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iversity Varsity Teams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 Kim, Eon-Hy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chool of Graduate Studies) ;
  • Chang, Ik-Young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Department of Community Sport)
  • 김언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 장익영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과)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uman rights sensibility in university varsity teams and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ensibility by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varsity tea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88 student-athletes from 10 universities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Scheffe using IBM SPSS 24.0. First, based on the episodes, the episodes with the highest human rights sensitivity are the right to labor of migrant workers and happiness rights, and the episodes with the lowest human rights sensitivity are the right to freedom of detention and privacy rights.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and perception of behavior are higher than perception of outcome.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varsity team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varsity team.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uman rights sensibility of the university varsity team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volunteer activity and human righ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varsity team.

이 연구는 대학운동부를 대상으로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변인 간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에 등록된 대학을 중심으로 10개 대학교의 운동선수 188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구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대학운동부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인권감수성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 one-way ANOVA,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에피소드 중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에피소드는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노인의 행복권이며, 인권감수성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에피소드는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 사생활권이다. 또한,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인 중 책임지각과 상황지각이 결과지각보다 높다. 둘째, 대학운동부 특성에 따른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은 학교운동부규모, 수상실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대학운동부의 교육특성에 따른 대학운동부의 인권감수성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인권위원회(2018). 인권의 이해.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 Andrew, C.(2015). Human Rights: A Very Short Introduction Retrieved from https://www.books.google.co.kr/books
  3. 심태은, 이송이(2018).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10). 352-360.
  4. 김보정, 김지혁(2019). 스포츠인권의 사각지대:태권도선수 인권문제와 사회적 책임. 한국체육철학회, 27(2), 34-44.
  5. 안재찬(2019). 스포츠 현장의 인권 그리고 인권감수성. 한국체육철학회, 27(4), 59-71.
  6. Rest, J. R.(1983). Moraility. In. P. H. Mussen, J. H. Flavell, & E. M. Markma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11. Conitive Development(4th ed., pp. 556-629). New York: Praeger.
  7. 김성은(2016).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변화에 관한 횡단적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4), 355-362. https://doi.org/10.14400/JDC.2016.14.4.355
  8. Volker, J. M.(1984), Counselling experience, moral jubgement, awareness of consequence and moral sensitivity in counselling practic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Minnesota.
  9. 홍순혜, 원미순, 박미현, 문정희(2014). 청소년의 인권감수성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미래청소년학회지, 11(3), 43-63.
  10. 심태은, 이송이(2018).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과 인권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10), 352-360.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352
  11. 장기연, 이은진, 공명자(2017), 작업치료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권감수성.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3), 141-152.
  12. 김현수(2018). 스포츠는 인권인가?. 한국체육철학회, 26(1), 19-34.
  13. 문용린(2002).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14. 김선필, 염미경(2013), 학생의 인권감수성 분석과 학교인권교육의 방향 서귀포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8(2), 23-49. https://doi.org/10.29175/KLREA.8.2.201308.23
  15. 이진선, 강영숙, 오종철, 박시균(2019).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인권의식의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공정책연구, 36(2), 391-412.
  16. 전혜성, 이종구(2019). 성인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및 인권관련 경험적 요인탐색. 차세대컨버런스정보서비스학회, 8(2), 141-152.
  17. 이춘엽, 박영주[2018]. 작업치료학과 전공 대학생의 봉사수행에 따른 공감능력 비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2), 197-206.
  18. 노희정(2016). 인권감수성 신장을 위한 도덕 교육. 도덕윤리과교육연구, (53), 125-144.
  19. 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2019). 인권위, 대학 운동선수 인권실태 조사결과 발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 김철(2010). IOC의 국제법상지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4), 235-249.
  21. 박선욱(2013).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용 주요국의 적용사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 49, 409-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