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Policy Attributes Taxonomy for Data-based Decision Making

데이터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속성 분류체계 개발 연구

  • 김사랑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Received : 2020.01.24
  • Accepted : 2020.08.10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Purpose Due to the complexity of policy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it is accepted as common basics of policy design to mix up a variety of policy instruments aiming the multiple functions. However,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written-down policy specification, not only the public officers but also the policy researchers cannot easily grasp such frameworks as policy portfol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olicy Attributes Taxonomy"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public programs to help making decisions for allocative efficiency with effectiveness-based inform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figure out the main scheme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Policy Attributes Taxonomy which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public policies, previous theories and researches on policy components were explored. In addition, to test taxonomic feasibility of certain information system, a set of "Feasibility Standards" was drawn from "requirements for well-organized criteria" of eminent taxonomy literatures. Finally, current governm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area of social service was tested to visualize the application of Taxonomy and Standards. Findings Program Taxonomy Schemes were set including "policy goals", "policy targets", "policy tools", "logical relation" and "delivery system". Each program and project could be condensed into these attributes, making their design more easily distinguishable. Policy portfolio could be readily made out by extracting certa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s scheme. Moreover, this taxonomy could be used for rearrangement of present "Program Budget System" or estimation of "Basic Income".

Keywords

References

  1. 강두호, 이현규, "시도 행정, 새올 행정시스템서비스 품질이 지방자치단체사용자 만족도 및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0권 제2호, 2011, pp. 135-154.
  2. 강성경, 이영재, "교육시설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및 활용방안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 175-196.
  3. 강혜규, 강신욱, 박세경, 정경희, 권소일, 김용득, 유태균, 주무현, 최영준, 함영진, 사회보장사업 실태조사 및 유사.중복 사업의 조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2015.
  4. 강희우, 박한준, 권남호, 오영민, 재정성과평가제도 환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
  5. 관계부처합동, 범부처 사회서비스 발전 방향(사회보장위원회), 2018.
  6. 김대진, "효율적 예산배분 방안으로서 지출심사제도," 예산정책연구, 제5권 제1호, 2016, pp. 81-124. https://doi.org/10.35525/NABO.2016.5.1.004
  7. 김두례, 권순애, 김요석, 채종현, 채인숙, 홍재봉, 부산광역시 사회복지 서비스 분류체계 및 성과지표 개발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08.
  8. 김미현, 이순성, 이진숙, 전하연, 권소일, 박창제, 전만준, 사회복지서비스 원가측정 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09.
  9. 김상헌, 재정성과관리제도 정착을 위한 재정제도와의 조화방안, 기획재정부 연구용역보고서, 2013.
  10. 김성주, 윤태섭,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예산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11. 김순양, "공공서비스 공급과 바우처 (voucher)사업: 사회서비스 바우처의 성공요건 분석," 행정논총, 제57권 제4호, 2019, pp. 31-69.
  12. 김윤형, 녹색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정책조합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3. 김정해, 조세현, 오윤경, "국민 중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정책수단 활용에 관한 연구: 환경.복지.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8.
  14. 남궁근, "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 법문사, 2019.
  15. 박노욱, 강희우, 김우현, 김사랑, 원혜진, 이화연, 장민혜, 허영미, 저출산 대책 평가기준 마련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보건복지부, 2017.
  16. 박노욱, 강희우, 표한형, 이상헌, 중소기업 재정지원사업 효과성 평가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
  17. 박노욱, 원종학, 오영민, 재정성과관리제도 운영의 성과분석과 정책과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5.
  18. 박노욱, 원종학, 지방재정성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9.
  19. 박병식, "다목적 사업 평가설계의 논리와 구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9권 제3호, 2009, pp. 15-37.
  20. 박정수, dBrain 재정사업정보 관리방안, 한국재정정보원, 2019.
  21. 안수란, 강혜규, 전진아, 유재언, 하태정 김혜승, 조현성, 남재욱 송아영, 송나경, 범부처 사회서비스 보장 체계 구축 방안 연구-보장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2. 오세영, 윤건, 오균, 증거기반정책을 위한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에 대한 현황 조사, 한국행정연구원, 2017.
  23. 유승원, "프로그램 예산제도의 문제점과 개편방안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6권 제3호, 2015, pp. 83-114.
  24. 유종성, 전병유, 신광영, 이도훈, 최성수, "증거기반 정책연구를 위한 행정자료의 활용," 한국사회정책, 제27권 제1호, 2020, pp. 5-37.
  25. 윤영근, "증거기반(Evidence-Based) 정책과 정책품질관리제도,"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
  26. 이데일리, ""기재차관" 내년 예산안 편성, 각 부처별 재량지출 10% 절감 추진", 이진철 기고, 2020.07.08.
  27. 이선우, 김두례, "사회복지서비스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 사회서비스연구, 제2권 제2호, 2011, pp. 5-30.
  28. 이영덕,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 한국데이터진흥원, 2018.
  29. 이원희, "미래 행정 환경 변화와 재정 개혁의 방향," 한국행정연구, 제26권 제4호, 2017, pp. 33-58. https://doi.org/10.22897/KIPAJN.2017.26.4.002
  30. 이정기,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분류체계의 개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2017, pp. 129-161. https://doi.org/10.17327/IPPA.2017.31.2.006
  31. 이홍재, 성과관리와 예결산심의의 연계성 제고방안 연구: 국회 예결산 심의 과정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1.
  32. 전영한, "정책도구의 다양성: 도구유형분류의 쟁점과 평가," 정부학연구, 제13권 제4호, 2007, pp. 259-295.
  33. 정광호, "바우처 분석 :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5권 제1호, 2002, pp. 61-109.
  34. 정수경,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4권, 2008, pp. 283-314.
  35. 최재성, 정세정, 조자영,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 년간 연구경향 특성: 네트워크분석과 내용분석의 활용,"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1호, 2016, pp. 73-94.
  36. 최하예, 황성수, "우리나라 청년정책의 정책수단 유형분석 연구: 지방정부의 정책과제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3호, 2018, pp. 75-99.
  37. 최환용, "데이터기반 행정의 법제화," 데이터기반행정의 현안과 발전방향, 한국정책학회.행정안전부 공동기획세미나자료집, 2018.
  38. 한국조세재정연구원, "DATA Act 실행 현황과 당면과제 : GAO," 국외동향 : 미국,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7년 상반기, 2017, pp. 30-37.
  39. 한국조세재정연구원, "DATA법 이행에 따른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 GAO, 2015년 7월,"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6년 상반기, 2016a, pp. 80-86.
  40. 한국조세재정연구원, "Performance Budgeting and Tagging," 2016년 제5차 재정성과 관리 국제포럼, KIPF 재정성과평가 동향과 이슈, 2016년 하반기, 2016b, pp. 134-135.
  41. Allen R. and Tommasi, D., Managing Public Expenditure: A reference Book for Transition Countries, Organization for Economic, OECD, 2001.
  42. Bailey, K. D., Typologies and Taxonomies : An Introduction to Classification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lifornia, 1994.
  43. Birkland, T.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 Routledge, New York, 2015.
  44. Bouma, J. A., Verbraak, M., Dietz, F., and Brouwer, R., (2019). "Policy mix: mess or merit?,"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Policy, Vol. 8, No. 1, 2019, pp. 32-47. https://doi.org/10.1080/21606544.2018.1494636
  45.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THE PROMISE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 : Report of the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2017.
  46. Davies, P., "Is evidence based government possible?,"the 4th annual Campbell Collaboration Colloquium, Washington DC, 2004.
  47. Elliott, O. V., and Salamon, L. M., The tools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2.
  48. GAO, DATA ACT : Data Standards Established, but More Complete and Timely Guidance Is Needed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GAO-16-261, 2016.
  49. Head, B., "Evidence-based policy: principles and requirements," Strengthening evidence-based policy in the Australian Federation, Vol. 1, 2010, pp. 13-26.
  50. Hunt, S. D., Modern Marketing Theory: Critical Issues in the Philosophy of Marketing Science, South Western Publishing Co., Cincinnati, 1991.
  51. Jahiel, R., and Babor. T. F., "Toward a Typology of Homeless Familie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Homeless Families with Children: Final Report,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fice of Human Services Polic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52. Kettner, P. M., Moroney, R. M., and Martin, L. L., Designing and managing programs: An effectiveness-based approach, Fifth edition, Sage Publications, Los Angeles, 2017.
  53.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London, 1980.
  54. Marradi, A., "On Classification." in Contemporary Political Systems: Classifications and Typologies, Bebler, A., and Seroka, J. (eds.), Lynne Rienner, 1990, pp. 11-43.
  55. Nickerson, R. C., Varshney U., and Muntermann, J., "A Method for Taxonomy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in Information System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2, No. 3, 2013, pp. 336-59. https://doi.org/10.1057/ejis.2012.26
  56. OMB, Preparation submission and execution of the budget Circular No. A-11, 2020.
  57. Ranney, A.,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policy, Markham Publishing Company Chicago 1968.
  58. Rich, P., "The organizational taxonomy: Definition and desig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7, No. 4, 1992, pp. 758-781. https://doi.org/10.5465/amr.1992.4279068
  59. Sackett, D. L., Rosenberg, W. M., Gray, J. M., Haynes, R. B., and Richardson, W. 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Vol. 312, No. 7023, 1996, pp. 71-72. https://doi.org/10.1136/bmj.312.7023.71
  60. Schick, A., A Contemporary Approach to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The World Bank Institute, 1999.
  61. Smith, K. B., "Typologies, taxonomies, and the benefits of policy classification," Policy Studies Journal, Vol. 30, No. 3, 2002, pp. 379-395. https://doi.org/10.1111/j.1541-0072.2002.tb02153.x
  62. Stemler, S.,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Vol. 7, No. 17, 2001, pp. 1-6.
  63.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64. 캐나다 재무부, https://www.tbs-sct.gc.ca/pol/doc-eng.aspx?id=31306, 캐나다 재무부 정책결과물 표기 방식에 대한 지시, (접속일. 20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