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의 생성 구조

A Structure of Generating the Fan-made Works in Korean Idol

  • 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박사과정, 시간강사) ;
  • 한혜원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부교수)
  • 투고 : 2020.08.24
  • 심사 : 2020.09.15
  • 발행 : 2020.09.28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의 텍스트 생성 과정과 코드화를 분석했다. 아이돌 팬 창작물이란, 창작 주체인 팬이 아이돌 콘텐츠를 원전으로 삼아 텍스트를 창작한 콘텐츠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으로는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하는 남성 아이돌 그룹인 '방탄소년단'과 '엑소'의 팬 창작물을 채택했다. 이론적으로는 빌렘 플루서의 '기구-작동자'와 '기술적 형상'의 개념을 적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아이돌 콘텐츠는 팬 해석의 분화와 통합을 통해서 팬 창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통합적 스토리 월드를 생성한다. 이때 팬들은 코드를 생성하고 작동시키는 기구-작동자이다. 팬들은 아이돌 콘텐츠의 특정 부분을 탈맥락화하며 원전 텍스트를 강화하고 구조적 완결성과 자율성을 추구한다. 동시에 아이돌 콘텐츠의 중첩되는 부분을 재맥락화하고 원전 텍스트의 영역을 확장한다. 결과적으로 한국 아이돌 팬 창작물은 사용자이자 창작 주체인 팬의 의식과 가치를 담아낸다는 점에서 코드화된 기술적 형상으로 작동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text generation of the fan-made works in Korean idol. The subjects of the study adopted the fan-made works of 'BTS' and 'EXO'. This is applied the concepts of 'Apparatus-Operator' and 'Technical form' in Vilém Flusser. Idol contents build a database of fan-made works and create the storyworld through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fan's interpretations. By decontextualizing and recontextualizing the idol contents, fans reinforce and extend the original texts.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s://www.kpop-radar.com/brief/34, 2020.08.15.
  2. 지인해, 한류나우(Hanllyu NOW) 한류 심층 분석 보고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Vol.35, 2020.
  3. 마르틴 졸리, 이선형 옮김, 이미지와 기호 , 동문선, 2004.
  4. 헨리 젠킨스, 정현진 옮김,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5. 강보라, 서지희, 김선희, "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프로듀스101시즌2> 팬덤을 중심으로," 미디어,젠더&문화, 제33권, pp.5-20, 2018.
  6. 강준만, 강지원, 빠순이는 무엇을 갈망하는가? : 소통공동체 형성을 위한 투쟁으로서의 팬덤 , 인물과 사상사, 2016.
  7. 김수정,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언론정보연구, 제55권, 제3호, pp.47-86, 2018.
  8.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 "케이팝(K-pop)의 한국팬덤에 대한 연구: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7호, 제1호, pp.272-298, 2017.
  9. 고혜리, 양은경, "남성 아이돌 그룹의 여성혐오 논란과 여성 팬덤의 분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506-51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506
  10. David C. Oh, "K-Pop Fans React: Hybridity and the White Celebrity-Fan on YouTub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1, pp.2270-2287, 2017.
  11. K. Yoon, "Global Imagination of K-Pop: Pop Music Fans' Lived Experiences of Cultural Hybridity," Popular Music & Society, Vol.41, No.4, pp.373-389, 2017. https://doi.org/10.1080/03007766.2017.1292819
  12. 김남옥, 석승혜,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37호, pp.191-226, 2017.
  13. 류정월, "에로스의 기호학: 팬픽(fanfic)의 기호학적 분석," 기호학연구, 제23호, pp.195-212, 2008.
  14. 소유정, "이토록 열렬한 마음:여성 서사의 아이돌/팬픽-읽기를 통한 나/주체-다시쓰기," 문학동네, 제27 권, 제1호, pp.1-20, 2020.
  15. 유진희, "팬픽:동성(성)애 서사의 여성 공간," 여성문학연구, 제20권, pp.163-184, 2008.
  16. 한혜원, "한국 온라인 팬픽의 인물형상화 방식,"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4호, pp.294-328, 2013.
  17. 김문정, 김면, "K-POP 아이돌 음반의 스토리텔링전략 사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pp.27-36, 2018.
  18.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강남스타일>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84-120, 2013.
  19. 이승목, 신재권, 이상우,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 및 아이돌 우상화가 아이돌 광고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328-3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328
  20. 조은하, "한.일 아이돌 시스템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221-231,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221
  21. 한유희, "BTS 팬덤 콘텐츠로서 아미피디아 연구 : 아이돌 팬덤에서 코스모피디아는 존재하는가," 인문콘텐츠, 제52호, pp.143-161, 2019.
  22. 조민선, 정은혜, "한국 아이돌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제52호, pp.223-245, 2019.
  23. 이재헌, 이준희, "ARG(Alternate Reality Game) 기반의 아이돌(Idol) 홍보 전략 연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3권, pp.55-67, 2015.
  24. https://archiveofourown.org/, 2020.08.15.
  25. 빌렘 플루서,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6. 이동연, 아이돌 , 이매진, 2011.
  27. 장 보드리야르, 하태환 옮김, 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
  28. Ryan, Marie-Laure, Narrative Theory, Literature, and New Media , NY: Routledge, 2016.
  29. 요한 하위징아, 이종인 옮김,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0.
  30. 아즈마 히로키, 이은미 옮김,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문학동네, 2001.
  31. https://youtu.be/JTE21Bd9EWA, 2020.08.15.
  32. https://blog.naver.com/riverkimm/221723254508, 2020.08.15.
  33. https://blog.naver.com/422minwoo/221720375601, 2020.08.15.
  34. https://youtu.be/a7yr_k_kWlk, 2020.08.15.
  35. Karen Hellekson and Kristina Busse, Fan Fiction and Fan Communities in the Age of the Internet : New Essays, McFarland, 2006.
  36. 이졸데 카림, 이승희 옮김, 나와 타자들 , 민음사, 2019.
  37. 박현수, "시의 지배적 특질로서 '탈맥락성'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제54권, pp.229-256, 2018.
  38. 방탄소년단, @BTS_twt, 2020.08.15.
  39. shitty watercolour, @SWatercolour, 2020.08.15.
  40. 마리 매클린, 임병권 옮김, 텍스트의 역학, 한나래, 1997.
  41. 남명희, "스핀오프, 컨텐츠 시대에 어울리는 속편 제작형태 제안: 이야기의 확대와 연장 개념에서 바라보는 크로스오버와 스핀오프," 영화연구, 제29호, pp.39-70, 2006.
  42.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구조 연구 : <스타트랙(Star Trek)>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43. https://youtu.be/_b7esGfULug, 2020.08.15.
  44. https://youtu.be/0Ux5_uXqQ1, 2020.08.15.
  45. https://youtu.be/OC13Cb0zldM, 2020.08.15.
  46. https://youtu.be/A70oD2g3j9c, 2020.08.15.
  47. Marie-Laure Ryan, Possible World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arrative Theory, Indiana University Blooming & Indianapolis Pres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