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for Life 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119 구급대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

  • 강다연 (광주광역시 광산소방서) ;
  • 이효철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고대식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find measures to alleviate the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for life 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2019, to October 31, 2019. The subject was 205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119 safety 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using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As a result oh the study,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of seeking social support type and job stress;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of seeking positive thinking type and job stress. but, resilience was revealed that resilience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type and job stress,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type and job stress. The measures to reduce the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roblem-solving stress coping typ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need to reduce job stress through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Second, avoidance stress coping typ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hould take part in education programs that can reduce job stress in parallel with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이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0월 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4주간이었고,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119구급대원 20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 for Window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형별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사회적지지, 긍정적 사고 대처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문제해결 대처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극복력은 완전매개하였고, 회피 대처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19구급대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대처유형은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하며, 회피 대처유형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유진, 김병우. (2016). 119로 내원한 노인교통 사고 환자의 손상과 손상중증도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0(3): 7-19. https://doi.org/10.14408/KJEMS.2016.20.3.007
  2. 송유신. (2016).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정호, 신동민. (2018). 119 구급대 교통사고 현황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2(1): 35-47.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1.035
  4. 소방청. (2018). 구급서비스 통계연보.
  5. 박호진, 윤석한, 조영채. (2018).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119 구급대원의 폭력경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267-277. https://doi.org/10.5762/KAIS.2018.19.3.267
  6. 추성주, 박옥임, 강희순. (2011). 119 구급대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2): 153-162. https://doi.org/10.5807/KJOHN.2011.20.2.153
  7. 홍상욱, 최현숙, 한영자. (2009). 대학병원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대처방법,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 193.
  8. 김은, 박희서. (2010). 조직내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성력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7(1): 1-28.
  9. 윤숙희, 배정이, 이소우, 안경애, 김세은. (2006).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및 흡연 형태. 보건과 사회과학, 19: 31-35.
  10.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졍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쑥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11. 박대성, 박상섭. (2008). 직무스트레스가 피로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소방 일부 119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12(3): 71-86.
  12. 홍희정, 성미혜. (2012). 응급의료종사자의 소진 영향요인:(부산, 경남지역 119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2): 164-173. https://doi.org/10.5807/KJOHN.2012.21.2.164
  13. 홍선우, 엄동춘, 전명희. (2010).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9(2): 223-235.
  14. 최성수, 김경완. (2016). 일부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7(4): 433-439.
  15. 주종만(2011).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Lazarus, R..S., & Lazarus-Folkman, S. (1985).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7. 방요순, 김희영. (2014).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습 동기와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8(1): 73-80.
  18. Fraser, M..W., Richman, J.M., & Glinsky, M.J. (1999). Risk, protection and resilience: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research, 23(3): 131-140. https://doi.org/10.1093/swr/23.3.131
  19. Polk, L.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 Nurs Sci, 19(3): 1-13. https://doi.org/10.1097/00012272-199703000-00002
  20. Rees, C.S., Breen, L.J., Cusack, L., & Hegney, D. (2015). Understanding individual resilience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workforce resilience model. Frontiers in Psychology, 6: 1-7. https://doi.org/10.3389/fpsyg.2015.00001
  21. 장수현, 이미영. (2015).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9(2): 255-265.
  22. 오태한, 김덕중. (2019). 대학체육 시간강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열의의 관계 : 극복력의 매개 효과검증. 한국체육과학회지, 28(5): 253-263.
  23. 심순희, 김정혜. (2019).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학회지, 19(1): 47-54.
  24. 이은정, 성미혜, 안혜경, 김윤아. (2019).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극복력,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5(1): 86-98. https://doi.org/10.4069/kjwhn.2019.25.1.86
  25. 박미숙, 안혜경. (2019) 요양병원 간호사의스트레스 대처유형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1(1): 513-529.
  26. 강경아, 박성희. (2018).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6): 549-558. https://doi.org/10.5762/KAIS.2018.19.6.549
  27. 김지옥, 위휘. (2018). 지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감정노동, 극복력과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51-62
  28. 윤석한, 박호진, 조영채. (2018).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그의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549-55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549
  29. 윤유진, 홍선우. (2018).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2(3): 131-148.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3.131
  30. 박미미, 박지원. (2016).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23(1): 32-41.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32
  31. Baron, R.M., & Kenny, D.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2. Baumstarck, K., Alessandrini, M., Hamidou, Z., Auquier, P., Leroy, T., & Boyer, L.(2017). Assessment of coping: A new french four-factor structure of the brief COPE inventor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5(8): 2-9 https://doi.org/10.1186/s12955-016-0574-8
  33. 김태우, 김규상, 안연순. (2010).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2(4): 378-387.
  34. Ploeg, E., & Kleber, R.J.(2003). Acute and chronic job stressors among ambulance personnel: predictors of health symptom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 40-46.
  35. Alexander, D.A., & Klein, S.(2001). Ambulance personnel and critical incidents: Impact of accident and emergency work on mental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Br J Psychiatry, 178(1): 76-81. https://doi.org/10.1192/bjp.178.1.76
  36. 최기봉, 김광환, 조영채. (2009). 일부 소방공무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피로수준과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4): 707-716. https://doi.org/10.5762/KAIS.2009.10.4.707
  37. 김영임, 근효근, 조홍자. (2016). 의료기관 가정 전문간호사의 개인대처자원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3(2): 195-205. https://doi.org/10.22705/JKASHCN.2016.23.2.195
  38. 하도경, 성미혜. (2018).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인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4): 215-223. https://doi.org/10.5807/KJOHN.2018.27.4.215
  39. Mealer, M., Jones, J., Moss, M.A.(2012). qualitative study o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nited States ICU nurses. Intensive Care Medicine, 38(9): 1445-51. https://doi.org/10.1007/s00134-012-2600-6
  40. Hsieh, H.F., Hung, Y.T., Wang, H.H., Ma, S.C., & Chang, S.C.(2016). Factor of resil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have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8(1): 23-30. https://doi.org/10.1111/jnu.12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