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뇌졸중환자에게 적용된 트레드밀훈련의 효과 및 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and methods of treadmill training applied to stroke patients

  • 김정자 (중앙보훈병원 재활의학과) ;
  • 이종원 (중앙보훈병원 재활의학과)
  • Kim, Jeong Ja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
  • Lee, Jong Won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Veterans Health Service Medical Center)
  • 투고 : 2020.08.02
  • 심사 : 2020.09.08
  • 발행 : 2020.09.30

초록

Background: A physical therapy is required to restore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especially gait function improvement is very important to them. Design: Systemic review.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dmill training method applied to stroke patients. The literature search for a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on domestic data published from 2010 to 2020 at KISS, RISS, and DBpia. Results: 40 papers meeting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were finally selec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intervention method and process,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risk of bias assessment was conducted as quality evaluation. Conclusion: Various training methods have been suggested and proved that treadmill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gait and balance. As the goal of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is to improve walking and balance, we expect continuous clinical research to continue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training program and present a new paradig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관, 최종덕. 트레드밀 훈련 시 복부압박벨트 착용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치료학회지 2016;20(2):1-6.
  2. 김남수, 김하영. 탄력밴드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22(6):1343-1355.
  3. 김성철, 허영구.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31-43. https://doi.org/10.26862/jkpts.2018.06.25.1.31
  4.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등.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NECA 연구방법 시리즈: 2011. p.1-287.
  5. 김신균.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1):220-226.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20
  6. 김유신, 김은정.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하지분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2011;6(3):335-343.
  7. 김지선, 손양호, 황양배,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기능에 대한 수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의 효과.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2011;1(2):63-70.
  8. 김지선, 안진환, 이현희, 등. 만성뇌졸중 환자에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PNF and Movement 2017;15(2):133-140.
  9. 김창숙, 배성수. 뇌졸중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대한 트레드밀과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의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3):435-443.
  10. 김창영, 황병용, 이상호. 시청각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치료학회지 2015;19(2):33-40.
  11. 김태우, 김용욱. 트레드밀 측방보행 훈련 동안 시각차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4;21(1):20-28. https://doi.org/10.12674/ptk.2014.21.1.020
  12. 남석현, 강경우, 권중원, 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 시 손잡이 유무 및 위치가 보행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3;25(1):23-28.
  13. 노정석. 가상현실기반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국내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7;24(1):59-68.
  14. 박미애. 체중지지 트레드밀에서 전방과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11;22(3):73-86.
  15. 박석우, 송창호. 수중트레드밀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2):149-165.
  16. 박성훈, 차용준, 최윤희. 무작위 속도 변화에 의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6;11(4):71-78. https://doi.org/10.13066/kspm.2016.11.4.71
  17. 박지응, 이준호, 차용준. 기능적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조절된 자세에서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7;12(1):35-42. https://doi.org/10.13066/kspm.2017.12.1.35
  18. 박진, 김범룡, 김태호. 시각적 피드백과 리듬청각자극을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8;25(2):53-61. https://doi.org/10.12674/ptk.2018.25.2.053
  19. 방대혁, 이영찬, 봉순녕.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에서 인지적 이중과제훈련이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12;10(1):25-33.
  20. 서명구, 이주상, 우영근.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훈련이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2013;5(2):50-61.
  21. 신효섭, 최종덕. 동적 스트레칭을 접목한 경사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경직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4;9(4):447-454. https://doi.org/10.13066/kspm.2014.9.4.447
  22. 오복균, 남해성. 편마비환자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 중 빠른 템포 음향이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7):4346-4352.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346
  23. 오영섭, 우영근. 경사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6;23(3):1-10. https://doi.org/10.12674/ptk.2016.23.3.001
  24. 우영근, 김성신, 우지혜. 트레드밀에서의 리듬 청각 자극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2011;3(1):27-37.
  25. 윤의섭, 최종덕. 수중 발목 커프 착용 후 수중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8;13(1):89-98. https://doi.org/10.13066/kspm.2018.13.1.89
  26. 이동률.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14(3):363-373.
  27. 이문수, 이명모.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에 통합한 경피신경 전기자극이 뇌졸중환자의 경직도 균형,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20;15(2):39-48. https://doi.org/10.13066/kspm.2020.15.2.39
  28. 이병희, 유원종, 정진화.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증강현실 기반 보행 훈련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0;49(3):219-239.
  29. 이승원, 이형석. 하지 무게부하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1):89-111.
  30. 이연섭, 김진상, 심선미. 넘어짐 예방운동과 병행한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지 2011;7(4):91-99.
  31.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여부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주기 중에 엉덩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9a;28(3):248-255.
  32.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노인 환자의 시간적 및 공간적 보행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19b;27(1):83-97.
  33. 이지은, 이호성. 장애물 넘기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9c;14(1):139-150. https://doi.org/10.13066/kspm.2019.14.1.139
  34. 이진상, 오덕원.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빠른 속도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2011;1(2):31-39.
  35. 이형수. 점진적인 속도증진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4;2(1):23-34. https://doi.org/10.15268/ksim.2014.2.1.023
  36. 전광열, 최원재, 이승원.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점진적 속도 트레드밀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4;53(3):365-383.
  37. 정연규, 정연재, 김현숙. 장애물 통과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3;20(3):9-18. https://doi.org/10.12674/ptk.2013.20.3.009
  38. 조완주, 조현철. 8주간의 수중재활운동과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일상생활체력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3;52(2):851-860.
  39. 지상구, 차현규.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3;14(6):2788-2794.
  40. 천성규, 정호발, 정신호.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다양한 되먹임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치료과학회지 2015;7(2):87-96
  41. 최원재, 이승원, 탁사진, 등. 청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인지 운동 이중 과제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3):483-504.
  42. 하귀현, 이명모, 송창호. 양측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3;52(1):295-315.
  43. Balaban B, Tok F. Gait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stroke. PM R 2014;6(7):635-642. https://doi.org/10.1016/j.pmrj.2013.12.017
  44. Beyaert C, Vasa R, Frykberg GE. Gait post-stroke: Pathophysiology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Neurophysiol Clin. 2015;45(4-5):335-355. https://doi.org/10.1016/j.neucli.2015.09.005
  45. Broussy S, Rouanet F, Lesaine E, et al. Post-stroke pathway analysis and link with one year sequelae in a French cohort of stroke patients: the PAPASePA protocol study. BMC Health Serv Res 2019;19(1):770. https://doi.org/10.1186/s12913-019-4522-2
  46. Campo M, Toglia J, Batistick-Aufox H, et al. Standardized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and Falls After Discharge: A Cohort Study. PM R 2020:1-9. https://doi.org/10.1016/j.pmrj.2017.06.008
  47. Guzik A, Druzbicki M, Wolan-Nieroda A. Assessment of two gait training models: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treadmill exercise,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after stroke. Hippokratia 2018;22(2):51-59.
  48. Harris JD, Quatman CE, Manring MM, et al. How to write a systematic review. Am J Sports Med 2014;42(11):2761-2768. https://doi.org/10.1177/0363546513497567
  49. Hesse S, Bertelt C, Schaffrin A, et al. Restoration of gait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by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0):1087-1093. https://doi.org/10.1016/0003-9993(94)90083-3
  50. Jaqueline da Cunha M, Rech KD, Salazar AP, et a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eroneal nerve improves post-stroke gait speed when combined with physio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ublished on line ahead of print, 2020 May 24]. Ann Phys Rehabil Med 2020;S1877-0657(20)30091-9.
  51. Kim JY, Kang K, Kang J, et al. Executive Summary of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A Report from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J Stroke 2019;21(1):42-59. https://doi.org/10.5853/jos.2018.03125
  52. Knight-Greenfield A, Nario JJQ, Gupta A. Causes of Acute Stroke: A Patterned Approach. Radiol Clin North Am 2019;57(6):1093-1108. https://doi.org/10.1016/j.rcl.2019.07.007
  53. Little VL, Perry LA, Mercado MWV, et al. Gait asymmetry pattern following stroke determines acute response to locomotor task. Gait Posture.2020;77:300-307. https://doi.org/10.1016/j.gaitpost.2020.02.016
  54. Lura DJ, Venglar MC, van Duijn AJ, et al.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vs. overground gait training for acute stroke gait rehabilitation. Int J Rehabil Res 2019;42(3):270-274. https://doi.org/10.1097/MRR.0000000000000357
  55. Mizrachi N, Treger I, Melzer I. Effects of mechanical perturbation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pre-post research study. J Clin Neurosci 2020;78:301-306. https://doi.org/10.1016/j.jocn.2020.05.019
  56. Patterson SL, Rodgers MM, Macko RF, et al.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spatial and temporal gait parameter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 preliminary report. J Rehabil Res Dev 2008;45(2):221-228. https://doi.org/10.1682/JRRD.2007.02.0024
  57. Selves C, Stoquart G, Lejeune T. Gai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review of the evidence of predictors, clinical outcomes and timing for interventions. Acta Neurol Belg 2020;120(4):783-790. https://doi.org/10.1007/s13760-020-01320-7
  58. Shim J, Hwang S, Ki K, et al. Effects of EMG-triggered FES during trunk pattern in PNF on balance and gait performance in persons with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20;38(2):141-150. https://doi.org/10.3233/rnn-190944
  59. Visintin M, Barbeau H, Korner-Bitensky N, et al. A new approach to retrain gait in stroke patients through body weight support and treadmill stimulation. Stroke 1998;29(6):1122-1128. https://doi.org/10.1161/01.STR.29.6.1122
  60. Wang Y, Mukaino M, Ohtsuka K, et al. Gait characteristics of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with different walking speeds. Int J Rehabil Res 2020;43(1):69-75. https://doi.org/10.1097/MRR.0000000000000391
  61. Wei WE, De Silva DA, Chang HM, et al. Post-stroke patients with moderate function have the greatest risk of falls: a National Cohort Study. BMC Geriatr 2019;19(1):373. https://doi.org/10.1186/s12877-019-13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