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 국가빅데이터를 중심으로

Adul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National Big Data Utilization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김승주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
  • 전민주 (한림성심대학교 레저스포츠과)
  • Kim, Seung-Ju (Department of Nursing.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 Jeon, Min-Ju (Department of Leisure&Sports.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투고 : 2020.11.23
  • 심사 : 2020.12.29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를 활용하여 성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59세의 성인 24,269명 중 결측치가 없는 11,2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EuroQol group의 EQ-5D로, 신체활동은 GPAQ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활동 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KEQ-5D index)은 교차분석(Chi-square), 신체활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결혼상태, 교육상태, 직업, 흡연, 음주, 경제상태, 스트레스, 만성질환 유무, 만성질환 치료 유무, 여가로 인한 신체활동 정도와 직업으로 인한 신체활동 정도는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직업의 신체활동의 최소한 신체활동군에서 삶의 질이 37% 낮게 나타났다(p<0.05). 반면, 여가로 인한 신체활동과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신체활동 관련 보건정책 수립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using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1,211 adult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defined using the EuroQol group's EQ-5D and physical activity using GPAQ.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AS 9.4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hysical activity of the subject, Chi-square for KEQ-5D index,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marital status, educational status, occupatio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economic status, stress, chronic disease, chronic disease treatment, physical activity due to leisure and physical activity due to occupation, depending on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p<0.05). As for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lower by 37% in the 'minimum physical activity group'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physical activity-related health policy establishment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키워드

과제정보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in 2019

참고문헌

  1. 국가지표체계(2020). 신체활동 실천률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83 2020.11.02
  2. 김소영, 윤지은, 김희진, 지선하(2011). 국제신체활동 설문도구로 측정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성-제4기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8): 15-25.
  3. 김완수(2012). 국민건강조사 신체활동 설문문항: 현황, 제한점 및 향후 과제. 대한보건연구, 2(38): 117-131. https://doi.org/10.22900/KPHR.2012.38.2.012
  4. 김현경, 권혁태, 장미소(2018). 한국 직장인에서 신체활동의 종류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제6기 2차년도(2014년)와 3차년도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결과. 가정의학회지, 8(4): 616-622.
  5. 남해성(2010). EQ-5D 건강상태에 대한 한국인 질 가중치 산출. 주간 건강과 질병, 3(16): 264-264.
  6. 문화체육관광부(2016).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h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66&pDataCD=0406000&pType=07/ 2020.06.02.
  7. 박동호, 김창선, 김광준(2015). 성인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및 운동 강도에 대한 고찰. 운동생리학회, 2(24): 99-107.
  8. 백현희, 정민(2020).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활동이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5(14): 267-277.
  9. 장영희, 김소희, 김유숙, 정선희, 박종(2013). 우리나라 성인의 걷기운동과 삶의 질 관련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5): 325-334. https://doi.org/10.14400/JDPM.2013.11.5.325
  10. 조정형, 김영재(2016). 신체활동량이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1(4): 65-72. https://doi.org/10.24007/AJPESS.2016.4.1.002
  11. 채덕희, 김수희, 이정열(2013). 남성과 여성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24): 273-281.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273
  12. Ainsworth, B. E., Haskell, W. L., Whitt, M. C., Irwin, M. L., Swartz, A. M., Strath, S. J., & Jacobs, D. R. (2000).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2(9; SUPP/1), 498-504.
  13. Armstrong, T. & Bull, F. (2006).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GPAQ). Journal of Public Health. 14: 66-70. https://doi.org/10.1007/s10389-006-0024-x
  14. Group, T. E. (1990).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3): 199-208. 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15. Ki-Yong An(2019). Physical activity level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Epidemiol Health, 41:e2019047. DOI: https://doi.org/10.4178/epih.e 2019.04.7.
  16. Park, J. Y., & Kim, N.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245-252.
  17. Schaller A., Dejonghe L., Haastert B., & Froboese I. (2015).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16: 62. https://doi.org/10.1186/s12891-015-0527-0
  18. World Health Organization(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19. World Health Organization(2018).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20. World Health Organization(2013).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013-2020;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94384.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