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SNS Information an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Through the Immersion

관광 SNS 정보 특성과 사회적 자본이 몰입을 통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Dae-Seok (Depart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 Seo, Young-Wook (Depart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김대석 (대전대학교 경영컨설팅학) ;
  • 서영욱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Received : 2020.07.21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the impact of immersion on social capital (connected capital) 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to present measures to revitalize the tourism industry using the results obtained.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326 adults aged 19 and old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SNS utilization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Second, immersion has been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n the degree of word of mouth inten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social capital has positive interrelationships with immers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in the tourism industr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ttract potential tourism customers in the future by providing efficient information on tourism products by utilizing social network services (SNS) in the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intended to help the tourism industry in practice.

SNS 정보 특성의 하위요인인(정보품질, 정보신뢰성)과 사회적 자본(연결형)이 몰입을 통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세 이상의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활용의 하위요인인(정보품질, 정보신뢰성)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몰입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성립됨을 검증하였다. 셋째, 사회적 자본(연결형)이 몰입과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성립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관광산업 분야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성공적인 관광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하여 효율적인 관광 상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래의 잠재관광 고객 유치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관광산업에 실무적인 적용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귀정(2018). SNS 이용동기가 사회적 자본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 및 플로우의 매개효과.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4): 143-157.
  2. 김종기, 김진성(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화정책저널, 18(3): 25-49.
  3. 양성수(2008). 온라인 구전 관광정보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 권봉헌, 임현숙(2015). SNS관광정보 특성이 관광자 만족도 및 신뢰도 그리고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4(4), 215-233.
  5. 임현숙, 심우석(2019). SNS 관광정보특성의 관광동기, 관광지 선택 영향 연구. 관광경영연구, 23(2): 677-700.
  6. 차재빈,이훈영(2015). 관광지 스토리텔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 (TAM)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1): 69-89.
  7. 정희정, 정남호(2017). 관심욕구에 따른 관광객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한 관광경험 공유에 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 19(2): 37-56.
  8. Amy Bruckman and Mitchel Resnick.(1993). Virtual Professional Community: Results from The Media MOO Project,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space in Austin.
  9. Amy B. Woszczynski, Philip L. Roth, and Albert H.(2002). Segars, Explor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layfulness in Computer Intera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4): 369-388. https://doi.org/10.1016/S0747-5632(01)00058-9
  10. Adler, P. S., & Kwon, S. W.(2002).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1): 17-40. https://doi.org/10.2307/4134367
  11. 이수희, 김맹선(2012). 호텔기업의 SNS 웹 품질이 사용자 만족, 구매의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24(6): 261-281.
  12. 임지연, 황인석, 송상호(2016). 관광기업 사내 SNS제도 도입을 위한 SNS 이용동기가 SNS 이용 스트레스와 직무성과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6): 299-318.
  13. Negasha, Solomon, Terry Ryan, & Magid Igbaria.(2003). Quality And Effectiveness In Web-Based Customer Support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40(8): 757-768.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101-5
  14. Vogt, C. A., & Fesenmaier, D. R.(1998). Expanding the functional information 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3): 551-578.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010-3
  15. Negash, Solomon, Ryan, Terry, & Igbaria, Magid.(2003). Quality and effectiveness in web-based customer support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40(8): 757-768.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101-5
  16. Bailey, J. E. & Sammy W. P.(1983).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29(5): 530-545. https://doi.org/10.1287/mnsc.29.5.530
  17. Lewis, K. K.(1999). Trying to Explain Home Bias in Equities and Consumpt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7(2): 571-608. https://doi.org/10.1257/jel.37.2.571
  18. 천민호(2011). 온라인 구전 여행정보의 신뢰와 구전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5): 424-432. https://doi.org/10.5392/JKCA.2011.11.5.424
  19. 곽비송(2013). SNS 특성이 레스토랑의 몰입 및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40: 130-150.
  20. 한희정,정남호(2014). 관광정보 공유를 위한 소셜 미디어의 역할: 정보와 사회적 영향의 통합모형. 경영학연구, 43(4): 1197-1220.
  21. 이미균(2014). 항공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특성, 신뢰, 몰입, 이용의도 간의 구조적관계 K 항공사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4): 57-71.
  22. 하동희, 이형룡(2018). 온라인 관광 커뮤니티 특성이 정보 유용성, 긍정적 감정,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3(1): 163-183.
  23. 김근오(2017). 공공기관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SNS홍보 특성과 공공기관이미지, 몰입, 행동의도와의 관계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유로, 이종호(2014). 모바일 메신저 웹의 이용 동기와 품질요인이 몰입과 사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과 웨이신의 한중비교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5(3): 255-276.
  25.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 Bass.
  26. 박순천(2013). 문화관광 축제 체험과 개최지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19(0): 1-21.
  27. 양휘순, 이유리(2008). 도전감과 능력이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2D 쇼핑몰과 3D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4): 573-585.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573
  28. Csikszentmihalyi, M., & LeFevre, J.(1989).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815. https://doi.org/10.1037/0022-3514.56.5.815
  29. 이지현, 김한구(2018). 게임 이용자의 사회자본과 개인정보제공에 대한 우려가 플로우를 통해 SNG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37(4): 21-39.
  30.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alogy of Education, J.G. Richardson(ed), New York: Greenwood. 241-258.
  31.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9033
  32. Puttnam, R. D.(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249-259.
  33. 유지윤, 박희봉(2019). 사회자본이 개인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33(3): 154-175.
  34. Williams, Dmitri.(2006).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1(0): 593-62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9.x
  35. Putnam, Robert.(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
  36. Wellman, B., Haase, A. Q., Witte, J., & Hampton, K.(2001).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5(3): 436~445.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86
  37. Kraut, R., M. Patterson, V. Lundmark, S. Kiesler, T. Mukopadhyay, and W. Scherlis.(1998).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53(9): 1017-1031. https://doi.org/10.1037/0003-066X.53.9.1017
  38. Nie, N. H.(2001). Soci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Internet: Reconciling conflicting finding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5(3): 420-435.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77
  39. 박용석, 이경미, 이지원(2012). SNS(social network sites)를 통해 형성된 사회자본의 형태가 소비자 제품선호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6): 1619-1641.
  40. Lin, N.(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Katz, J. E. and R. E. Rice.(2002). Social consequences of Internet use: Acces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42. Bargh, J. and K. McKenna.(2004). The Internet and social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1): 573-590.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5.090902.141922
  43. Brandtzaeg, P. B.(2012). Social networking sites: their users and social implications - a long itudinal study.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7(4): 467-48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12.01580.x
  44. Kawachi, Ichiro, Daniel Kim, Adam Coutts and SVSubramanian.(2004). Commentary: Reconciling the Three Accounts of Social Capita.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3: 682-690. https://doi.org/10.1093/ije/dyh177
  45. Sung, H. T., Sigerson, L., & Cheng, C.(2017).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n Location-Based Mobile Game Playing: A Multiple-Process Approach,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0(8): 486-493 https://doi.org/10.1089/cyber.2017.0222
  46. 김재윤, 김정환, 김성철(2013).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7(2): 157-185.
  47.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2011). Connection strategies: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Facebook-enabled communication practices. New Media & Society, 13(6): 873-892. https://doi.org/10.1177/1461444810385389
  48. Baker, W. E.(1990). Market networks and corporate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3): 589-625. https://doi.org/10.1086/229573
  49. Burt, R. S.(1992).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0. Sandefur, R. and E. Laumann.(1998). A Paradigm for Social Capital, Rationality & Society, 10: 481-502. https://doi.org/10.1177/104346398010004005
  51. Woolcock, M.(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 151-208. https://doi.org/10.1023/A:1006884930135
  52. Knoke, D. and R. S. Burt.(1983). Prominence, in Applied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ical Introduction, 195-222, edited by R. S. Burt and M. J. Minor.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53. Brown, J. & Reingen, P.(1987). Social ties and word-of-mouth referral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350-362. https://doi.org/10.1086/209118
  54. 현성협, 이광호(2015). 컨벤션센터 모바일 관광정보 사용에 있어 기대일치가 사용자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대일치모델의 적용- 관광연구, 30(1): 105-123.
  55. Court, David, Dave Elzinga, Susan Mulder, and Ole Jorgen Vetvik.(2009). 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McKinsey Quarterly, 3: 96-107.
  56. 이지훈(2017). 구전, SNS, 포스터가 정보의 신뢰성 및 정보력을 통해 흥미유발, 축제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3): 347-358.
  57. Bickart, B. & R. M. Schindler.(2002). Internet forums as influential sources of consumer in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15: 31-40.
  58. Hennig-Thurau, T., Gwinner, K. P., Walsh, G., & Gremler, D. D.(2004). Electronic word-of-mouth via consumer-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8(1): 38-52. https://doi.org/10.1002/dir.10073
  59. Pavlou, P. A., & Dimoka, A.(2006). The nature and role of feedback text comments in online marketplaces: Implications for trust building, price premiums, and seller differenti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4): 392-414. https://doi.org/10.1287/isre.1060.0106
  60. Han, J. S., Jung, Y. S., & Lee, H. J.(2016). Effects of benefit sought of food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and WOM intention on SNS-focuse on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s mediato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4): 302-318. https://doi.org/10.20878/cshr.2016.22.4.022022022
  61. 김현주(2011). 관광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용특성이 몰입도와 여행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도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와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문영주, 이종호(2007). 온라인 쇼핑몰에서 UCC의 즐거움이 상호작용성, 신뢰, 친밀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몰입(Flow)을 매개로. e-비즈니스연구, 8(2): 31-159.
  63. 이용균, 양춘호(2009). 스포츠 웹사이트의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을 통한 플로우 경험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177-188.
  64. 김한주, 노석준, 유병민(2015).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3(2): 171-194.
  65. Wetzels, M., K. De Ruyter, and M. Van Birgelen.(1998). Marketing service relationships: the role of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 Industrial Marketing, 13(4/5): 406-423. https://doi.org/10.1108/08858629810226708
  66. Fullerton, G.(2003). When Does Commitment Lead Loyalt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5(4): 333-344. https://doi.org/10.1177/1094670503005004005
  67. Sheth, J. N., B. Mittal, and B. I. Newman. (1999). Customer behavior: consumer behavior and beyond. Fort Worth, TX: Dryden.
  68. De Matos, C. A., and C. A. V. Rossi.(2008). Word-of-mouth communications in marketing: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antecedents and moderator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6(4): 578-596. https://doi.org/10.1007/s11747-008-0121-1
  69. Brown, T. J., T. E. Barry, P. A. Dacin, and R. F. Gunst.(2005). Spreading the word: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consumers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nd behaviors in a retailing contex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3(2): 123-138. https://doi.org/10.1177/0092070304268417
  70. 이준원(2008). 대학 내 피트니스클럽의 참여동기와 몰입, 감정적충성도 및 고객행동의도 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1): 25-36.
  71. 유승각(2009). 레저스포츠의 재미요인과 몰입 경험이 참가자의 여가만족 및 지속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2): 1375-1390.
  72. 손증군, 문영주, 이종호(2012). 소셜커머스 속성이 신뢰,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65-275.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65
  73. Joo, Ji-Hyuk, Choi, Myung-Goo(2016). 구전효과, 사회적 현존감 및 몰입이 소셜커머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효과 대학생의 소셜커머스 이용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4): 177-198.
  74. 이정실(2018). 축제의 물리적 환경, 즐거움, 플로우 그리고 재방문 의도와의 관계. 동북아관광연구, 14(3): 153-173.
  75. 조상, 김미현(2020).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가 유저의 몰입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2): 267-280.
  76. Helliwell, J. F., & Putnam, R. D.(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9(1449): 1435. https://doi.org/10.1098/rstb.2004.1522
  77. 여민선, 배소영(2016).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몰입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4(9): 171-179. https://doi.org/10.14400/JDC.2016.14.9.171
  78. Allsop, D. T., Bassett, B. R., & Hoskins, J. A.(2007). Word-of-mouth research: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7(4): 398-411. https://doi.org/10.2501/S0021849907070419
  79. 이시내(2013). SNS 이용자들의 온라인 구전(eWOM)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적 특성, SNS 특성, 대인적 영향,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5(4): 273-315.
  80. 차재혁, 장경로, 서원재(2018). 아웃도어 스포츠 참여자의 SNS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3(2): 66-82.
  81. 이희태(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상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 요인 및 사회적 자본과 소비 성향과의 관계. 소비문화연구, 17: 105-13. https://doi.org/10.17053/JCC.2014.17.3.006
  82. 한지수, 이형주(2016). SNS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상품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3): 254-268. https://doi.org/10.20878/cshr.2016.22.3.020020020
  83. Chin, W. W. and P. A. Todd(1995) On the Us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IS Research: A note of caution, MIS Quarterly, 19(2): 237-246. https://doi.org/10.2307/249690
  84. Chin, W. W.,(1998).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George A. Marcoulides (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5. Fornell, C., Larcker, D.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86. Gefen, D., & Straub, D. W.(2000). The Relative Importance of Perceived Ease-of-Use in IS Adoption, A Study of E-Commerce Adop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8): 1-30. https://doi.org/10.17705/1jais.00008
  87. Comrey, A. L.(1973).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88. Falk R. F. and Miller N. B. A primer for soft modeling, The University of Akron Press. Akron, Ohio.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