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on Burnout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김혜정 (목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burnout by measuring level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that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burnout.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argeting 173 junior- and senior-year nursing students in Y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4th 2019. For data analysi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along with the Scheffé test as a post-test.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depending on grades(t= -2.20, p=.029) and major satisfaction(F=3.62, p=.029)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When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ing stude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r=.214, p=.005),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elf-efficacy(r=-.253,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ocial support(r=-.175, p=.021). Major satisfaction(β= -.21, p=.006)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burnout, and it was followed by self-efficacy(β= -.16, p=.032) and social support(β= -.15, p=.047).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3.8 percent.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develop programs, which enhanc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preventing burnout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소진을 예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Y지역 간호대학생 3, 4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의 차이는 학년(t= -2.20, p=.029), 전공만족도(F=3.62, p=.02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r=.214, p=.005)는 양의 상관관계, 소진과 자기효능감(r=-.253, p<.001)은 음의 상관관계, 소진과 사회적지지(r=-.175, p=.021)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만족도(β= -.21, p=.006), 자기효능감(β= -.16, p=.032), 사회적지지(β= -.15, p=.047) 순으로 모형의 설명력은 13.8%이었다. 결론적으로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 대학생활 만족과 임상실습 만족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성실, 박미정(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369-377
  2. Mikolajczak, M., Menil, C., & Luminet, O. (2007). Explaining the protective effect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Exploration of emotional labour process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5): 1107-1117. https://doi.org/10.1016/j.jrp.2007.01.003
  3. 이은하(2019).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3): 63-73.
  4. 장수현, 이미영(2015).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255-265.
  5. 박정선, 하나선(200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2(1): 27-35.
  6. 김명숙(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의사 결정유형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4): 441-45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441
  7. Rudman, A., & Gustavsson, J.P.(2012).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8): 988-100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3.010
  8. Bundura, A.(1977). Self Efficar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9. Kendall, M.A. & Bloomfield, L.(2005). developing and validating a tool to measure parenting self-efficary. Journal of Advanced Nursinfg. 51(2): 174-18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479.x
  10. 민소영, 정승교(2006). 간호학과 학생의 자기 효능감 정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간호학회지, 15(3): 299-307.
  11. 신은주(2008).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기본간호수기술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5(3): 380-386.
  12. 전미경, 오재우(2017).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339-34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339
  13. 조연경(2001). 간호사가 지각한 삶의 질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연구.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Cohen, S., & Hoberman, H.M.(1983). Positive events and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15. 박광희(2008). 대학생 우울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혜윤, 정남운(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8(2): 279-300.
  17. 최현경, 양승경, 하영미(2016).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1): 75-82.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75
  18. 서정원, 강미란, 제남주(2019).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폭력경험, 폭력대처, 사회적지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7): 393-405. https://doi.org/10.5762/KAIS.2019.20.7.393
  19. 노윤구(2017). 간호대학생의 실습 스트레스,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행정학회지, 23(5): 461-470.
  20. 이은정, 성미혜, 안혜경, 김윤아(2019). 간호 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극복력,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5(1): 86-98. https://doi.org/10.4069/kjwhn.2019.25.1.86
  21.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S., Prentice-Dunn, B.,Jacobs, B & Rogers, R.W. (1982). The self-Efficacy Scale: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2):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2. 홍혜영(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Nolten, P.W.(1994). Conceptu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nconsin-Madisin, 1-2.
  24. 최지연(2016).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Schaufeli, W. B., Martinez, I. K., Pinto, A. M., Salanova. M., & Bakker. A. B.(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5): 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26. 홍윤경(2016).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및 소진.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미정, 전원희(2016).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1): 34-4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34
  28. 박동영(2020).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648-657. https://doi.org/10.5392/JKCA.2020.20.04.648
  29. 박주영, 박성은, 박민조(2018).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218-229. https://doi.org/10.5762/KAIS.2018.19.1.218
  30. Glanz, K.E., Lewis, F.M.E., Rimer, B. K.(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francisco, CA: Jessey-Bass: 189-210.
  31. 조헌하, 강정미(2017). 간호대학생의 실습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23(2): 199-206.
  32. 송영숙(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4): 406-414.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4.406
  33. 박성희, 변은경(2015).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 8284-8291.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284
  34. Reeve, K.L., Shumaker, C.J., Yearwood, E.L., CCcrowell, N.A., & Riley. J.B.(2013).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educational experiences. Nures Education Today, 233(4): 419-424.
  35. Cohen, J.(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ition). Hillsdale, N.J. :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Inc.
  36. 염영란, 박현정(2020).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학업소진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14(3): 63-73.
  37. 박진아, 이은경(201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7(3): 267-276.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