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on Major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학업소진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03.17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burnout and major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215 students who were in 3rd and 4th year of the nursing college in G city, from May to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25.0 program.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in nursing scored 3.71±.56 points for academic resilience, 2.96±.52 for academic burnout, 3.78±.54 for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cademic Resilience, the lower the academic burnou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ajor satisfaction. The factors affectio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burnout and major satisfaction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mission motive which resulted in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44.3%. In conclusion, to enhance major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effici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s required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equired the students' talent and aptitude. So it makes sure that this will require an advanced method of studying to students' capabiliti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학업소진,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학업소진, 학업탄력성, 전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은 학업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76, p=.000). 학업소진은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509, p=.000). 학업탄력성은 전공만족도(r=.567,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탄력성(β = .418, P=.000), 학업소진(β = -.331, P=.000), 대인관계가 나쁜 학생(β = .175, P=.001), 대인관계가 좋은 학생(β = .132, P=.012), 26-30세의 학생(β = .351, P=.017)순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4.3%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업소진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식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발전적인 학습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조선간호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양승경, 정미라.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6(11): 613-629.
  2.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 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학회지, 1(1): 7-20.
  3. 문미영, 황선영. (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6(8): 403-418.
  4. 박현정, 오재우.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16(12): 417-426.
  5. 고정은, 김미희, 김은진,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2011).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일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45: 29-44.
  6. 이미련, 남문희. (2014).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관련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지, 12(6): 364-374.
  7. 서요한. (2018).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내 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5(4): 1156-1174. https://doi.org/10.12925/jkocs.2018.35.4.1156
  8. 김은영, 김연수, 이수빈, 김예주, 이지수, 신계영. (2018). 간호대학생과 타전공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전공만족도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학술대회, 63.
  9. Zhang, Y., Gan, Y., & Cham, H. (2007).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6): 1529-1540. https://doi.org/10.1016/j.paid.2007.04.010
  10. Dyrbye, L.N., Thomas, M.R., Massie, F.S., Power, D.V., Eacker, A., Harper, W., Durning, S., Moutier, C., Szydlo, D.W., Novotny, P.J., Sloan, J.A., & Shanafelt, T.D. (2008). Burnout and suicidal ideation among U.S. medical stud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9(5): 334-341, https://doi.org/10.7326/0003-4819-149-5-200809020-00008
  11. 고홍월. (2012).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지, 13(10): 125-147.
  12. Schaufeli, W.B., Martinez, I.M., Pinto, A.M., Salanova, M., & Bakker, A.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5): 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13. 정은선. (2013). 조절초점,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4(11): 5455-5464.
  14. 김누리. (2009). 학업탄력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배영주, 박상연. (2014).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설명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3): 1615-1622.
  16. 노기옥. (2017).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탄력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간호교육학회지, 23(2): 205-213.
  17. 이영만. (2014).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지, 10(4): 79-101.
  18. 정명순. (2014).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구조 모형.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홍윤경. (2016).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및 소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남문희, 김혜옥. (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14(1): 263-273.
  21. 임선영, 김소영, 최혜미. (2015).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전문직관과의 관계. 국제문화기술진흥원지, 1(2): 45-51.
  22. 손봉희, 김영미, 전인경. (2011). 간호대학생의 직업존중감, 직업관, 전공만족도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3): 240-249.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240
  23. 박선화, 한승희.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517-52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517
  24. 오현경, 김성회. (2012). 청소년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 심리학회지, 9(1): 47-63.
  25. 박진영. (2010). 성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지, 16(4): 1-29.
  26. 김지연. (2009). 피학대아동의 학업적 탄력성이 비행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지, 30: 71-96.
  27. 유지혜, 채수진. (2016). 일개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1): 88-95.
  28. 천경희. (2014).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소진 양상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의학교육논단지, 16(2): 77-88.
  29. Charkhabi, M., Abarghuei, M.A., & Hayati, D. (2013). The association of academic burnout with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 among Iranian students. Study 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16(11): 677-681.
  30. 권려화. (2012).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교연. (2017). 대학생의 학업탄력성이 학업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전공별, 학년별 차이.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영만. (2014).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지, 10(4): 79-101.
  33. 권려화, 김성재. (2018).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 및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간호학의 지평, 15(2): 107-114.
  34. 임근옥, 최연택. (2013).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지, 8(5): 785-790.
  35.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 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36. 박진영. (2012).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 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지, 14(3): 47-75.
  37. 이명훈. (2016).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대한공업교육학지, 14(1): 44-67.
  38. 강정원. (2018).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299-315.
  39. 최미정. (2017). 진로개발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장벽,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8): 327-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