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Howard, E.(2010). Pink Truck Ads Second-Wave Feminism and Gendered Marketing. Journal of Women's History, 22(4): 137-161.
- 이견실, 목선희(2011). 페미니즘 차원의, 기호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3): 499-509.
- Tasker, Y. & Negra, D.(2005). In Focus: Postfeminist and Contemporary Media Studies. Cinema Journal, 44(2): 107-133. https://doi.org/10.1353/cj.2005.0012
- Gill, R.(2007). Postfeminist Media Culture: Elements of a Sensibility. European Jourmal of Culture Studies. 10(2): 147-166. https://doi.org/10.1177/1367549407075898
- 김수아, 김세은(2017).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광고와 여성 재현. 한국광고홍보학보, 19(2): 135-172.
- 연합뉴스. 남녀 성중립적 메이크업 룩북공개 https://www.yna.co.kr/view/AKR20180523080400848?input=1195m. 2020. 6. 30
- Courtney, A. E. & Lockeretz, S. W.(1971). Woman's place: an analysis of the roles portrayed by woman in magazine advertise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8(1), p. 92-95. https://doi.org/10.2307/3149733
- Dominick, J. R. & Rauch, G. E.(1972). The image of women in network TV commercials, Journal of Broadcasting, 16. 259~265. https://doi.org/10.1080/08838157209386349
- Sexton, D. E., & Haberman, P.(1974). Women in magazine advertis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4(Aug.). 41-46.
- Belkaoui, A. & Belkaoui, J. J.(1976).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les portrayed by women in magazine advertise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8(Feb.), 92-95. https://doi.org/10.2307/3149733
- Goffman, E.(1976). The Arrangement between the Sexes. Theory and Society, 4(3): 301-331. https://doi.org/10.1007/BF00206983
- Butler, M. & Paisley, W.(1980). How content is studied in women and the mass media: sourcebook for research and action,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59-67.
- Masse, M. A. & Rosenblum, K.(1988). Male and female created they them: the depictions of gender in the advertising of traditional women's and men's magazine,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11(2): 127-144. https://doi.org/10.1016/0277-5395(88)90044-1
- 리대룡, 김희정(1995). 잡지광고의 여성역할 이미지 및 그 변천에 관한 내용분석. 광고연구, 봄호, 7-53.
- 한은경(1996). 텔레비전 광고속의 남성 이미지 연구: 상품광고를 중심으로, 광고연구(가을호), 32, 91-120.
- 박은지, 백제훈(2006). 여성소비자를 위한 국내외 화장품 TV광고에서의 페미니즘 마케팅 전략 사례연구. 기초조형학연구, 7(4): 267-276.
- 안대천, 김상훈(2008). 고정관념적 성역할 광고의 파급효과: 한국과 미국의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 광고연구, 2008 겨울호, 191-219.
- 정기현(2007). 한국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젠더표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8. 71-111.
- 최은섭, 이상경(2009). 옥외광고에서 여성은 차별되어 표현되고 있는가? -지하철 광고 및 COEX광고에 표현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옥외광고학연구, 6(2): 101-133.
- Paek, H. J., Nelson, M. R. & Vilela, A. M.(2011). Examination of gender-role portrayals in television advertising across seven countries. Sex Roles. 64. 192-207. https://doi.org/10.1007/s11199-010-9850-y
- 김종필(2014).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1993년, 2003년과 2012년의 광고 속 여성의 상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2): 193-233.
- 조이영, 김희정(2016). 라디오 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5): 264-292.
- Rubio, M.D.S.(2018). A multimod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gender stereotypes in contemporary British TV commercials: "Women and men at work". Poznan Studies in Contemporary Linguistics, 54(2): 185-221. https://doi.org/10.1515/psicl-2018-0008
- 손소영(2014). 여성의 성역할 관점에서 본 여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TV광고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4. 231-241.
- 최은섭(2017). TV광고에 나타난 양성적 성역할 분석. 광고PR실학연구, 10(4): 282-303.
- 박종민, 곽은경(2007), 신문광고 내 여성의 특징과 역할: 1920년부터 2005년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광고 분석, 광고연구, 2007 겨울, 59-93.
- 변화순, 유희정, 장영아(1997). 여성정책의 현황과 전망: 21세기를 향한 여성정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이미원(2003). 다원주의 시대 한국의 페미니즘. 사회와 철학, 6. 113-136.
- 정미옥(2003). 페미니즘의 한국적 수용과 지식생산 문제- 페미니즘 저널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34. 231-247.
- 김희강(2006). 서구 페미니즘 이론의 동향과 쟁점, 글로벌 맥락에서의 한국 페미니즘에 미치는 의미. 21세기정치학보, 16(2): 27-50.
- 임미연(2007). 페미니즘의 이론적 기초. 법학논총, 24(3): 211-223.
- 원시연(2007). 한국 여성정책의 변천에 관한 제도주의 연구. 한국정치연구, 16(1): 191-216.
- 남경태(2004). 소비자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성에 따른 젠더 표상 광고효과. 광고홍보학보. 6(4): 119-149.
- 이용일, 원종욱(2010). 화장품 잡지광고의 표현에 관한 연구:라네즈, 마몽드를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13. 79-88.
- 마몽드 히스토리(2010). 꽃처럼 아름다운 브랜드 마몽드. (주)아모레 퍼시픽.
- 김선희, 박성은, 박수경, 이미현, 최성주, 임숙자(1997).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현대 여성의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2): 277-285.
- 문학비평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31049&cid=60657&categoryId=60657. 2020. 6. 30.
- Bordeau, W.C., Briggs, M.K., Station, A.R., Wasik, S.Z.(2008). Feminism lives on: Incorporating contemporary feminism into counseling practice with families and youth.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47(1): 42-54. https://doi.org/10.1002/j.2161-1939.2008.tb00046.x
- Jaggar, A. M.(1983). Feminist Politics & Human Nature. N.J.: Rowman & Allanheld
- Steeves. H. L.(1987). Feminist theories and media studies.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4(2): 95-135. https://doi.org/10.1080/15295038709360121
- Chamallas, M.(1998). Introduction to Feminist Legal Theory, New York, Aspen Publisher, Inc.
- Yun, J, S.(2003). Postmodernism and Feminism. 법학연구, 13(2): 153-173.
- Budgeon, S.(2011). Third Wave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Gender in Late Modernity. UK, Palgrave Macmillan.
- Ringros, J. & Brajas, K.(2011). Gendered risks and opportunities? Exploring teen girl's digitalized sexual identities in post feminist media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and Cultural Politics, 7(2): 121-138. https://doi.org/10.1386/macp.7.2.121_1
- Goldman, R.(2006). Reading ads society(광고에서 사회를 읽는다). 신태섭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Yang, Fang-chih Irene (2007). Beautiful- and- Bad Woman: Media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Its Construction. Feminist Studies, 33(2): 361-383.
- Hio, Y.(1991). Reading women's magazines: Comparepolitan studies of Japanese, American and Mexican women's magazines. Women and Languages, WL: Urbana 14(1): 39.
- Pateman, C.(1991). Feminist Critiques of the Public-Private Dichotomy, P. Pettit(ed.), Contemporary Political Thepr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양은희(2014). 텍스트와 실천사이에서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의 페미니즘 미술 이론의 수용, 전개, 그리고 전망.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7. 391-413.
- Kang, M. E.(1997). The Portrayal of women's imag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Goffman's gender analysis revisited, Sex Role: A Journal of Research, Dec. 37.
- 최미숙(2010). 시세이도사 광고에 나타난 여성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연구, 32, 88-98.
- 류혜진, 박병호(2019). 사회적 메시지에 대한 남녀의 반응차이에 대한 연구: 페미니즘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제37차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 이선영(1995). 입술을 공략하라: 핑크빛으로 색상경쟁에 나선 '마몽드 베베'. 월간 마아케팅, 3월호. 53-55.
- 최은섭, 안준희(2019). 화장품광고와 아름다움의 문화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백주연, 송민희(2010). 문화연구 관점에서 TV 광고 속 여성 몸의 이데올로기 분석연구. 기초조형연구, 11(6): 325-336.
- Sirgy, M.J.(1985). Using self-congruity and ideal congruity to predict purchase motiv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3. 195-206. https://doi.org/10.1016/0148-2963(85)90026-8
- 김은희, 곽선순, 이영애(2010). 태평양화장품장업지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1950~2000년도를 중심으로. 대한피부미용학회지, 8(2): 23-32.
- 한정아(2002). 국내의 화장품 브랜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8(2): 317~327.
- 권승경, 장동련, 박해천(2010). 1990년대 국내 화장품 잡지광고의 여성상 연구: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3(3): 89-104.
- 아모레퍼시픽홈페이지. https://www.apgroup.com/int/ko/brands/brands.html. 2020, 6, 30.
- 강화석(2016). 아모레퍼시픽의 성공과 글로벌 브랜드 전략 사례. 글로벌경영연구, 28(1): 33-65.
- 마몽드 히스토리(2019). 마몽드 브랜드 히스토리(2010년 이후). (주)아모레 퍼시픽
- Gerring, J.(2004). What is a case study and what is it good for?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8(2): 341-354. https://doi.org/10.1017/s0003055404001182
- 정승혜(2017). 국내 광고학 분야의 사례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 광고연구, 112. 107-133.
- 남수정(2010). 성역할정체성,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소비.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91~102. https://doi.org/10.5934/KJHE.2010.19.1.091
- Artz, M., Munger, J., & Purdy, W.(1999). Gender issue in advertising language. Women and Language, 22(2): 20-26.
- 민현식, 이필영(1998).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연구. 서울: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35-99.
- Zhou, n. & Chen, M. Y.(1997). A content analysis of men and women in Canadian consumer magazine advertising: Today's portrayal, yesterday's image? Journal of Business Ethics. 16. 485-495. https://doi.org/10.1023/A:1017973232441
- Valls-Fernandez, F. & Martinez-Vicente, J. M.(2007), Gender stereotypes in Spanish television commercials, Sex Roles, 56(9-10): 691-699. https://doi.org/10.1007/s11199-007-9208-2
- Bem, S. L.(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https://doi.org/10.1037/h0036215
- 정진경(1990). 한국 성역할 검사(KSR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5(1): 105-126.
- 최은섭, 리대룡(2004). TV광고에 묘사된 아동층 성유형화 연구. 광고학연구. 여름, 92-130.
- 최은섭(2006). 광고의 성유형화 표현이 아동 소비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8(4): 94-127.
- Holsti, O.(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Addison Wesley.
- Williamson, J.(2007). Decoding Advertisements: Ideology and Meaning in Advertising. 박정순 역. 광고의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Berger, J.(1972). Ways of Seeing. London: Penguin Classics.
- Lin, C. L.(2008). Sexual Issues: The analysis of female role portrayal preferences in Taiwanese print ad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3. 409-418. https://doi.org/10.1007/s10551-007-9628-5
- Crouse-Dick, C.E.(2002). She designed: Deciphering messages targeting women in commercials aired during Ally McBeal. Women and Language, 25(1): 18-39.
- 김기철(2014). 거울메타포와 '나다움'의 영성 형성. 신학사상, 167. 183-217.
- 김애라(2016). 소셜미디어 소녀시장과 디지털(소비)정보를 통해 구축되는 십대 여성성. 한국청소년연구. 27(4): 149-173.
- 은기수(2018).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한국 인구학, 41(2): 117-150.
- 한겨레신문. 새 여성시대가 오고 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22100289108006&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02-21&officeId=00028&pageNo=8&printNo=547&publishType=00010. 2020.6.30.
- 경향신문. 오랜 공식 깬 생리대 광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281109002&code=900303#csidxa29d3ff081074ea81428f7674adb0aa. 2020.6.30.
- 이수범, 강은희(2010).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2(1): 286-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