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ssibility of Gugak Fusion Bands as Shin-Hallyu Content

신한류 콘텐츠로서 국악퓨전밴드의 가능성 모색

  • 이유정 (흰동백꽃이 더 아름다워)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In order to prolong the Shin-Hallyu and make a significant leap forwar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Jambinai, Singsing Band, and Ackdan Gwangchil, bands that are recognized globally for their musicality and popularity. First,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behind the world's attention on korean traditional music lies in the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that embraces the non-mainstream identity.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usion bands in non-Asian countries can satisfy their public seeking to enjoy an exotic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Western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cultural, social and mus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untry or ethnicity and to approach them accordingly. Second, in the same Asian regio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t given a sense of homogeneity, but in the West, the Eastern heterogeneity seems to have become a stronger ompetitive edge. With the expansion of the new Korean Wave to various regions, it is necessary to try to form a regional repertoire. Third, we found the validity of the convergence with the new Korean Wav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Gugak musicians as the main body to build a world of traditional music and enable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korea's traditional cultural value through analyt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tone, composition and directing techniques reflec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or musical elements. The uniqueness and Korean values provided by Gugak will serve as homogeneity in Asia and heterogeneit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New Hallyu content and contributing to the prolonged Korean Wave.

신한류의 장기화와 유의미한 도약을 위해서 해외에서 음악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은 국악퓨전밴드인 잠비나이, 씽씽 밴드, 악단광칠을 중심으로 세계화 과정에 밴드의 특징을 분석해 신한류로서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첫째, 같은 아시아권에서는 한국의 전통음악이 동질감으로 받아져 새로움을 부여하지 않지만 서구지역에서는 동양적인 이질감이 오히려 더 강한 경쟁력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신한류가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됨에 지역 특화의 레퍼토리를 구성하여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세 밴드의 특징은 한국 전통음악의 고유성을 한 축으로 하면서 다양한 장르와 융합을 시도한 점이다. 신한류는 동아시아 스탠다드가 글로벌 스탠다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문화의 고유성을 지킴과 동시에 다양성과 차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셋째, 국악인이 주체가 되어 전통음악의 세계를 구축하고 대중화와 세계화를 가능케 하는 특징을 통해 신한류와의 융합에 타당성을 찾아보았다. 국악에 반영된 음색, 구성, 연출 기법 등의 효과나 음악적 요소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부각시킬 필요성이 있다. 국악이 제공하는 고유성과 한국적 가치는, 아시아에서는 동질감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질감으로 작용하여 신한류 콘텐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한류의 장기화에 이바지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영복. (2004).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돌베개.
  2. 강은구. (2018). '국악', '창작국악'에 관한 소고 -국립국악관현악단 <모던 국악 기행>에서 찾은 바를 중심으로. 국악교육, 46: 7-22.
  3. 김희선. (2016). 월드뮤직 장의 한국 전통음악 -탈 경계 실천의 궤적과 의미-. 동양음악, 40: 11-40.
  4. 이소영. (2008). 퓨전국악의 대중화: 국악의 대중화와 대중음악화 사이에서. 한국대중음악학회, 1: 154-178.
  5.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1509071617591#csidxf073015e17eab1099d0a94bf289f242.2020.03.22.
  6. 김성민. (2018). 케이팝의 작은 역사. 글항아리.
  7. 양은영, 전인수. (2016). 전통음악의 현대화를 통한 세계화 -국악 록밴드 '잠비나이' 사례연구. 문화정책논총, 30(2): 46-64.
  8. 윤여광. (2019). 방탄소년단(BTS)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3-25.
  9. 박소현, 김소영. (2019). 한류 속의 전통예술 재인식 -한국의 악.가.무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2019(12): 87-90.
  10. 양수영, 백승혁. (2019). 한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신한류 확산 전략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11. 이상호. (2020). 한류 30년 ... '기생충 쾌거' 바탕 한류 4.0 시대로 도약해야. 뉴스투데이.
  12. 이규탁. (2020). 갈등하는 케이, 팝. 북저널리즘.
  13. 현경채. (2018). 국악실내악단 활동의 흐름과 전망. 한국음악사학보, 60, 2018, 217-251.
  14. 이소영. (2008). 퓨전국악의 대중화 국악의 대중화와 대중음악화 사이에서. 대중음악, 1, 4, 154-178.
  15. 임선애. (2015). 국악의 현대화 사례를 통한 대중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16. 조영인. (2019). K-POP과 전통예술의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예술의 대중화 방안 연구 -BTS의 IDOL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2): 27-36.
  17. 전지영. (2004). 갇힌 존재의 예술, 열린예술. 북코리아.
  18. 김지혜. (2020). 방탄소년단 7년... K팝 아이돌은 어떻게 글로벌 아이콘이 됐나. 동아일보.
  19. 정윤수. (2015). 잠비나이는 국악의 대중화가 아니다. 주간경향.
  20. 유영희, 변계원. (2014). 음악의 이해와 감상. knoupress.
  21. 김산효. (2017). 관성에 맞선 유쾌한 도전. 국악 누리.
  22. 임희윤. (2020). 황해도 굿장단으로 신명나는 한판... 세계가 "베리 베리 굿!". 동아일보.
  23. 조용기, 윤기봉. (2016). 신한류와 다문화 현상에 대한 대순사상의 문화적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0(6): 151-164.
  24. 윤중강. (2004). 가치와 취향을 넘다. 민속원.
  25. 진행남. (2011). 신한류와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총서 22.
  26. 최희승. (2010). "주류와 비주류의 불편한 동거" 인디밴드 <장기하와 얼굴들>의 대중화 과정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95-103.
  27. 조태원. (2011). 국악과 한류. 세계화를 위한 접근 방향 모색. 음악응용연구, 4: 139-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