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Blood Flow Restriction Exercise on the Alacrity and Balanced Capac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for Health-Care Increase

헬스케어증진을 위한 하지혈류제한운동이 20대 여대생의 순발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 Seo, Tae-Hwa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 Kim, Eun-H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 Jeong, Yeon-W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서태화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은호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정연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20.03.19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quat exercise on the vitality and balanced capac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lower blood flow control. This study selected 40 volunteers from normal adult women in their twenties. Blood flow restriction used Blood Flow Restriction bands (BFR bands). The application method was to put on a blood flow restriction belt in the lower leg of the restricted blood flow area and put 120 mmHg of pressure to limit blood flow while the subject was standing comfortab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Maximum concentric power and Take off speed between two groups(p<.05), There was statistically unimportant differences in foot scan between two groups(p>.05). This study found that to find out the changes in balance and alacrit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capabil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in net power.

본 연구는 하지혈류제한벨트를 한 그룹과 하지 않은 그룹의 균형과 순발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광주 지역에 소재한 K대학교 학생 40명을 선정하여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을 무작위 배치하여 2019년 9월 16일부터 10월 11일까지 4주간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스쿼트 운동 시 혈류제한은 BFR band를 착용하였고 편안하게 선 상태에서 120 mmHg 압력을 넣어 하지혈류제한을 하였다. 실험 결과 앞·중간·뒷부위 발바닥 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두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실험군과 대조군 간 상호작용 차이도 없었다(p>.05). Height, Maximum Concentric Power, Take Off Speed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5).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낮은 강도 운동을 통해서도 하지혈류제한을 통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혈류제한운동이 순발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하지혈류제한 운동을 통해 낮은 강도의 운동으로도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2017). 국민체력실태조사.
  2. 박찬교. (1996). 줄넘기운동 프로그램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3. 김수현, 김명훈, 김현진. (2015). 줄넘기와 스쿼트 운동이 순발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125-131.
  4. 광주여자대학교. (2019). 운동강도에 따른 선호도조사.
  5. 서지원. (2014). 저강도 혈류제한 저항성 운동을 통한 체력과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의 변화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서동일, 소위영, 장혁기. (2012). 골격근 발달을 위한 저강도 혈류제한 저항성 운동. 운동학 학술지, 14(3):37-48.
  7. 최재운. (2014). 혈류제한트레이닝과 웨이트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Schoenfeld, B.J. (2010). The mechanisms of muscle hypertrophy and their application to resistance train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4(10):2857-2872.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1e840f3
  9. Yasuda, T., Brechue, W.F., Fujita, T., Shirakawa, J., Sato, Y., Abe, T. (2009). Muscle activation during low-intensity muscle contractions with restricted blood flow. Journal of Sports Sciences, 27(5):479-489. https://doi.org/10.1080/02640410802626567
  10. Fry, C.S., Glynn, E.L., Drummond, M.J., Timmerman, K.L., Fujita, S., Abe, T., Dhanani, S., Volpi, E., Rasmessen, B.B. (2010). Blood flow restriction exercise stimulates mTORC1 signaling and muscle protein synthesis in older me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8(5):1199-1209. https://doi.org/10.1152/japplphysiol.01266.2009
  11. Sato, Y. (2005). The history and future of KAATSU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KAATSU Training Research, 1:1-5. https://doi.org/10.3806/ijktr.1.1
  12. 권해연, 안소윤. (2012). 하지 혈류제한 운동이 근육크기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10(1):61-70.
  13. 이종대. (2012). 동적 스쿼트 형태에 따른 편평족대상자의 하지 및 족부의 생역학적 변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정병균, 김지원, 정병호. (2017). 스쿼트운동장치의 풋플레이트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9):365-372. https://doi.org/10.15207/JKCS.2017.8.9.365
  15. Escamilla, R.F. (2001). Knee biomechanics of the dynamic squat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33(1):127-141. https://doi.org/10.1097/00005768-200101000-00020
  16. 정동식, 임태환, 신명진, 진영수, 이윤, 이대근, 예덕천(1991). 자기공명분석법을 이용한 전박근의 고에너지 대사에 관한 연구: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비교. 대한영상외학회지, 27(6):873-880.
  17. 신성훈, 김규승. (2017). 하지압박에 의한 혈류제한이 정적 자세제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2):1227-1236.
  18. Bugane F., Benedetti M.G., Casadio G., Attala S., Biagi F., Manca M., Leardini A. (2012) Estimation of spatial-temporal gait parameters in level walking based on a single accelerometer: Validation on normal subjects by standard gait analysi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108(1):129-137. https://doi.org/10.1016/j.cmpb.2012.02.003
  19. 오세진. (2018).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의 신체조성, 자세, 정적 평형성 및 발바닥 압력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김호성. (2016).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시 하지 근피로에 의한 동적균형이 발바닥 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734-74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34
  21. 김현중. (2017). 바른체형운동이 여자 중학생의 자세, 발바닥 압력 균형감,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필구, 양병일. (2017). 테라테인먼트적 스쿼트 운동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8):317-325
  23. Myer, G.D., Ford, K.R., Brent, J.L., & Hewett, T.E. (2006). The effects of plyometric vs. dynamic stabilization and balance training on power, balance, and landing force in female athletes.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0(2):345-353.
  24. Gruber, M., & Gollhofer. (2004). A. Impact of sensorimotor training on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activatio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2(1-2):98-105. https://doi.org/10.1007/s00421-004-1080-y
  25. Salles, A.S., Baltzopoulos, V., & Rittweger, J. (2011). Differential effects of countermovement magnitude and volitional effort on vertical jump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1(3):441-448. https://doi.org/10.1007/s00421-010-1665-6
  26. 최공집. (2013).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이 태권도 선수의 관절가동범위와 점프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지, 8(11):1771-1776.
  27. 김수현, 김명훈, 김현진. (2015). 줄넘기와 스쿼트 운동이 순발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2):125-131.
  28. 김규승, 허용, 신성훈. (2016). 슬관절 등속성 운동시 최대토크와 회당 총일량에 대한 혈류제한 운동의 급성효과.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5(4):1259-1265
  29. 최수연. (2014). 12주 스쿼트 트레이닝이 여자복싱선수의 체성분과 최대근력 및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