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rection of Job Policy Development for Korean Golf Professionals

한국 골프전문인력의 일자리 정책 발전방안

  • Cho, Jung-Soon (Korea Ladies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
  • Suh, Ah-Ram (Department of Golf Leisure Management, Hannam University)
  • 조정순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
  • 서아람 (한남대학교 골프레저경영학과)
  • Received : 2020.05.21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dequate datas on number of people who are in golf related field and also further expend that number for golf industry. The main stream of this study is to map out present golf related jobs and how this study can help golf industry in general. To make a greater improvements on golf industry with more job opportunity following ideas were presented. First, improving education on "hand on experiences on the field of golf industry" Better educating potential employees for golf industry for the right positions can enhance overall work environment. To do so, the society and the schools must come to agreement to provide adequate curriculum for people. Second, implementing "a golf club division program." The support from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and Tourism Department, which are govern by Republic of Korea, are aggressively working to expend the golf business and also recruit elite personnel like former tour players to work on the field to better operate the whole system. Third, performing a thorough research on current golf related jobs and numbers and diversity on the field. Fourth, developing a specific and a differentiated golf job fields for better future for people and students who majored in golf industry. So that they cam feel secured and have a sense of dignity. Finally, strengthening the golf industry's competitiveness. The golf related companies have to step up to higher gear. With working in harmony between golf industry and government can assure of brighter future for our next generation.

본 연구는 골프분야의 전문인력 현주소를 파악하여 골프산업에서의 일자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주요내용은 한국의 골프직업 및 전문인력 현주소, 한국 골프전문인력의 직업적 발전 방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전문적, 직업적인 골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들의 발전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대학과 사회가 연계될 수 있는 실용적인 교육과정 개편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골프교육 분야에서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적극적인 도입 및 활용뿐만 아니라 골프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마케팅 능력을 겸비한 다양한 골프전문가 등을 양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골프클럽디비전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도입과 추진을 제안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에서 정부지원 사업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며, 골프클럽디비전 사업 추진을 통해 우수인재 확보, 은퇴선수 효율적 관리, 다양한 연령층의 생활체육 골프 참여 문화 조성 등 운영 체질이 개선될 것이다. 셋째, 골프 취업자 전수조사를 제안하였다. 골프분야 취업자 현황도 체육지도자 범주 속에서 별도의 현황 파악이 필요하며, 이는 고용안정과 함께 제도적인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반드시 골프종사자에 대한 취업 전수조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전문적이고 특화된 골프직업군의 개발과 전개를 제안하였다. 국가 발전의 동력을 위해 골프전공자들의 사회 진출 선택권이 넓어지고 학생선두들이 은퇴 후에도 안정적인 직장을 갖고 골프인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특히, 생활체육분야에서의 골프복지사, 장애인 및 노인 등 대상을 위한 골프여가치료사, 그리고 해양스포츠와 골프관광의 융합상품의 개발도 새로운 일자리 창출 영역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골프산업 경쟁력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기업 차원에서는 가격의 거품을 빼고 낮추며, 품질 및 기술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아울러 홍보 부분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는 다양한 정부지원의 제공과 분위기 조성, 전문 인력의 양성과 기술개발 투자와 함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조정순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 및 보완 하였음.

References

  1.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2015 NCS 학습모듈 개발 사업설명회, 6.
  2. 김진국, 김수현. (2019).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가에 따른 발전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195-206.
  3. 김경태. (2018). NCS유보학과에서 NCS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379-384.
  4. 유정애. (2016). 교육적 가치로서 대한민국 체육 100년. 한국스포츠문화재단, 스포츠문화 진흥 대한민국체육 함께 한 100년! 함께 할 100년, 23-38.
  5. 유정애. (2015).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와 공적 기능. 체육과학연구, 26(2): 329-341. https://doi.org/10.24985/KJSS.2015.26.2.329
  6.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3 체육백서. 체육국.
  7. 조영권, 이용균. (2009).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4): 227-240.
  8. 석명규. (2014). 델파이 기법을 통한 한국대학골프연맹 대회 활성화 방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전현지. (2007). 골프지도자 교육의 반성과 대안 탐구: 인문적 접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정광진. (2010). 한국 골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계화 방안.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강대성. (2013). 프로골프선수의 직업사회화 과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은희범. (2013). 고등학교 골프선수의 학교적응 현황과 개선에 관한 심층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서아람. (2011).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골프학과의 발전과 실천전략. 한국체육정책학회지, 9(2): 91-108.
  14. 서아람. (2015). 인생의 여정처럼 그린 18홀의 9홀을 지날 즈음에(사례 1). 여성신문, 제1회 미래를 여는 여성체육 포럼, 47-67.
  15. 서아람. (2018). 여성 골프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6(3): 1-23.
  16. 차광석. (2016). 추진배경 및 경과보고. 한국체육학회 특별프로젝트, 체육분야 국가자격증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토론회, 9-13.
  17. 서아람. (2015). 인생의 여정처럼 그린 18홀의 9홀을 지날 즈음에(사례 1). 여성신문, 제1회 미래를 여는 여성체육 포럼, 47-67.
  18. 서아람. (2018). 여성 골프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6(3): 1-23.
  19. 문화체육관광부. (2018). 2017 스포츠 산업 백서.
  20. 허윤화. (2009). 한국과 외국의 골프학과 교육과정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은양. (2015). 한국 글로벌 골프인재의 양성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22.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3. 이정학. (2014). 한국의 골프산업의 육성을 위한 솔루션, 경쟁력 있는 국내 골프용품 및 브랜드 개발이 필요한 시점. 스포슈머 리포트, 3.
  24. 닐슨코리아. 골프, 한국인의 인기스포츠. www.moazine.com/article/detail.asp?articleid=1160671/2019.09.05.
  25. 문화체육관광부. (2018). 2017 스포츠산업백서.
  26.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7. 문화체육관광부. (2018). 전국등록.신고 체육시설업 현황.
  28. 대한체육회. 2019년 선수 및 지도자 종별 현황. http://www.sports.or.kr/index.do/2020.02.04.
  29.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7 체육백서.
  3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2018). 2017년 체육계열 고등학교 및 대학(원).
  31.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지도자연수원. (2018). 종목별 체육지도자 양성현황.
  32. 대한체육회. (2018). 종목별 체육동호인 클럽 및 회원 수.
  33. 한국통계진흥원. (2014). 골프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34. 김두년. (2005). 주니어 골프선수교육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영근, 안용태. (2011). 골프아카데미(학교) 설립운영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36. 이서재. (2014). 한국과 미국의 골프 교육시스템 비교 분석.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허윤화. (2009). 한국과 외국의 골프학과 교육과정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백병주. (2007). 한국 대학의 골프학과 및 골프 선수들의 문제점과 육성방안. 한국골프협회 2007학술세미나, 17-20.
  39. 조창기. (2007). 한국 골프산업 조세정책 방향. 한국골프학회 2007 한국골프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5-37.
  40. 서울특별시교육청. (2016). 2016학년도 학교체육 업무 매뉴얼. 체육건강과.
  41. 오정훈. (2015). 체육진로교육의 발전방향(논단). 한국학교체육, 14: 8-9.
  42. 박주한. (2011). 체육계열 전공자의 진로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9(2): 189-206.
  43. 박영민. (2000). 골프 선수 육성방안. 한국골프관련단체협의회, 새천년 한국 골프의 발전방향, 53-62.
  44. 김명길. (2000). 국토개발의 효율화와 환경 친화적 골프장 건설방안. 한국골프관련단체협의회, 새천년 한국 골프의 발전방향, 31-50.
  45. 임병무. (2007). 중.고 골프 선수 육성 전망. 한국골프학회 2007학술대회. 3-13.
  46. 한국통계진흥원. (2014). 골프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47. 김봉현. (2013). 은퇴 체육인 지원 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김신애. (2009). 국가대표선수 은퇴 후 진로강화를 위한 지원체계의 현황 및 발전방향.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19: 12.
  49. 문화체육관광부. (2020). 문화로 행복한 국민 신한류로 이끄는 문화경제. 2020년 업무계획.
  50.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51. 대한체육회. (2019). 스포츠시스템 혁신 방안. 대한체육회 체육시스템 혁신위원회.
  52. 국민체육진흥공단. 2020년 국민체육진흥공단의 대국민 10가지 약속. https://www.kspo.or.kr/kspo/main/contents.do?menuNo=200130/2020.04.30.
  53. 윤대기. (2011). 미국의 스포츠인재 양성을 위한 경력개발. 체육인재육성재단, 25-33.
  54. 서아람. (2018). 여성 골프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6(3):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