 배우들은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었으며 연기 훈련에 체계적인 방법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통한 연기 훈련은 모두 효과가 있었다고 답하였으며 특히 스텔라 애들러의 상상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가장 효과가 적은 방법은 샌포드 마이즈너의 반복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연기 훈련에서 아메리칸액팅 메소드의 도입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through a questionnaire to currently active actors, we sought to understand their understanding of American acting methods and whether there are any particularly effective or ineffective acting training methods among various method related to this. For this, pre-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sk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American action methods, and post-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find effectiveness of American acting method and effect of individual method after performing simple acting training with four representative theories of American a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ctors surveyed were not familiar with the American acting method and want to systematic methods in acting training. All of the acting training through the American acting method were effective, especially Stella Adler's imagination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 least effective method was Sanford Meisner's repet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merican acting method in domestic acting trai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신현주(2015). 배우 알파치노의 인물창조방법 연구-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연기술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9(2): 71-79
  2. 김형태(2010).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트레이닝을 통한 연기 훈련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조한준(2008). 리스트라스버그와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 방법론 비교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민정(2013).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타난 영화연기 스타일 분석 연구-아메리칸액팅 메소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인영(2011).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훈련법 고찰을 통한 한국적 영화연기 메소드의 발전 방안 연구: 샌포드 마이즈너 연기방법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조성희(2020).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기반한 메릴 스트립의 연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4): 47-55
  7. Brestoff, Richard(1995). The Great Acting Teachers and Their Method. A Smith and Kraus Book.
  8. Lee Strasberg(1987). A Dream of Passion :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 Penguin Book.
  9. Howard Kissel(2000). Stella Adler : The Art of Acting, New York : Applause Books.
  10. 정인숙(2008).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I:스텔라 애들러의 인물 구축, 연극과 인간
  11. Larry Silverberg(1994). The Sanford Meisner Approach. New York: A Smith and Kraus Book.
  12. https://www.ibm.com/analytics/spss-statistics-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