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전라남도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취업을 경험한 대상자의 취업 횟수와 취업을 경험하지 못한 대상자의 실업 기간에 따른 지원 효과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수당 사용방법, 도움 분야, 하루 평균 투자시간, 월평균 지출 비용, 구직활동의 어려운 점,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청년 구직활동의 차이를 파악하여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2월 19일부터 3월 9일까지 전라남도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에 참여한 대상자 60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횟수에 따른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 횟수에 따른 효과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업기간에 따른 만족도는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업기간에 따른 효과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시대에 사물인터넷 환경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에듀테크 산업과 기술이 함께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the support between the number of employmen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employment and the unemployment period of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employmen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Jeollanam-do Youth Job Search Allowance Support Projec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ways to develop th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by figure out how to use the allowance, the field of help, the average investment time per day,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the difficulties of job search activ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youth job search activities for the required programs. In this study, 60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Jeollanam-do Youth Job Search Allowance Support Project from February 19 to March 9, 2020 a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jobs employed.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ployment.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unemploymen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period of unemploymen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job search allowance support project, the Edutech industry and technology that can share various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in the untact era must be improved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