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alue of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e Future Wellness Life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

  • Park, Hyoung-Kil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Received : 2020.03.20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contribute to the future wellness life. For this study, the record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nalyzed in nin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of Seoul * University in 2019 during the first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est in health increased through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tudents set their life expectancy and confirmed diseases that are obstacles to living happily. And they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health. Second, students' interest in health increased and they performed behaviors for health. Students reflected on their current life, reflected on bad lifestyles,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regular exercise and desirable eating for health. Third,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life by performing life movement and healthy life. Students performed regular exercises for health, improved eating habits, and practiced healthy lifestyles. By practicing these actions, these students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wellness life. In the end, student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healthy and happy life through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needs to be more activated in order to pursue wellness life for future health and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웰니스 삶에 기여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19년 서울 **대학의 교양체육수업에 1학기 동안 참여한 9명에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참여 기록물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기대수명을 설정했고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장애가 되는 질병을 파악했다. 그리고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건강을 위한 행동을 수행했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생활을 성찰했으며,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반성했다. 그리고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과 바람직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셋째, 학생들은 생활운동과 건전한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했다. 학생들은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했고, 식생활을 개선하였으며, 건전한 생활습관을 실천했다. 이러한 학생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실천함으로써,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결국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므로 미래의 건강과 행복 추구에 기여하는 교양체육수업은 웰니스 삶을 위해서 더욱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형길. (2016).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직장인의 체육활동 참여 결정요인 분석. 한국체육정책학회지, 37, 81-92.
  2. Carnethon, M. R., Gulati, M., & Greenland, P. (2005). Prevale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 correlates of low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adolescents and adults. Jama, 294(23), 2981-2988. https://doi.org/10.1001/jama.294.23.2981
  3. 양은석, 박형길. (2019).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교양체육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참여경험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6, 9-22.
  4. 차광석. (2017). 웰니스의 학술적 연구 동향: 한국웰니스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2(3), 623-633.
  5. 강명수. (2019). 웰니스를 위한 운동역학적 움직임 이해-건강을 위한 운동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379-389.
  6. 전병덕, 오주훈, 김윤태. (2013). 대학생들의 웰니스 자기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4), 243-251.
  7. 김경현. (2019).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1), 99-109.
  8. 이삼식, 최효진. (2019). 노인의 이동성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101-110.
  9. 김재우. (2018). 교양체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분석 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191-201.
  10. 김명수, 선겸주, 김성희. (2013). 교양체육 수업 형태에 따른 대학생들의 체력, 신체조성 및 정신건강.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3), 113-122.
  11. 김판규, 양종훈. (2008).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7(3), 461-469.
  12. 남광우, 최영준, 강형숙. (2016). 대학생의 교양 체육 수업만족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행복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943-955.
  13. 양재영, 천항욱, 문황운. (2016). 대학교양체육이 학생들의 생활체육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4(4), 371-376.
  14. 이학권. (2017). 대학생들의 신체활동과 물리적 환경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395-404.
  15. 김영천, 정상원. (2015).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교육문화연구, 21(6), 253-285.
  16. Guba, E. G., & Lincoln, Y. S.(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7. 전경우, 황지현. (2019). 대학교 교양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성취목표성향, 스포츠 자신감 및 스포츠 몰입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1), 821-834.
  18. Mondello, M., Dleming, D., & Focht, B. (2000).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on and operational precudures of an elect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at a research one university. Physical Educator, 57(2), 77.
  19. Chen, X., Zheng, Y., Zheng, W., Gu, K., Chen, Z., Lu, W., & Shu, X. O. (2009).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0(7), 854-862. https://doi.org/10.1093/aje/kwp209
  20. Guidon, M., & McGee, H. (2010). Exercise-based interventio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ntermittent claudication: a 20-year (1989-2008)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 Rehabilitation, 17(2), 140-154. https://doi.org/10.1097/HJR.0b013e3283377f08
  21. Oreopoulos, A., Padwal, R., McAlister, F. A., Ezekowitz, J., Sharma, A. M., Kalantar-Zadeh, K., ... & Norris, C. M. (2010).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4(9), 1434-1441. https://doi.org/10.1038/ijo.2010.73
  22. 박형길, 김한범. (2018). 대학 학생선수들의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45, 17-32.
  23. 윤형기. (2015).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직무만족 및 전반적 well-being 간의 순환적 인과모형.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1315-1328.
  24. Mulcahy, D. G. (2012). Physical education, liberal education and the Leaving Certificate Examination. Irish Educational Studies, 31(3), 251-262. https://doi.org/10.1080/03323315.2012.71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