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농촌진흥청 (2013). 사회복귀예정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정원활동과 사회적 결과를 중심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6. 14.
- 농촌진흥청 (2016). 암암 괜찮아 괜찮고 말고, 암환자 회복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매뉴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43.
- 농촌진흥청 (2018). 사물모형 학교텃밭 디자인과 활용. 초판. 전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8.
- 서정근, 이상미 (2004). 원예치료사를 위한 원예 치료 과정의 적용과 실제. 단국대학교출판부. 29. 32-33. 40-43. 55. 67. 69-70.
- 손기철, 조문경, 송종은, 김수연, 이손선 (2006). 전문적 원예치료의 실제. 쿠북. 65-72. 77. 322.
- 최영애 (2003). 원예치료. 학지사. 115-141.
-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2019). 원예치료사를 위한 원예치료와 복지원예. 초판. 서울. 부민문화사. 19-20. 35. 169.
- 남소현, 김영희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부적응행동. 대한가정학회, 38(10), 199-213.
-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https://doi.org/10.15753/AJE.2007.8.1.003003
- 위휘 (2005). 청소년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4(2), 129-138.
-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22(4), 157-174. https://doi.org/10.21193/kjspp.2008.22.4.010
- 이상미, 서한솔, 채영, 장윤아, 장현진 (2018).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텃밭 조성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인간식물환경학회, 36(별호2), 173-174.
- 김아영 (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교육심리연구, 24(3), 583-609.
-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8).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념적 틀. 인간식물환경학회, 11(4), 53-64.
- 황동국 (2017). 학교텃밭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실과교육연구, 23(4), 109-125.
- 강성경 (2012). 난타를 활용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해련 (2008). 교사의 격려반응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기 (1998). 집단보상 유무, 집단구성 유형 및 학습자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권묘희 (2006). 여자 고등학교 농구코치의 지도행동과 자아유능감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순홍 (2013).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일상적 스트레스와 안녕감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성실 (2013).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및 또래지위 향상을 위한 학교 텃밭활동 프로그램.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명 (2012). 긍정심리치료가 우울성향 중학생의 낙관성,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 (201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훈석 (2012). 정서적 성향과 자기유능감 및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결과변수간의 관계에서 일중독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나미연 (2011). 교사의 격려언어가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민경진 (2006).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영어 독해지도가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독해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새와 (2012).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우리 (2018). 자유학기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변우영 (2005).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및 스트레스 요인에 과한 연구. 세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부지혜 (2012).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을 전.후한 협동학습 상황에서의 학습몰이 수준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유정 (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구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심은미 (1989). 아동의 유능감 지각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혜정 (2005). 구조중심협동학습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상미 (2006).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영미 (2013). 차생활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학교폭력 행동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혜령 (201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연하 (2017).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문제행동 및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경희 (2009). 집단원예치료 모델 구성 및 적용.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국립국어원. '과정'. 표준국어대사전. 2020년 7월 3일 검색, http://www.stdict.korean.go.kr
- 농촌진흥청, 올 봄에는 정원에 과일 나무 심어보세요[전자자료]. (2019년 3월 21일). 정부24. 2020년 7월 14일 검색,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809968
- Deci, E. L.,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 Dinkmeyer, D., Losoncy, L. (1996). The Skills of Encouragement. NY: St. Lucie Press.
- Liebmann, M. (1986). Art therapt for groups, CromHelm, London.
- Relf, D. (2006). Volunteers : Implementtion therapeutic horticulture or supporting horticultural therapy. 원예치료 국제 심포지엄 교재.
- Ryan, R. M., Deci, E. L. (2017). Self-Determination Theory-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The Guilford Press.
- Shoemaker, J. (1982). Systematic planning. Presentation at therapeutic horticulture Short Course, Kansas State University.
-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 Americ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AHTA). 2020. http://www.aht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