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n Ex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정인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 김성규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nfluence of sensory weight on the physical fitness participants affects ex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of the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participants'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c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various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careers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Third, the thrill and adventure of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easure, immersion, and confide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pursuing experience on the self-realiz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boredo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mmers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thrill, adventure, and pursuit of experience among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rmonious passion of exercise passion, but negative effect on the sense of boredom. Finally, it was found that exercis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과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생활체육 참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험스포츠를 생활체육으로 참가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라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경력에 따라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각추구성향의 스릴과 모험은 심리적 행복감의 자아실현감에 경험추구는 심리적 행복감의 쾌락적 즐거움, 몰입,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권태 민감은 심리적 행복감의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각추구성향 중 스릴과 모험, 경험추구는 운동열정의 조화열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권태 민감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열정은 심리적 행복감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태준. (2004). 생활체육참가자의 여가욕구와 운동중독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3(5): 141-150.
  2. 이상덕, 최천진. (2003). 성인여성들의 생활체육 참여 동기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 671-684.
  3. 문화체육관광부. (2020). 2019년 국민생활체육참여 실태조사 보고서.
  4. 방선희. (2012). 생활체육 참가자의 참여동기, 여가태도, 관여도, 생활만족의 관계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영태, 유정인. (2010). 여성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연령에 따른 감각추구성향과 운동만족의 차이 및 그 관계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2): 163-174.
  6. 유진, 강필중. (2003).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49-264.
  7. 정유진, 이은영. (1999). 감각추구성향이 의복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의복관여의 역할. 한국의류학회지, 23(4): 609-620.
  8. Zuckerman, M. (1979). Sensational Seeking,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9. 정용각. (2006). 해양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각성 추구 성향, 정서, 그리고 스포츠 몰입행동과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383-395.
  10. 박동규. (2008). 익스트림 스포츠 참여와 감각추구성향, 운동몰입 그리고 스포츠 사회화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2: 1227-1239.
  11. 정주혁, 유정인. (2019). 생활체육 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사회적 지지와 운동 강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6): 307-317.
  12. Zuckerman, M. (1994). Beh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13. Cronin, C. (1991). Sensation seeking among mountain climb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2(6): 653-654. https://doi.org/10.1016/0191-8869(91)90264-C
  14. 네이버 국어사전. (2014). https://ko.dict.naver.com.
  15. Vallerand, R. J., Blanchard, C. M.,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F.,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https://doi.org/10.1037/0022-3514.85.4.756
  16. 정꽃님. (2012). 스포츠 열정 모형검증 : 동기와 정서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김범수, 권동호. (2011). 생활체육 참여자의 열정, 건강신념, 운동지속의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883-893.
  18. Vallerand, R. J., Blanchard, C. M.,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F.,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https://doi.org/10.1037/0022-3514.85.4.756
  19. 이인환. (2008).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기술, 여가인지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꽃님, 유진. (2012). 이원론적 스포츠 열정모형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1(4): 137-147.
  21. Vallerand, R. J., Salvy, S. J., Mageau, G. A., Elliot, A. J., Denis, P. L., Grouzet, F. M. E., et al. (2007). On the role of passion in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75(3): 505-533.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7.00447.x
  22. 김덕진, 양명환. (2011). 해양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열정, 주관적 웰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해양스포츠연구, 1(2): 27-41.
  23. Rousseau, F. L., & Vallerand, R. J. (2008).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er adul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6: 195-211. https://doi.org/10.2190/AG.66.3.b
  24. 양명환. (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지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9(2): 113-123.
  25. 이윤주. (2002).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른 자긍심,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준희, 이무연. (2009). 레저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스포츠 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101-112.
  27. Diener, E., Wolsic, B., & Fujita, F.(1992).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23-35.
  28. 김남용. (2008).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스포츠몰입, 운동중독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강릉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박유진. (2002).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노형진. (2005). SPSS 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형설출판사.
  31. 양병화. (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 마케팅, 사회 및 행동과학을 위한 SPSS for Windows 100% 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2. 오수학, 김병준. (2002). 심리측정도구의 타당도에 관한 새로운 개념과 검증방법.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3): 111-126.
  33. Zuckerman, M, Kolin, E. A, Price, L, & Zoob(1964). Development of a sensation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8, 477-482. https://doi.org/10.1037/h0040995
  34. 유진, 강필중. (2003).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49-264.
  35. 이동현, 이지항. (2015). 수상레저스포츠 참여유형과 감각추구성향 및 스포츠사회화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0: 399-410.
  36. 노형진. (2004).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서울
  37. 김계수. (2009). 잠재성장 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서울
  38. 유진, 정꽃님. (2008). 무용 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1): 163-176.
  39.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 Person. Soc. Psychol. 57,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40. 양명환. (1998). 볼링중독 성향과 심리적 행복감. 한국체육 학회지, 37(4): 217-222.
  41. 김석일. (2009). 생활체육 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4): 61-76.
  42. 박진성, 문한식. (2019). 여성피트니스 참여자의 운동열정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7): 347-360.
  43. 김영재, 차윤석. (2009). 여가스포츠 참여 대학생들의 몰입정도에 따른 심리적 웰빙.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 965-974.
  44. 한건수. (2014).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민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2): 7051-7059. https://doi.org/10.5762/KAIS.2014.15.12.7051
  45. 황옥철, 박중길. (2012). 청소년 운동선수의 열정과 지각된 코치-선수 관계가 공격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5): 279-292.
  46. 김범수, 권동호. (2011). 생활체육 참여자의 열정, 건강신념 및 운동지속의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883-893.
  47. 이영기. (2012). 여가운동 참여자의 열정과 활력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7(3): 53-63.
  48. 김윤래. (2018).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89-98.
  49. 김성규, 유정인, 김민준. (2013). 생활체육 참가자의 생활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3: 481-492.
  50. 임현묵, 허진영. (2009). 생활체육 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과 운동정서, 행동활성화/억제 및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 1001-1012.
  51. 김분도. (2004). 수영과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각성 추구와 정서가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윤상문, 김성문, 손원일. (2011). 동력수상레저기구 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과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만족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6: 557-566.
  53. 허진영, 송기현. (2011).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각성추구성향과 운동중독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2): 127-137.
  54. 박경실, 정윤철. (2016). 청소년들의 스포츠참여에 따른 운동열정과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3(6): 333-353.
  55. 김덕진. (2013).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만족과 운동열정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4): 111-125.
  56. Kelly, J. R. (1983) Leisure Styles: A hidden Core. Leisure Science. 5, 321-327. https://doi.org/10.1080/0149040830951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