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현수, 2020,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20-2040): 인구감소시대 국토개발에서 국토관리로.", 도시정보, 455, 4-5.
- 김은자, 안삼영, 김영, 이상영, 이정원, 2009, "초, 중, 고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농업, 농촌 다원적 기능 교육 내용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6(4), 869-912.
- 김중기, 장동헌, 2017, "도시민의 농촌체험과 고객만족이 귀농.귀촌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3(3), 97-105 https://doi.org/10.7851/Ksrp.2017.23.3.097
- 박수진, 채혜성, 황대용, 2019, "농업교육 참여자의 인식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농생명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농촌지도와 개발, 26(4), 205-219.
- 신민지, 박미정, 전정배, 박로운, 김상범, 2019, "공익형 농촌 생활서비스 접근성 분석.", 농촌계획 25(3), 19-27. https://doi.org/10.7851/ksrp.2019.25.3.019
- 오해섭,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9(2), 185-197.
- 조성걸, 2020, "행동이론을 적용한 농촌체험이 인식변화와 정착유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 차미숙, 정우성, 김다윗, 강민석, 김수연, 2020, "'모두를 위한 국토, 함께 누리는 삶터' 구현을 위한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도시정보, 455, 6-25.
- Murgas, F., 2016, Geographical conceptualization of quality of life, Ekologia (Bratislava), 35(4), 309-319, doi: https://doi.org/10.1515/eko-201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