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Eighteen catholic churches, built in the Chungbuk area(Cheongju dioces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American Maryknoll missioners in 1953-1969, are not constrained by specific architectural styles, unlike those built by other foreign Catholic missionary organizations. The same is true of Naedeok-dong cathedral in Cheongju, which is the highest hierarchy and representative church of the diocese. Nevertheless, it has unique architectural feature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churches in the diocese. This study examined what those features were, how they were embodied, and their origin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features are common in the missioners' churches in Pyeogyang diocese in 1923-1942 and that Father James V. Pardy and the architect Tae-Bong Park, played a bridging role in having the same features between the Pyeogyang and Cheongju diocese. In conclusion, this study summarizes the significance of Naedeok-dong cathedral in relation to the missioners' ideology, in the history of the churches in 1923-1969 and Korea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To this end, a literature search that utilized mainly primary sources, such as newly discovered architectural drawings, photographs, and text related to the cathedral, was performed.
미국 메리놀 외방전교회가 1953년부터 1969년까지 관할한 충북 지역 (청주교구)에 건축한 18개 성당은 다른 카톨릭 외방 전교단체가 건축한 성당과 달리 특정한 건축 양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청주교구의 최고 위계이자 대표 성당인 청주 내덕동 주교좌성당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이 성당은 교구 내 다른 성당과 구별되는 독특한 건축적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 특징은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기원을 추적하여 미국 메리놀 외방전교회본부(1932)에서 건축 모티브를 가져왔음을 고찰한 후, 일제강점기(1923-1942) 메리놀회 관할 평양교구 주요 성당의 건축적 특징이 그 전례가 되었고 여기에서 파디(James V. Pardy) 주교 및 건축 전문가 박태봉(朴泰鳳)이 가교 역할을 했음을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내덕동 주교좌성당이 메리놀회의 해방 전후(1922-1969) 성당 건축사 및 한국 근대 성당 건축사에서 가지는 의의를 정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새로 발굴한 건축도면, 사진, 텍스트 등 1차 사료를 주로 활용하는 문헌 연구방법을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