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entralization of the Korean Film Market : Focusing on the Supply and Consumption of the Top 100 Movies

한국 영화시장의 집중화 현상에 대한 논의 : 흥행영화의 공급과 소비를 중심으로

  • 박승현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
  • 이푸름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ntration in terms of supply and consumption in the Korean movie market, focusing on screen size, nationality, and the box office. For analysis, it selects the top 100 movies in the box office each year for 15 years from 2005 to 2019.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umber of screens increased steadily every year, and the screen concentration became very high. For the top 100 movies, it increased from 12% to 30% of the total screen. It became higher in the case of the top 10 movies. As the number of screens increased, multiplex assigned more screens to one movie. Multiplex's screen allocation continued to increase, with one movie taking up more 60% of the total screen. This became more serious after 2011 and 2012. Market share of the top 100 movies accounted for about 95% of the total box office performance, even though the number of released movies is about 3,000. Whether multiplex preferred Hollywood movies or not, its screen assignment was found to favor Hollywood movies over Korean ones. In the case of film nationality, both Korean and Hollywood movies accounted for 90.7%. Two countries had a market share of 96.6%. There was no single side except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top 10.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reens deepened the concentration in screen allocation. The concentration in the screen allocation led to the concentration of consumption. The Korean film market is the case where the increase of movie screens did not create a diversity of supply and consumption. It also did not affect the diversity of film nationality. This research reveals that supplied concentration and consumed concentra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at the former is a little lower than the latter.

이 연구는 한국 영화시장에서의 집중화 현상을 고찰하기 위해 스크린 규모와 흥행, 그리고 국적을 중심으로 이를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년 동안의 연도별 흥행 100위권 영화로, 총 1,500편이다. 분석결과 스크린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고, 스크린 집중화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흥행 100위 기준 스크린 집중도는 2005년의 12%에서 30% 이상으로 상승했으며, 흥행 10위 기준에서는 2005년 21%에서 큰 상승폭을 보이며 2014년 이후 매년 50% 이상을 차지했다. 개봉 스크린 규모가 증가하면서 멀티플렉스는 흥행유인력이 높은 영화에 보다 많은 스크린을 할당했다. 오랫동안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비판이 있어왔지만 멀티플렉스는 2011년과 2012년 이후 이를 더 심화시키면서 한 편의 영화가 전체 스크린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개봉되는 상황을 발생시키고 있다. 멀티플렉스의 이런 방식은 흥행 100위권 영화의 시장 점유율을 95%까지 상승하게 하고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는 한국영화보다 할리우드 영화에 보다 더 많은 스크린을 할당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흥행성과가 높은 100위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영화 국적은 한국과 미국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18개 국가의 경우 공급 측면에서 9.3%만 차지했다. 영화의 국적별 소비를 살펴보면, 두 국가로의 집중화 현상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공급 차원에서 90.7%를 차지하고 있지만 소비 측면에서 96.6%를 차지했다. 공급에서의 집중화 현상은 소비에서의 집중화 현상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소비 측면에서의 집중화가 공급 측면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 영화시장은 스크린의 증가가 공급과 소비의 집중화를 심화한 사례로 드러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한림대학교의 2019년도 교비연구비 [HRF-201912-012]의 지원을 받음.

References

  1. 박소라(2008). 스크린 수 증가에 따른 영화의 국적 다양성과 소비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1): 5-30.
  2. 좌승희, 이태규(2006). 한국영화산업 구조변화와 영화산업정책 - 수직적 결합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01).
  3. 남지원(2005). 한국영화 산업의 시장구조변화 및 정책방안 연구 - 멀티플렉스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5: 123-151.
  4. 영화진흥위원회(2020). 2019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KOFIC 연구보고서, (2020-05).
  5. 나원정(2018.05.01.). 거침없는 '어벤져스3' 극장 매출 95% 챙겨갔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583845
  6. Moreau, F., & Peltier, S.(2004). Cultural Diversity in the Movie Industry: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2): 123-143.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702_4
  7. 한상옥(2006.10.09). 스크린 독과점 논란 어떻게 해결?. YTN,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130322
  8. 경향신문(2014.09.09.). [사설] '명량' 1700만 돌파와 스크린 독과점의 그늘. 경향신문,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2&aid=0002520186
  9. 손가영(2019.11.22.). "스크린 독과점, 봉준호도 신경 쓰였을 것". 미디어오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6&aid=000009983
  10. 박제현(2008). 영화산업 구조분석 및 경쟁정책적 평가 보고서. 공정거래위원회 보고서.
  11. 문화체육관광부(2019). 한국영화산업 발전계획. 문화체육관광부 보고서.
  12. 김미현(2018). 한국 영화산업의 집중성과 불균형의 맥락들. 문화경제연구, 21(1): 3-20.
  13. 김휴종(2004). 한국 영화산업과 독과점 이슈. 문화경제연구, 7(2): 63-84.
  14. 배장수(2015). 영화의 다양성과 한국영화산업의 현주소. 영산법률논총, 12(1): 125-154.
  15. 김황재(2015). 한국영화 배급시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독과점 배급시장을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8: 143-162.
  16. 남기연(2017). 영화산업의 독과점 실태와 해소 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0(4): 125-146.
  17. 노철환(2016). 한국 영화관시장, 배급/상영문제 진단과 대안. 아시아영화연구, 9(1): 33-72.
  18. 김정호(2015).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151-167.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151
  19. 윤충한, 김홍대(2012). 영화 배급상여의 수직 계열화가 상영영화 선택 및 상영횟수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15(2): 127-149.
  20. 송승은(2016). 한국 영화산업의 수직통합 및 독과점화에 대한 공법적 대응. 홍익법학, 17(4): 119-147. https://doi.org/10.16960/JHLR.17.4.20161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