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수업의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 전문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es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Learning Outcome - Focusing on H Technical College Students -

  • 김보영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
  • 황혜경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 Kim, Bo-Young (Di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 Hwang, Hye-Kyoung (Di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투고 : 2020.11.16
  • 심사 : 2020.12.29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혀보는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3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31일까지 수도권 소재 H 전문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수업의 질, 학습정서와 관련된 요인들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해 성별,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중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긍정적 정서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환경으로 타나났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문대학생들의 학년,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전문대학 수업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전문대학생들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현장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학습 내용개발과 학년별, 단계별 접근이 허용되는 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a base stud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that examines the learning outcoms of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Technical Colleges To this study, from March 1, 2020 to August 31,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students of H Technical Colleg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Statistics 18.0 program, t-validation were performed to reveal awareness of online class als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reveal the relation and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instruction, learning emotions, learning outcome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by gender and grad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quality, learning emotions, and learning outcomes for online classes. Third, among the learning outcom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hievement wer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positive emotion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among the learning outcome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한림성심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 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참고문헌

  1. 김수연(2020). "사이버대나 다름없어"... 종강 앞두고 대학등록금 반환 요구 빗발. 연학뉴스 기사, 2020.06.10.
  2. 강명희, 김나영, 김민정, 김지윤, 임현진(2011). 사이버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 실재감,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2), pp. 153-176.
  3. Garrison, D. R.(2013). 21세기의 이러닝(연구와 실행을 위한 프레임 워크). (권성연, 최형신, 김혜정 공역) 서울: 학지사.
  4. 박정규(2018). 직업기초능력함양을 위한 맞춤식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모형적용-전문대학 방사선과 1학년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12(2): 225-231. https://doi.org/10.7742/JKSR.2018.12.2.225
  5. 이동주, 김미숙(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3): 359-377.
  6.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3): 392-412.
  7.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3): 211-234.
  8. 이보경(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14(4): 97-112.
  9.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영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937-966.
  10. 최원호, 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https://doi.org/10.22768/JFLS.2020.1.2.1
  11.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2008).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 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15-135.
  12. 강명희, 유은조, 한정선, 류혜선(2012). 혼합형 학습 공동체에 참여 한 원격대학생의 지각된 과제 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18(3): 1-30.
  13. 이나핼, 정혜림(2018).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 감각통합 수업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247-256.
  14. 채민정(2016).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윤가영(2017).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강의 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수미(2016). 신 강의평가제도 개선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17. Paechter, M. Maier, B., & Macher, D.(2010). Students'expectations of, and experiences in e-learning: Their relation to learning achievements and course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54: 222-229.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8.005
  18. Palmer, S. R., & Holt, D. M. (2009).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wholly onlin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5: 101-113.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8.00294.x
  19. Sheridan, K., & Kelly, M. A.(2010). The indicators of instructor presence that are important to students in online courses.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6(4): 767.
  20. 오미자(2019).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 구성요인'에 대한 교수-학습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열린교육연구, 27(1): 1-22.
  21. 이쌍철, 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22. 양혜진(2020). 코로나 19 상황에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3): 35-143.
  23. 임병노(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827-853.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4.827
  24. Meyer, D. K., & Turner, J. C.(2002).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107-114.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2_5
  25. Zembylas, M.(2008). Adult learners'emotions in onlin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9(1): 71-87. https://doi.org/10.1080/01587910802004852
  26. Rovai, A. P.(2002).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cognitive learning, and persistence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4): 319-332. https://doi.org/10.1016/S1096-7516(02)00130-6
  27. 조은아(2015).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손경옥(2014). 전문대학생의 학교 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2020). 코로나 19(COVID- 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 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519-541.
  30. 김수현, 배유나, 이진현(2017).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6): 547-55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547
  31. 육정학(2016). 온라인영상을 활용한 영화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5): 143-153.
  32. 양승훈(2019). 전문대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전산정보 시스템 고도화 작업 진행현황 및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5): 175-183.
  33.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34. 최정선, 권미경, 최은경(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7(12): 247-278.
  35. 백이연(2020).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조사. 일본어교육연구, 52: 59-74.
  36. 이지혜, 하정윤(016).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6(5): 25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