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기관, 최종덕. 트레드밀 훈련 시 복부압박벨트 착용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치료학회지 2016;20(2):1-6.
- 김남수, 김하영. 탄력밴드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22(6):1343-1355.
- 김성철, 허영구.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31-43. https://doi.org/10.26862/jkpts.2018.06.25.1.31
-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등.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NECA 연구방법 시리즈: 2011. p.1-287.
- 김신균.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1):220-226.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20
- 김유신, 김은정.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하지분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2011;6(3):335-343.
- 김지선, 손양호, 황양배,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기능에 대한 수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의 효과.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2011;1(2):63-70.
- 김지선, 안진환, 이현희, 등. 만성뇌졸중 환자에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PNF and Movement 2017;15(2):133-140.
- 김창숙, 배성수. 뇌졸중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대한 트레드밀과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의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3):435-443.
- 김창영, 황병용, 이상호. 시청각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치료학회지 2015;19(2):33-40.
- 김태우, 김용욱. 트레드밀 측방보행 훈련 동안 시각차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4;21(1):20-28. https://doi.org/10.12674/ptk.2014.21.1.020
- 남석현, 강경우, 권중원, 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 시 손잡이 유무 및 위치가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3;25(1):23-28.
- 노정석. 가상현실기반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국내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7;24(1):59-68.
- 박미애. 체중지지 트레드밀에서 전방과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11;22(3):73-86.
- 박석우, 송창호. 수중트레드밀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2):149-165.
- 박성훈, 차용준, 최윤희. 무작위 속도 변화에 의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6;11(4):71-78. https://doi.org/10.13066/kspm.2016.11.4.71
- 박지응, 이준호, 차용준. 기능적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7;12(1):35-42. https://doi.org/10.13066/kspm.2017.12.1.35
- 박진, 김범룡, 김태호. 시각적 피드백과 리듬청각자극을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8;25(2):53-61. https://doi.org/10.12674/ptk.2018.25.2.053
- 방대혁, 이영찬, 봉순녕.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에서 인지적 이중과제훈련이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12;10(1):25-33.
- 서명구, 이주상, 우영근.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훈련이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2013;5(2):50-61.
- 신효섭, 최종덕. 동적 스트레칭을 접목한 경사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경직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4;9(4):447-454. https://doi.org/10.13066/kspm.2014.9.4.447
- 오복균, 남해성. 편마비환자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 중 빠른 템포 음향이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7):4346-4352.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346
- 오영섭, 우영근. 경사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6;23(3):1-10. https://doi.org/10.12674/ptk.2016.23.3.001
- 우영근, 김성신, 우지혜. 트레드밀에서의 리듬 청각 자극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2011;3(1):27-37.
- 윤의섭, 최종덕. 수중 발목 커프 착용 후 수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8;13(1):89-98. https://doi.org/10.13066/kspm.2018.13.1.89
- 이동률.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14(3):363-373.
- 이문수, 이명모.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에 통합한 경피신경 전기자극이 뇌졸중환자의 경직도 균형,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20;15(2):39-48. https://doi.org/10.13066/kspm.2020.15.2.39
- 이병희, 유원종, 정진화.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증강현실 기반 보행 훈련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0;49(3):219-239.
- 이승원, 이형석. 하지 무게부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1):89-111.
- 이연섭, 김진상, 심선미. 넘어짐 예방운동과 병행한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지 2011;7(4):91-99.
-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여부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주기 중에 엉덩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9a;28(3):248-255.
-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노인 환자의 시간적 및 공간적 보행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19b;27(1):83-97.
-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9c;14(1):139-150. https://doi.org/10.13066/kspm.2019.14.1.139
- 이진상, 오덕원.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빠른 속도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2011;1(2):31-39.
- 이형수. 점진적인 속도증진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4;2(1):23-34. https://doi.org/10.15268/ksim.2014.2.1.023
- 전광열, 최원재, 이승원.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점진적 속도 트레드밀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4;53(3):365-383.
- 정연규, 정연재, 김현숙. 장애물 통과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3;20(3):9-18. https://doi.org/10.12674/ptk.2013.20.3.009
- 조완주, 조현철. 8주간의 수중재활운동과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일상생활체력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3;52(2):851-860.
- 지상구, 차현규.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3;14(6):2788-2794.
- 천성규, 정호발, 정신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다양한 되먹임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치료과학회지 2015;7(2):87-96
- 최원재, 이승원, 탁사진, 등. 청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인지 운동 이중 과제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3):483-504.
- 하귀현, 이명모, 송창호. 양측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3;52(1):295-315.
- Balaban B, Tok F. Gait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stroke. PM R 2014;6(7):635-642. https://doi.org/10.1016/j.pmrj.2013.12.017
- Beyaert C, Vasa R, Frykberg GE. Gait post-stroke: Pathophysiology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Neurophysiol Clin. 2015;45(4-5):335-355. https://doi.org/10.1016/j.neucli.2015.09.005
- Broussy S, Rouanet F, Lesaine E, et al. Post-stroke pathway analysis and link with one year sequelae in a French cohort of stroke patients: the PAPASePA protocol study. BMC Health Serv Res 2019;19(1):770. https://doi.org/10.1186/s12913-019-4522-2
- Campo M, Toglia J, Batistick-Aufox H, et al. Standardized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and Falls After Discharge: A Cohort Study. PM R 2020:1-9. https://doi.org/10.1016/j.pmrj.2017.06.008
- Guzik A, Druzbicki M, Wolan-Nieroda A. Assessment of two gait training models: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treadmill exercise,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after stroke. Hippokratia 2018;22(2):51-59.
- Harris JD, Quatman CE, Manring MM, et al. How to write a systematic review. Am J Sports Med 2014;42(11):2761-2768. https://doi.org/10.1177/0363546513497567
- Hesse S, Bertelt C, Schaffrin A, et al. Restoration of gait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by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0):1087-1093. https://doi.org/10.1016/0003-9993(94)90083-3
- Jaqueline da Cunha M, Rech KD, Salazar AP, et a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eroneal nerve improves post-stroke gait speed when combined with physio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ublished on line ahead of print, 2020 May 24]. Ann Phys Rehabil Med 2020;S1877-0657(20)30091-9.
- Kim JY, Kang K, Kang J, et al. Executive Summary of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A Report from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J Stroke 2019;21(1):42-59. https://doi.org/10.5853/jos.2018.03125
- Knight-Greenfield A, Nario JJQ, Gupta A. Causes of Acute Stroke: A Patterned Approach. Radiol Clin North Am 2019;57(6):1093-1108. https://doi.org/10.1016/j.rcl.2019.07.007
- Little VL, Perry LA, Mercado MWV, et al. Gait asymmetry pattern following stroke determines acute response to locomotor task. Gait Posture.2020;77:300-307. https://doi.org/10.1016/j.gaitpost.2020.02.016
- Lura DJ, Venglar MC, van Duijn AJ, et al.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vs. overground gait training for acute stroke gait rehabilitation. Int J Rehabil Res 2019;42(3):270-274. https://doi.org/10.1097/MRR.0000000000000357
- Mizrachi N, Treger I, Melzer I. Effects of mechanical perturbation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pre-post research study. J Clin Neurosci 2020;78:301-306. https://doi.org/10.1016/j.jocn.2020.05.019
- Patterson SL, Rodgers MM, Macko RF, et al.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spatial and temporal gait parameter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 preliminary report. J Rehabil Res Dev 2008;45(2):221-228. https://doi.org/10.1682/JRRD.2007.02.0024
- Selves C, Stoquart G, Lejeune T. Gai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review of the evidence of predictors, clinical outcomes and timing for interventions. Acta Neurol Belg 2020;120(4):783-790. https://doi.org/10.1007/s13760-020-01320-7
- Shim J, Hwang S, Ki K, et al. Effects of EMG-triggered FES during trunk pattern in PNF on balance and gait performance in persons with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20;38(2):141-150. https://doi.org/10.3233/rnn-190944
- Visintin M, Barbeau H, Korner-Bitensky N, et al. A new approach to retrain gait in stroke patients through body weight support and treadmill stimulation. Stroke 1998;29(6):1122-1128. https://doi.org/10.1161/01.STR.29.6.1122
- Wang Y, Mukaino M, Ohtsuka K, et al. Gait characteristics of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with different walking speeds. Int J Rehabil Res 2020;43(1):69-75. https://doi.org/10.1097/MRR.0000000000000391
- Wei WE, De Silva DA, Chang HM, et al. Post-stroke patients with moderate function have the greatest risk of falls: a National Cohort Study. BMC Geriatr 2019;19(1):373. https://doi.org/10.1186/s12877-019-13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