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한림성심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 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참고문헌
- 김수연(2020). "사이버대나 다름없어"... 종강 앞두고 대학등록금 반환 요구 빗발. 연학뉴스 기사, 2020.06.10.
- 강명희, 김나영, 김민정, 김지윤, 임현진(2011). 사이버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 실재감,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2), pp. 153-176.
- Garrison, D. R.(2013). 21세기의 이러닝(연구와 실행을 위한 프레임 워크). (권성연, 최형신, 김혜정 공역) 서울: 학지사.
- 박정규(2018). 직업기초능력함양을 위한 맞춤식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모형적용-전문대학 방사선과 1학년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12(2): 225-231. https://doi.org/10.7742/JKSR.2018.12.2.225
- 이동주, 김미숙(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3): 359-377.
-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3): 392-412.
-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3): 211-234.
- 이보경(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14(4): 97-112.
-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영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937-966.
- 최원호, 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https://doi.org/10.22768/JFLS.2020.1.2.1
-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2008).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 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15-135.
- 강명희, 유은조, 한정선, 류혜선(2012). 혼합형 학습 공동체에 참여 한 원격대학생의 지각된 과제 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18(3): 1-30.
- 이나핼, 정혜림(2018).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 감각통합 수업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247-256.
- 채민정(2016).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윤가영(2017).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강의 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수미(2016). 신 강의평가제도 개선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Paechter, M. Maier, B., & Macher, D.(2010). Students'expectations of, and experiences in e-learning: Their relation to learning achievements and course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54: 222-229.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8.005
- Palmer, S. R., & Holt, D. M. (2009).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wholly onlin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5: 101-113.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8.00294.x
- Sheridan, K., & Kelly, M. A.(2010). The indicators of instructor presence that are important to students in online courses.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6(4): 767.
- 오미자(2019).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 구성요인'에 대한 교수-학습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열린교육연구, 27(1): 1-22.
- 이쌍철, 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 양혜진(2020). 코로나 19 상황에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3): 35-143.
- 임병노(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827-853.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4.827
- Meyer, D. K., & Turner, J. C.(2002).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107-114.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2_5
- Zembylas, M.(2008). Adult learners'emotions in onlin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9(1): 71-87. https://doi.org/10.1080/01587910802004852
- Rovai, A. P.(2002).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cognitive learning, and persistence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4): 319-332. https://doi.org/10.1016/S1096-7516(02)00130-6
- 조은아(2015).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손경옥(2014). 전문대학생의 학교 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2020). 코로나 19(COVID- 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 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519-541.
- 김수현, 배유나, 이진현(2017).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6): 547-55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547
- 육정학(2016). 온라인영상을 활용한 영화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5): 143-153.
- 양승훈(2019). 전문대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전산정보 시스템 고도화 작업 진행현황 및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5): 175-183.
-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 최정선, 권미경, 최은경(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7(12): 247-278.
- 백이연(2020).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조사. 일본어교육연구, 52: 59-74.
- 이지혜, 하정윤(016).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6(5): 25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