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Study of Region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Using Peacock Fan Intangible Cultural Asset

충남 무형문화재 공작부채를 활용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Received : 2020.06.24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gional dance contents in order to receive attention from the region and re-illuminate the peacock fa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Seocheon, Chungnam, which has been preserved in history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face of rapid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representative four series are composed of one-person dance, two-person dance, military dance, and creative dance. The titles of each piece are basic dance , male and female love dance , military dance , and finally Korean creative dance . The commonality of the four series is the traditional dance using peacock fan, and each dance showed unique emotion and atmosphere through different themes and music, costumes, and stage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regional dance contents re-crea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steadily revitalized through moderniz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our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have unlimited potential to contribute to enhancing region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along with the growth potential of regional differentiation. Through such research, i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are preserved for globalization and produced as content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lic, various contents besides regional dance using regional unique culture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문화 원형을 보존한 콘텐츠 제작으로 가장 한국적인 이미지를 재고하고자 지역 문화가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류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찾음으로써 지역을 대표하는 춤과 음악, 미술, 대중문화, 축제, 역사기록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원천으로 하였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창의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그 지역의 대표브랜드이자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세계화 시대에 지역 문화자원의 원초적 근원을 찾고, 그에 대한 흔적을 보전하고자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춤 움직임을 통해 서천공작부채춤 모형을 콘텐츠 개발하였다. 현시대 보존가치가 있는 충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이광구 장인의 작품 서천공작부채는 둥근 모양 부채로 손으로 쥘 자루와 공작새 머리의 모양을 하고 있는 공예작품이다. 무형문화재인 공작부채 공예작품을 소재로 활용 제작된 다양한 예술 장르 개발이 문화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재들이 잘 엮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토리텔링 또한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 속에서 내려져 오면서 원형을 보존해온 충남 서천지역의 무형문화재 공작부채가 급속한 도시화와 현대화의 변화에도 지역의 관심을 받고 재조명되기 위해 개발된 지역춤 콘텐츠로 총 4개 연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4개 연작의 형식은 독무, 2인(人)무, 군무, 창작으로 이루어지며 각 작품의 제목은 기본 형태의 춤 <서천공작부채춤>, 남·녀 사랑의 춤 <월·하·정·인>, 군무 형태의 춤 <바람의 멋>, 마지막으로 한국 창작 춤 <휘영>이다. 4개 연작의 공통점은 공작부채를 활용한 전통춤으로 각각의 춤은 형식이 다른 주제와 음악, 의상 및 무대 등을 통해 고유한 정서와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다른 지역적과 차별화된 지역춤 콘텐츠 개발을 통해 콘텐츠로서 국제교류와 미니어처, 캐릭터 제작을 통해 문화상품으로서의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역경제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현장뿐 아닌 국제교류를 통한 세계화 작업을 통해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하여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재창조된 지역 춤 콘텐츠 개발이 앞으로도 현대화 작업으로 꾸준히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지역적 차별화라는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화 작업을 위해 현존하는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이를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한다면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투고하였음.

References

  1. 서애영(2015).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중 문화예술교류의 발전적 방안연구: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의한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심승구(2005). 한국 술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문화콘텐츠학회 학술 심포지엄 발표자료.
  3. 최희용, 정문기, 이규명(2016). 지역 내 문화 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경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5(1): 109-139.
  4. 이정연(2008). 현대무용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성향 연구: Merce Cunningham.Amagatsu Ushio.Lin Hwai Min.Ohad Naharin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지연(2014).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현대춤의 가능성과 발전방안 탐색.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지원(2008). 지역성과 관련한 한국춤의 언어문화학적 연구법 고찰: 대구지역 권명화살풀이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17: 107-134.
  7. 도지형(2008). 문화콘텐츠화 방안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Owen, B. M., & Wildman, Stwven. S.(1992). Video Econom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 김휴종(1999). 문화산업은 지식기반경제의 바탕이 되는 창조적 기획이다. 다움문화예술기획연구회.
  10. Rohlfs, J.(1974). A Theory of Interdependent Demand for a Communications Service.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cience. 5(1): 16-37. https://doi.org/10.2307/3003090
  11. 마단(2017). 망외부성과 교체비용효과분석.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홍은희(2009). OSMU 활성화에 따른 스포츠 문화콘텐츠 양상 분석.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화관광부(2004). 2004 문화산업백서. 문화관광부.
  14. 이소영(2011). 부르디외의 문화이론과 재생산으로서의 교육에 대한 철학적 고찰. 교육철학연구, 33(1): 129-159. https://doi.org/10.15754/JKPE.2011.33.1.006006
  15.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6. Throsby, D.(2004). Economics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성제환 옮김, 문화경제학, 한울아카데미, 2004).
  17. 송원찬, 신병철, 안창현, 이건웅(2010). 문화콘텐츠 그 경쾌한 상상력. 북코리아.
  1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20). https://www.arte.or.kr/2020.06.11.
  19. 김민주(2005). 마케팅어드벤처. 미래의 창.
  20. 원혜림(2010). 공연예술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현대무용의 문화상품화 개발전략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송이(2008). 문화 컨텐츠로서의 한국무용 발전방안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유리(2019). 지역설화를 활용한 한국 춤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진주검무.밀양검무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미라(2017). 사명당이야기의 지역적 변이양상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기수(2007). <삼국유사>설화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환 전략. 한국언어문화, 34: 342-345.
  25. 김가빈(2020). 문화정책에서 굿의 위치와 춤의 기능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Caillois, R.(1939). Les jeux et les hommes. Barash. Play and Games, Paris: Gallimard.
  27. 최순화, 이민훈(2010). I LOVE 브랜드. 삼성경제연구소.
  28. 이소영, 이정훈(2010). 지역 브랜드 매뉴얼. 한국지역진흥재단.
  29. 임영숙(2013). 지역브랜드공연의 도시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미소2에 대한 시민 인식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강우연(2007). 한국무용공연의 대중브랜드화를 위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Kevin, L. K.(2007). Strategic brand management, 2007. (이상민, 김준석, 최윤희 옮김, 브랜드 매니지먼트, 비즈니스북스, 2007).
  32. 김현정(2015). 지역문화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한 방안: 춤을 통해 지역문화 읽기. 충청문화연구. 15: 5-21.
  33. 최윤영(2014). <무용> 경계를 뛰어넘는 두 춤 작품. 공연과 리뷰, (4): 176-181.
  34. 서윤석(1984). 중요무형문화재 보존 20년. 문화재. 17: 364-386.
  35. 신운희(2013).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춤을 통한 문화원형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서울벤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임장혁(2008). 아시아 각국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비교민속학, (37): 461-506.
  37. 송정은(1996). 한.일 부채의 비교분석을 통한 무용예술의 형태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금복현(1998). 전통부채. 대원사.
  39. 김리나(2004). 세계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문화재청.
  40. 장경희(2011). 서천부채장.홍성대댕이장. 충청남도,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민속원.
  41. 김부식(1996).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42. 박영미(2012). 공작선 하나에 울림이...'장인정신이란 이런 것': 충남무형문화재 제21호 서천부채장 이광구 장인.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 g.aspx?CNTN_CD=A0001785306/2012.10.03.
  43. 유광수, 김연호(2003).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MJ 미디어.
  44. Wendt. A.(1987).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nternational Organization, 41(3): 335-370. https://doi.org/10.1017/S002081830002751X
  45. 이현진(2017).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연지후(2017).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미니어처 월드 제작 방법 연구. 동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지훈(2017). 공연 컨텐츠, 공연장 내부시설, 배우 캐스팅이 공연관람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공연장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7): 397-406.
  48. 황낙건(2018). 공연 마케팅 믹스 7P 요인이 소극장 뮤지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