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ve-stage Anger Model Approach to Narrative and Protagonist's Revolt Action Mechanism in the Movie, "The Man Standing Next"

'분노의 5단계 모델'관점의 영화 <남산의 부장들> 서사와 주인공의 거사 결행 기제

  • Kim, Jeong-Seob (Department of Cultural Industry & Ar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김정섭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학과)
  • Received : 2020.03.18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Man Standing Next" was a 'anger-character movie' that shows a fierce psychological game between the characters. Inspired by this point, it was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film based on scene unit applying the 'Five-stage Anger Model' formulated by Lakoff and Kövecses and 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usality and feasibility of the protagonist's anger behavior were highly reflected above the model. In particular, among the five steps, the film-maker spent the longest time on 'anger control' justifying the hero's motivation for punishment or retaliation, while giving the shortest time to 'loss of control' to maximize the urgentness of the punitive actions. The detonator causing his anger at each stage was disposed two to six times each stage with neglect, contempt, arrogance, ostentation, mockery, unauthorized intervention, etc. Sneering of "Chief Security Officer" and insulting of "The President" make the protagonist feel the scorn of a terrible friend-murderer each functioned as a "rage trigger." In conclusion, the film follows the above sophisticated model in its narrative structure. Though it was a political drama that sets up a lot of anger scheme caused from public reasons, it reflects ordinary people's routine anger, which corresponds to 24 percent of the list of Nobaco's Provocation Inventory (PI). The producers elaborately reflected the anger procedure theory and balanced the public and private drivers of rage. It was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inten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creasing their understanding and aspiration for political movie that are usually heavy and unfamiliar.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다른 10.26 사건 소재의 콘텐츠와 달리 대립되는 인물 간의 치열한 심리 대결을 표방한 연극적 성격이 짙은 '분노 캐릭터' 영화라는 점에 착안해 본 연구에서는 라코프와 코브시스(Lakoff & Kövecses) 등이 제시한 '분노의 5단계 모델'을 적용해 장면을 단위로 설정해 서사구조를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영화는 심리학의 분노 5단계 이론을 잘 반영해 주인공의 분노 결행에 대한 인과성과 개연성을 한층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노조절(25분)에 가장 긴 시간을 할애해 응징·보복의 동기를 정당화한 반면 통제력 상실(14분)에 가장 짧은 시간을 부여해 응징 행동의 긴박감을 극대화 하고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단계에서 분노를 유발하는 기폭제 역할은 무시, 모멸, 오만, 과시, 놀림, 조롱, 무단 개입, 수군거림, 비아냥, 말 가로채기 언행으로 각 단계마다 2~6회씩 배치되었다. 특히 '경호실장'역의 경우 조롱 발언이, '박통'역의 경우 친구도 죽인 무도한 인간이란 극심한 모멸감을 야기하는 발언이 주인공으로 하여금 복수를 실행하도록 하는 결정적인 '분노 방아쇠'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서사구조가 분노이론을 정교하게 따랐다. '정치극'이라서 서사의 전개에서 분노의 공적(公的) 사유를 많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도 분노유발목록(PI)과 24%나 일치할 정도로 관객들이 흔히 겪는 일상의 분노사례를 적잖이 반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제작진이 이 영화에 심리학의 분노이론을 정교하게 반영하고 분노의 공적·사적 동인(動因)을 균형 있게 안배한 것은 분위기가 무겁고 낯설기 마련인 정치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이해도와 흡인력을 높이려는 소통강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연주. (2017). 역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 <명량>, <광해, 왕이 된 남자>, <관상>의 미드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47-58.
  2. 한정국. (2018).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Mad Max : Fury Road)> 서사구조 분석 :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민담 형태론>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3): 83-93.
  3. 진승현. (2019). 일제강점기 역사 서사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환경과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밀정>, <암살>, <박열>, <동주>, <군함도> 그리고 <덕혜옹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1): 1-9.
  4. 이진욱. (2020). 역사학자들이 본 <남산의 부장들> 김재규, CBS 노컷뉴스. 2020.1.29.
  5. 남정옥. (2020). [팩트 체크] 예술을 가장한 정치 선동... 영화 <남산의 부장들>의 불순한 왜곡. 뉴데일리, 2020.1.29.
  6. Darwin, C. (1872/1979). The Expressions of Emotions in Man and Animals. London: Julan Friedman Publishers.
  7. Novaco R.W. (1975). Anger Contro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Treatment. Lexington.
  8. Kalat, J.W. & Shiota, M.N. (2007). Emotion.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9. Novaco R.W. (1974). The Effect of Disposition for Anger and Degree of Provocation on Self-report and Physiological Measures of Anger in Various Modes of Provocation. Bloomington, Indiana: Unpublished Manuscript, Indiana University.
  10. Kovecses, Z. (2003). Metaphor and Emotion: Language, Culture, and Body in Human Feel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Kovecses, Z. (2014). "Conceptualizing Emotions. A Revised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Poznan Studies in Contemporary Linguistics, 15-28.
  12. Keltner, D., Gruenfeld, D.H., & Anderson, C. (2003). Power, Approach, and Inhibition. Psychological Review, 110(2): 265-284. https://doi.org/10.1037/0033-295X.110.2.265
  13. Tiedens, L.Z. (2001). Anger and Advancement Versus Sadness and Subjugation: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Expressions on Social Status Conferr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1): 86-94. https://doi.org/10.1037//0022-3514.80.1.86
  14. Van Kleef, G.A., De Dreu, C.K.W., & Manstead, A.S.R. (2004). The Interpersonal Effects of Emotions in Negotiations: A Motivated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4): 510-528. https://doi.org/10.1037/0022-3514.87.4.510
  15. Hazebroek, J.F., Howells, K., & Day, A. (2001). Cognitive Appraisals Associated with High Trait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1): 31-45.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007-6
  16. Novaco, R.W. (1994).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In J Monahan, H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김미숙. (2017).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의 감정에 따른 표정과 몸짓 연구II : 혐오와 분노의 감정에 따른 표정과 몸짓언어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3(4): 22-42.
  18. 김준서. (2015). <일리아스>에서의 로베-'영웅적 분노'의 양면성. 서양고전학연구, 54(2): 5-34.
  19. 황혜진. (2010). 이정범 감독의 <아저씨>, 김지운 감독의 <악마를 보았다>- 실패한 남성이 꿈꾸는 복수의 드라마. 공연과 리뷰, 70: 192-198.
  20. 김윤정. (2006). 박찬욱 복수 3부작에서의 '복수'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 637-662.
  21. Lakoff, G. & Kovecses, Z. (1987). The Cognitive Model of Anger Inherent in American Englis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Holland, D. & Quinn, N. (1987). Cultural Models in Language and Though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